임파암(淋巴癌)의 
6 大 경보(警報):
1、열(熱): 
갑자기 열이난다. 
2、종(腫): 
목덜미(脖子)와 
액하(腋下:겨느랑이)와 
서혜부(鼠蹊部:사타구니)에 
종괴(腫塊)가 발생하며 통증은 
전혀없다.
3、양(癢): 
전신(全身)에 가려움증 
발생 
4、땀(汗): 
야간(夜間)에 도한(盜汗)이 
발생 
5、해(咳): 
해수(咳嗽)가 지속된다. 
6、수(瘦): 
3 개월(三個月) 
내(內)에 
체중(體重)이 5% 
이상9以上) 경감減輕 됨과 
동시에  항상  피로감이 
 있다.  
  
임파종류(淋巴腫瘤)의 사이즈가 
증대(增大)되므로 인하여 부근의 
정상조직(正常組織)을 압박(壓迫)하여 
기관(器官)의 공능(功能)에 
손상을 입힌다. 
  
일단(一旦) 임파암(淋巴癌) 
진단을 받을 경우,놀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임파암은 
암증(癌症) 중 치유율(治癒率)이 높기 
 때문이다. 한개 내지 
2개의 종괴(腫塊)가 
분산(分散)되어 있을 경우  대개 
양성(良性)이다.  그러나  종괴(腫塊)가 
포도송이와 마찬가지이거나  양측 목부위와 양측 겨드랑이와 양측 사타구니에 동일하게 종괴가 나타날 경우  악성(惡性)을 의심하는 
것이 현명하다.
종괴의 
직경(直徑)이  2cm 이하 
일 경우 대부분 양성(良性)이다. 
 그러나 종괴의 직경(直徑)이 
2 cm 이상(以上) 
초과될 경우  또 
종괴(腫塊)가 단단할 경우 악성(惡性)일 확률이 
높다. 
  
종괴의 직경(直徑)이 2cm 
를 초과하고 양성일 경우 몇개월 내에 종괴는 스스로 
소멸된다.   
쇄골(鎖骨)의 
상방(上方)과 흉쇄 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Muscle)이 형성하는 
삼각형부위(三角形部位)의 임파종대(淋巴腺腫大)는 
대부분 감염(感染)과 관계되는 
양성(良性) 임파종대와 악성(惡性) 임파종대일 
확률은 각각 50%이다. 목의 
뒷부분에 나타나는 종괴는 양성(良性)이 많으나 예외도 
있다.  
 흉강(胸腔)과 
복강(腹腔) 부위(部位)에 발생하는 임파종괴는 
관찰하기 매우 어렵다. 복통이 
심하여 수술한 후 임파암(淋巴癌)이 조성되어 
장폐색으로 인한 복통이다는 것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서혜부(鼠蹊部 
: 사타구니)에 발병되는 임파암은 
생식기(生殖器)의 세균감염(細菌感染)과 
하지외상(下肢外傷)으로  인하여 임파종대가 조성되는 경우도 
있다.   
악성종류(惡性腫瘤)의 
특징 중 하나는 단시간(短時間) 
내(內)에 종괴의 사이즈가 증대되는데 
 1 개월 내지 3 개월 
 내(內)에 
종괴의 사이즈가 2 배(倍)로 
 증대될 경우 악성종괴일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임파종대(淋巴腺腫大)의 
 원인(原因)은 감기와 
발치(拔齒)와 세균병독(細菌病毒)의 
감염(感染) 등이 있으며  전신 홍반성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와 
류마티스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類風濕性關節炎)과 매독(梅毒)과 에이즈병 
등을 비롯한  기타(其他) 
질병(疾病)으로 인하여 
임파선종대(淋巴腺腫大)와 발열 
등 증상이 출현되기도 한다.  
  
또 전간병(癲癇病) 약물의 
부작용(副作用) 때문에 임파종대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병독감염(病毒感染)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만성피로증후군(慢性疲勞症候群)도 
임파종대(淋巴腺腫大)를 
조성한다. 
 아동(兒童)들의 
임파조직(淋巴組織)은 성인(成人)들에 비하여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임파세포(淋巴細胞)들이 
항원(抗原)의 자극을 쉽게 접수하므로 
국부임파선종대(局部淋巴腺腫大)가 용이하게 
 조성한다.  그런데 10 
세 내지 12 세(歲) 
이후(以後) 
임파조직(淋巴組織)은 
위축(萎縮)되기 시작하여 항원에 대한 
민감성(敏感性)이 강저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