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5월 31일 화요일

맥동(麥冬)

맥동(麥冬)



맥동(麥冬)의 입약(入藥) 부분은 괴근(塊根)이다. 성미(性味)는 미한(微寒), 감(甘), 미고(微苦)이고 폐(肺), 심(心), 위(胃)로 들어 간다.



청심윤폐(淸心潤肺) 작용과 익음생진(益陰生津) 작용과 건위사열(健胃瀉熱) 작용과 제번안면(除煩安眠) 작용과 거담지해(祛痰止咳) 작용과 윤장통변(潤腸通便) 작용이 있다.



단 비위허한자(脾胃虛寒者)와 풍한 감기에 걸린 사람은 신용한다.



복건성(福建省) 중부와 광동성(廣東省) 조산(潮山) 일대는 해빈추노(海濱鄒魯)라고 일컫는다. 다시 말하면 “해변가에 있는 문교(文敎)가 흥성한 지방이란 뜻이다.



복주(福州)에서 남쪽으로 75km 지점에 자리 잡고있는 포전(莆田)은 복건성 내의 팔명군(八名郡)의 하나임과 동시에 고대 하상(夏商) 시대엔 구주(九州)의 하나였다. 포전의 아칭(雅稱)은 포선(莆仙)이다. 포전과 선유(仙遊) 두 현(縣)을 포함하여 포선이라고 칭한다.



수 천년 전에 포전(莆田)은 바다 속에 들어있었는데 후에 지각변동으로 인하여 바다에서 솟아 올라 나와 육지로 변했다. 그래서 고대로 부터 전해 내려 오는 속어에 ”심칠주(沈七州), 부포전(浮莆田)” 이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일곱 주는 바다 속으로 가라앉고 포전(莆田)은 바다 위로 솟라 올라왔다.” 는 뜻이다.



포전(莆田) 근처에 지금도 소당(篠塘)과 남구(南溝)와 같이 물과 관계된 이름을 갖고 있는 지역이 많이 있다.



전설에 의하면 팔선(八仙)들이 포전(莆田)을 경유하여 선유현(仙遊縣)으로 갔다고 한다. 팔선(八仙)들이 지나간 뒤 선기(仙氣)와 영기(靈氣)가 온 사방에 머물러 있었다고 하며 특수한 식물 맥동이 이 지역에 자라기 시작했다고 한다. 맥동은 습기가 있는 땅을 좋아하지 만 배수가 잘 되는 곳을 좋아한다.



선유(仙遊) 지방의 제전(梯田)은 맥동의 생장조건에 적합한 곳이다. 맥동은 일 년에 한 차례 수확한다. 맥동의 괴근은 무더기를 형성하여 자라는데 맥동의 뿌리를 채취하고 남은 잔 뿌리들은 그 다음 해에 다시 큰 무더기의 뿌리를 형성한다.



맥동은 보리알 처럼 수염을 갖고 있으며 겨울에도 잎이 시들지 않는다. 그래서 맥동이란 이름을 얻었다.



옛날에 맥동을 계전초(階前草) 또는 불사약(不死藥)이라고 불렀다.



다음은 진시황 때 일어난 고사이다.



”진시황시(秦始皇時), 유일척조함래료일과상구채적초(有一隻鳥衔來了一棵像韭菜一樣的草), 진시황간견료(秦始皇看見了), 취문정통의술적귀곡자저시즘마(就問精通醫術的鬼谷子這是怎麽), 귀곡자설저시불로초(鬼谷子說這是不老草), 인사후삼천내(人死後三天內), 여능용차초개착신체취회부활(如能用此草蓋着身體就會復活), 병설저초재동해영주유헌다(幷說這草在東海瀛州有很多), 진시황청후대열(秦始皇聽後大悅), 입즉파인거조(立卽派人去找), 숙료조약적인경일거불복반(孰了找藥的人竟一去不復返), 영웅풍호탕적진시황사불명목(令雄風浩蕩的秦始皇死不暝目).”



다시 말하면 ”새 한 마리가 부추 잎사귀 비슷한 잎을 입에 물고 진시황 앞에 나타났다. 진시황은 의학에 정통한 귀곡자에게 ”저 풀잎은 무슨 풀잎 인가?” 고 물었다. 귀곡자는 ”불사초의 잎입니다. 죽은 사람을 저 풀잎으로 덮어두면 사흘 안에 부활한다고 합니다. 저 풀은 동해 영주에서 자라고 있습니다.” 고 진시황에게 아뢰었다. 진시황은 귀곡자의 말을 듣고 매우 기뻐하였으며 즉시 신하들을 동해 영주로 파견하여 불로초를 채취하여 오라고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불로초를 채취하여 돌아오는 신하는 아무도 없었다. 그래서 위풍이 당당한 용모를 지닌 진시황은 끝내 불로초를 기다리다 못해 죽을 때 눈을 뜨고 죽었다.” 는 뜻이다.



영주(瀛洲)는 옛날 신선이 살았다는 중국의 동해 바다속의 신산(神山)을 일컫는데 현재 대한민국이다.



후에 의약학가들이 의심을 품고 맥동을 연구한 결과 맥동엔 기사회생의 약효는 없으나 약용 가치가 높은 한약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맥동에는 세 가지 약용 가치가 있다.



첫째 양음윤폐(養陰潤肺) 작용이 있으므로 폐조해수(肺燥咳嗽)가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둘째 익위생진(益胃生津) 작용이 있으므로 인후와 혀(舌)가 건조한 사람과 장조(腸燥) 변비가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셋째 청심제번(淸心除煩) 작용이 있으므로 심화로 인하여 불면증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맥동의 성미(性味)는 미한(微寒), 감(甘), 미고(微苦)이고 폐(肺), 심(心), 위(胃)로 들어 간다.



자음강화(滋陰降火) 작용이 있으므로 음허화왕(陰虛火旺)과 심신불교(心腎不交)로 인한 불면증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직장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직장인들은 맥동을 차(茶) 대신 마시면 효과가 있다.



송(宋) 나라 때 소아과비조(小兒科鼻祖) 전을(錢乙)은 ”소아심양부항즉치실매(小兒心陽浮亢則致失寐), 취시설소해자심음허이심화왕(就是說小孩子心陰虛而心火旺), 회도치실면(會導致失眠), 심화왕적소해회출현심신불녕급다동불안적증상(心火旺的小孩會出現心神不寧及多動不安的症狀). 용맥동안면영신(用麥冬安眠寧神).” 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하면 ”심양이 부항한 아이들의 불면증은 심음허로 인하여 심화가 왕성하기 때문에 불면증이 생긴다. 심화가 왕성한 아이들은 심신이 편안하지 못함으로 다동불안 증상이 생기는데 맥동으로 치료하면 잠도 잘자고 마음도 편해 진다.” 는 뜻이다.



신선들이 유람하던 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맥동을 불에 말려 차(茶) 대신 마심으로써 자음청열(滋陰淸熱) 효과를 노린다.
경락(經絡)과 수혈()

고대의 침구술은 거칠었다. 영추(靈樞)-자절진사편(刺節眞邪篇)에 보면 옹종(癰腫) 열병(熱病)의 치료에 대침이나 폄석으로 옹종 부위를 찢어방농(放膿)시켰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소문(素問)-자학편()에 보면 침으로 손끝을 찔러 방혈(放血)시킴으로 학질()을 치료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대 한의학에서 십선혈(十宣血) 설열(泄熱) 침자법이 있는데 열 손가락 끝의 손톱 밑에 침자하여 방혈 시킴으로써 퇴열시키는 법인데 십선혈은 십이경맥의 수혈()은 아니며 경외혈(經外穴)이다.

십선혈(十宣血)은 졸중풍(卒中風)과 혼수(昏睡)와 고열(高熱)과 급성 편도선염과 소아 경풍등을 치료해 주는 구급혈이다.

황제내경(黃帝內經)-영추(靈樞)에서 가장 먼저 인체의 혈위(穴位)를 수혈()이라고 명명하였으며 160 개의 수혈()이 기록되어 있다.

() 나라를 거쳐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때 까지 대부분의 수혈()이 발견되어 명명되었다. 그리하여 진() 나라 때 황보밀(皇甫謐 : 서기 223 서기 282 )의 저서 갑을경(甲乙經)349 개의 수혈()이 수록되어 있다. 오늘 날 우리가 사용하는 침점과 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수혈()이란? 경락상에 분포되어 있는 반응점이며 기혈(氣血)이 출입하는 부위를 일컫는다. 한의학에서는 기혈이 출입하는 점이라고 말하고 서양 의학에서는 기능반응점(機能反應點)이라고 말한다.

영추(靈樞)-경맥편(經脈篇)에 보면 경맥십이자(經脈十二者), 복행분육지간(伏行分肉之間), 심이불견(深而不見). 제맥지부이상견자(諸脈之浮而常見者), 개낙맥야(皆絡脈也).”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12 경맥은 근육 사이로 잠복하여 지나가고 볼수 없으나 표피에 나타나는 피하 정맥 부위의 락맥은 볼수 있다.” 는 뜻이다.

황제내경은 인체내에 12 경맥이 있다고 기록해 놓았다. 20 세기 70 년대 이전에 12 정경(正經)은 황제내경의 권위있는 정론(定論)이었다. 그러나 1972 년과 1974 년 사이에 호남성(湖南省) 장사(長沙)에서 세 자리의 마왕퇴(馬王堆) 고묘(古墓)가 발견되었다.

그중 제 3 호묘(號墓)에서 서한(西漢) 때 백서(帛書)와 죽간(竹簡)과 의간(醫簡) 등 황제내경(黃帝內經) 보다 더 오래된 의서(醫書)가 발견되었는데 내경에 기록된 것과 상이하다.

마왕퇴(馬王堆) 의서 중 음양십일맥구경(陰陽十一脈灸經)”은 영추(靈樞)-경맥편(經脈篇)의 직계조본(直系祖本)이고 족비십일맥구경(足臂十一脈灸經)”은 방계조본(傍系祖本)이다.

영추(靈樞)-경맥편(經脈篇)12 경맥(經脈)과 마왕퇴(馬王堆)  의서(醫書) 중에 있는 ”11()” 의 다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왕퇴(馬王堆)에서 발견된 음양십일맥구경(陰陽十一脈灸經)과 족비십일맥구경(足臂十一脈灸經) 속에는 수궐음경(手厥陰經)이 없다. 그러므로 영추(靈樞)12 경맥(經脈) 중 수궐음 심포경(心包經)은 후에 추가된 경맥(經脈)이다. 고대에 심포(心包)5 () 속에 들어가지 않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둘째 마왕퇴(馬王堆)에서 발견된 족비십일맥구경(足臂十一脈灸經)에 보면 11 맥의 혈류(血流)는 전부 심장을 향해서 들어감으로 혈기(血氣)의 순환 관념이 없다. 영추(靈樞)12 경맥(經脈)의 혈류 방향은 6 개는 심장을 향하여 순행하고 나머지 6 개는 심장을 이탈하여 순행한다. 심장을 향하여 주행하는 경락의 수와 심장을 이탈하여 주행하는 경락의 수는 똑같으며 서로 연결되고 끝없이 순환하는 혈액 순환의 이론과 같다. 그러므로 영추(靈樞)를 저작 할 무렵의 인체 해부학과 인체 생리학의 관념은 마왕퇴(馬王堆) 의서(醫書)가 저술될 당시 보다 진일보 발전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셋째 마왕퇴(馬王堆)에서 발견된 의서(醫書) 11 ()5 6 부는 한 쌍(表裏)으로 짝을 이루지 않았다. 다만 인체내에서 가장 큰 혈관을 갖고 있는 심장과 간()의 관계가 수록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나 영추의 12 경맥(經脈)은 경맥(經脈)과 장부의 짝을 설명했고 경맥(經脈)과 장부는 서로 상통한다는 풍부한 이론을 기술해 놓았다. 마왕퇴(馬王堆) 의서(醫書)의 발견으로 인하여 황제내경은 마왕퇴(馬王堆) 의서(醫書) 보다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수정해서는 않될 보귀적인 의서(醫書)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다음은 세 의서(醫書)를 서로 비교한 것이다.

족비십일맥구경(足臂十一脈灸經)          음양십일맥구경(陰陽十一脈灸經)          영추(靈樞)-맥경(脈經)
족태양온(足太陽溫)                      거양맥(巨陽脈)                          방광족태양맥(膀胱足太陽脈)
족소양온(足少陽溫)                      소양맥(少陽脈)                          담족소양맥(膽少陽脈)
족양명온(足陽明溫)                      양명맥(陽明脈)                          위족양명맥(胃足陽明脈)
족소음온(足少陰溫)                      소음맥(少陰脈)                          신족소음맥(腎足少陰脈)
족태음온(足太陰溫)                      태음맥(太陰脈)                          비족태음맥(脾足太陰脈)
족권음온(陰溫)                      궐음맥(厥陰脈)                          간족궐음맥(肝足厥陰脈)
비태음온(臂太陰溫)                      비거음맥(臂巨陰脈)                      폐수태음맥(肺手太陰脈)
비소음온(臂少陰溫)                      비소음맥(臂少陰脈)                      심수소음맥(心手少陰脈)
비태음온(臂太陰溫)                      견맥(肩脈)                              소장수태양맥(小腸手太陽脈)
비소양온(臂少陽溫)                      이맥(耳脈)                              삼초수소양맥(三焦手少陽脈)
비양명온(臂陽明溫)                      치맥(齒脈)                              대장양명맥(大腸陽明脈)
--------------------------------------------------------------------------------심주수궐음심포락맥(心主手厥陰心包絡脈)

2011년 5월 30일 월요일

경락(經絡)과 수혈(腧穴)

경락(經絡)과 수혈(腧穴)



고대의 침구술은 거칠었다. 영추-자절진사편(刺節眞邪篇)에 보면 옹종(癰腫) 열병(熱病)의 치료에 대침이나 폄석으로 옹종 부위를 찢어 방농(放膿)시켰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소문-자학편(刺疟篇)에 보면 침으로 손끝을 찔러 방혈(放血)시킴으로 학질(疟疾)을 치료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대 한의학에서 십선혈(十宣血) 설열(泄熱) 침자법이 있는데 열 손가락 끝의 손톱 밑에 침자하여 방혈 시킴으로써 퇴열시키는 법인데 십선혈은 십이경맥의 수혈(腧穴)은 아니며 경외혈(經外穴)이다. 십선혈(十宣血)은 졸중풍(卒中風)과 혼수(昏睡)와 고열(高熱)과 급성 편도선염과 소아 경풍등을 치료해 주는 구급혈이다.



영추에서 가장 먼저 인체의 혈위를 수혈(腧穴)이라고 명명하였다. 황제내경-영추에 160 개의 수혈(腧穴)이 기록되어 있다. 한



(漢) 나라를 거쳐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때 까지 대부분의 수혈(腧穴)이 발견되어 명명되었다. 그리하여 진(晉) 나라 때 황보밀(皇甫謐 : 서기 223 년 – 서기 282 년)의 저서 갑을경(甲乙經)에 349 개의 수혈(腧穴)이 수록되어 있다. 오늘 날 우리가 사용하는 침점과 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수혈(腧穴)이란?



경락상에 분포되어 있는 반응점이며 기혈이 출입하는 부위를 일컫는다. 한의학에서는 기혈이 출입하는 점이라고 말하고 서양 의학에서는 기능반응점(機能反應點)이라고 말한다.



영추(靈樞)-경맥편(經脈篇)에 보면 ”경맥십이자(經脈十二者), 복행분육지간(伏行分肉之間), 심이불견(深而不見). 제맥지부이상견자(諸脈之浮而常見者), 개낙맥야(皆絡脈也).”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12 경맥은 근육 사이로 잠복하여 지나가고 볼수 없으나 표피에 보이는 피하 정맥 부위의 락맥은 볼수 있다.” 는 뜻이다.



황제내경은 인체내에 12 경맥이 있다고 기록해 놓았다. 20 세기 70 년대 이전에 12 정경(正經)은 황제내경의 권위있는 정론(定論)이었다.



그러나 1972 년과 1974 년 사이에 호남성(湖南省) 장사(長沙)에서 세 자리의 마왕퇴(馬王堆) 고묘(古墓)가 발견되었다. 그중에서 서한(西漢) 때 백서(帛書)와 죽간(竹簡)과 의서(醫書)가 발견 되었는데 황제내경(黃帝內經) 보다 더 오래된 의서(醫書)이며 내경에 기록된 것과 상이하다.



마왕퇴(馬王堆) 의서 중 ”음양십일맥구경(陰陽十一脈灸經)”은 영추-경맥편의 직계조본(直系祖本)이고 ”족비십일맥구경(足臂十一脈灸經)”은 방계조본(傍系祖本)이다.



영추-경맥편의 12 경맥과 마왕퇴(馬王堆) 의서(醫書) 중에 있는 ”11 맥(脈)” 의 다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왕퇴(馬王堆)에서 발견된 음양십일맥구경(陰陽十一脈灸經)과 족비십일맥구경(足臂十一脈灸經) 속에는 수궐음경(手厥陰經)이 없다. 그러므로 영추의 12 경맥 중 수궐음 심포경(心包經)은 후에 추가된 경맥이다. 고대에 심포(心包)는 5 장(臟) 속에 들어가지 않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둘째 마왕퇴(馬王堆)에서 발견된 족비십일맥구경(足臂十一脈灸經)에 보면 11 맥의 혈류(血流)는 전부 심장을 향해서 들어감으로 혈기(血氣)의 순환 관념이 없다.



영추의 12 경맥의 혈류 방향은 6 개는 심장을 향하여 순행하고 나머지 6 개는 심장을 이탈하여 순행한다. 심장을 향하여 주행하는 경락의 수와 심장을 이탈하여 주행하는 경락의 수는 똑같으며 서로 연결되고 끝없이 순환하는 혈액 순환의 이론과 같다. 그러므로 영추를 저작 할 무렵의 인체 해부학과 인체 생리학의 관념은 마왕퇴(馬王堆) 의서(醫書)가 저술될 당시 보다 진일보 발전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셋째 마왕퇴(馬王堆)에서 발견된 의서(醫書) 중 11 맥과 5 장 6 부는 한 쌍(表裏)으로 짝을 이루지 않았다. 다만 인체내에서 가장 큰 혈관을 갖고 있는 심장과 간(肝)의 관계가 수록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나 영추의 12 경맥은 경맥과 장부의 짝(表裏)을 설명했고 경맥과 장부는 서로 상통한다는 풍부한 이론을 기술해 놓았다. 마왕퇴(馬王堆) 의서(醫書)의 발견으로 인하여 황제내경은 마왕퇴(馬王堆) 의서(醫書) 보다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수정해서는 않될 보귀적인 의서(醫書)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다음은 세 의서(醫書)를 서로 비교한 것이다.



족비십일맥구경(足臂十一脈灸經)  음양십일맥구경(陰陽十一脈灸經)   영추(靈樞)-맥경(脈經)

족태양온(足太陽溫)                         거양맥(巨陽脈)                           방광족태양맥(膀胱足太陽脈)

족소양온(足少陽溫)                         소양맥(少陽脈)                           담족소양맥(膽少陽脈)

족양명온(足陽明溫)                         양명맥(陽明脈)                           위족양명맥(胃足陽明脈)

족소음온(足少陰溫)                        소음맥(少陰脈)                            신족소음맥(腎足少陰脈)

족태음온(足太陰溫)                        태음맥(太陰脈)                            비족태음맥(脾足太陰脈)

족권음온(足帣陰溫)                        궐음맥(厥陰脈)                            간족궐음맥(肝足厥陰脈)

비태음온(臂太陰溫)                        비거음맥(臂巨陰脈)                    폐수태음맥(肺手太陰脈)

비소음온(臂少陰溫)                       비소음맥(臂少陰脈)                    심수소음맥(心手少陰脈)

비태음온(臂太陰溫)                       견맥(肩脈)                                    소장수태양맥(小腸手太陽脈)

비소양온(臂少陽溫)                       이맥(耳脈)                                    삼초수소양맥(三焦手少陽脈)

비양명온(臂陽明溫)                       치맥(齒脈)                                    대장양명맥(大腸陽明脈)

--------------------------------------------------------------- 심주수궐음심포락맥(心主手厥陰心包絡脈)

2011년 5월 29일 일요일

오미(五味)와 오장병(五臟病)의 관계

오미(五味)와 오장병(五臟病)의 관계



황제내경(黃帝內經)-영추(靈樞)-오미편(五味篇)에 보면 신하 백고(伯高)가 황제에게 오미(五味)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오곡 중 멥쌀은 달고 지마(芝麻)는 시며 콩은 짜고 보리는 쓰며 기장쌀은 매웁다. 오과 중 대추는 달고 자두는 시며 밤은 짜고 살구는 쓰며 복숭아는 매웁다.



오축(五畜) 중 소고기는 달고 돼지고기는 짜며 개고기는 시고 양고기는 쓰며 닭고기는 매웁다.



오채(五菜) 중 아욱은 달고 부추는 시며 콩잎은 짜고 달래(野蒜)는 쓰며 파는 매웁다.



오색(五色)으로 구분하면 황색은 달고 청색은 시며 흑색은 짜고 붉은색은 쓰며 흰색은 매웁다.



비장병에는 멥쌀과 소고기와 대추와 아욱이 좋고 심장병에는 보리와 양고기와 살구와 달래가 좋으며 신장병에는 대두황권(大豆黃卷 : 乾 두부 두루마리)과 돼지고기와 밤과 콩잎이 좋고 간병에는 지마와 개고기와 자두와 부추가 좋으며 폐병에는 기장쌀과 닭고기와 복숭아와 파가 좋다.



오장병(五臟病)의 금기(禁忌)는 다음과 같다.



간병에는 매운 음식을 피하고 심장병에는 짠 음식을 피하며 비장병에는 신 음식을 피하고 신장병에는 단 음식을 피하며 폐병에는 쓴 음식을 피해야 된다.



간병으로 인하여 얼굴 색깔이 푸른색이면 단 음식이 좋은데 예를 들면 멥쌀과 소고기와 대추와 아욱 등이 좋고 심장병으로 인하여 얼굴 색깔이 붉으면 신 음식물이 좋은데 예를 들면 개고기와 지마와 자두와 부추 등이다.



비장병으로 인하여 얼굴 색깔이 누렇게 변했으면 짠 음식물이 좋은데 예를 들면 대두와 돼지고기와 밤과 콩잎 등이다.



폐병으로 인하여 얼굴 색깔이 하얗게 변했으면 쓴맛 음식물이 좋은데 예를 들면 보리와 양고기와 살구와 야산 등이다.



신장병으로 인하여 얼굴 색깔이 검게 변했으면 매운 음식물이 좋은데 예를 들면 기장쌀과 닭고기와 복숭아와 파 등이다.

2011년 5월 28일 토요일

시몬 록킨드(Shimon Rochkind)

시몬 록킨드(Shimon Rochkind)



목 뼈(頸椎)나 허리뼈(脊椎)가 부러져서 반신불수가 되는 것 처럼 불행한 것도 없다.



첫번 째 목뼈 부터 시작하여 네번 째 목뼈 중 어느 뼈가 부러지면 혼자 힘으로는 살수 없다. 5 번 째 목뼈 부터시 작하여 7 번 째 목뼈 중 어느 하나가 부러지면 혼자 힘으로로도 살수 있다.



시몬 록킨드(Shimon Rochkind)는 이스라엘의 Tel Aviv 대학의 신경외과 의사인데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치료로 세계에 명성을 떨치고 있다.



매년 12000여 명의 북미 사람들이 자동차 사고나 낙상(落傷)이나 운동 중 부상을 입어 SCI 를 당하고 있다. 그중에는 어린 아이들이 높은 곳에서 얕은 물속으로 다이빙(Diving) 하다가 물밑에 있는 바윗돌에 머리를 부딪혀 SCI 를 입는 경우도 있다.



12000여 명 중 10000여 명은 30 세 이하의 남자들이다. 그중에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크리스토퍼 리브(Christopher Reeves)도 들어 있다.



크리스토퍼 리브는 슈퍼맨으로 통하는 영화 배우이고 감독이며 PD 이고 시나리오 작가였다. 1995 년에 버지니아에서 개최된 승마 대회에서 낙마(落馬) 사고로 첫번 째 목뼈와 두번 째 목뼈가 산산 조각이 났다. 결국 크리스토퍼는 돈으로 할수 있는 치료란 치료는 모두 받아 보았지만 스스로 걸어보지 못하고 2006 년 3 월 6 일 심장마비로 숨을 거두었다. 크리스토퍼의 부인은 남편이 죽고 난 후 5 개월 만에 슬픔이 극한데다가 폐암으로 사망하였다.



시몬 록킨드(Shimon Rochkind)는 일생 동안 SCI 치료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SCI 는 치료할 수 없지만 기타 부위의 신경은 재생시킬 수 있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시몬록킨드(ShimonRochkind)는 수 백년 동안 믿어오던 진리를 뒤엎어 놓은 사람이다.



시몬 록킨드(Shimon Rochkind)는 실험실 쥐의 허리 부분에 있는 척추 속에 들어있는 척수(脊髓 : Spinal Cord) 중 5mm 를 절단하여 제거시켰다. 실험실 쥐는 앞 다리는 사용할 수 있었지만 뒷 다리는 전혀 움직일 수 없음으로 걸음을 걸을 수 없게 되었다.



시몬 록킨드(Shimon Rochkind)는 절단된 척수 신경 사이에 코속의 내피층에서 신경 세포를 떼어내어 다리를 놓고 신경을 자극시켜 자라게 해서 치료하기 시작한지 6 주 후부터 Spinal Cord 가 절단된 실험실 쥐는 뒷 다리를 움직여 걸을 수 있게 되었다.



시몬 록킨드(Shimon Rochkind)는 이 작업을 “Genetically-engineered Implant” 라고 칭했다.



사람의 코속의 내피층에서 신경 세포를 떼어내어(Olfactory-tissue Transplantation) 절단된 Spinal Cord 에 이식하여 SCI 를 치료하는데 성공하였다. 새로 연결한 신경 세포의 생장에 사용된 재료들은 극비이나 과학자들은 히알루로산(Hysluronic Acid : 동물 조직 중의 산성 다당류)과 비타민 C 와 같은 항산화제와 신경의 생장을 돕는 물질을 비롯하여 기타 여러가지 물질을 사용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절단 시킨 척수(Spinal Cord)의 양쪽 끝에 신경 다리를 놓고 말랑 말랑한 튜브를 만들어 절단 부위를 에워싸고 그 튜브 속에 신경 세포를 잘 자라게 해주는 물질들로 꽉 채워 놓았다. 절단 부위를 감싸고 있는 튜브는 인체에 무해한 물질이며 스스로 분해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 졌다.



시몬 록킨드(Shimon Rochkind)의 친구들이 “크리스토퍼 리브와 같이 사지마비(四肢麻痺 : Quadriplegia)된 사람도 당신이 치료하면 걸을 수 있을 것인가?” 하고 질문했다.



시몬 록킨드(Shimon Rochkind)는 ”내 생전에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경추가 부서지기 전과 같이 걷지는 못하지만 남은 여생을 사지마비라는 말은 듣지 않을 것이다.” 고 대답하였다.



시몬 록킨드(Shimon Rochkind)는 어느 신경이 절단되면 절단된 신경과 관련된 부위의 근육이 위축되고 없어져서 정상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이 가장 애를 먹인다고 말했다. 왜냐하면 절단된 신경은 연결시켜 놓았는데 그 신경과 관련된 근육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몬 록킨드(Shimon Rochkind)는 Laser Phototherapy 를 이용하여 신경도 재생시켜 주고 절단된 신경 주위의 근육의 위축을 방지해주며 위축된 근육을 함께 재생시켜 주는 기술을 발견했다고 한다.



Laser Therapy 를 사용하여 말초 신경 절단으로 인한 부상은 하루에 2 시간 씩 3 주 만 차료 받으면 치유된다고 한다.



또 이스라엘 과학자들은 Stem Cell 을 사용하여 도파민(Dopamine)을 생성시키는데 성공했다고 한다. 도파민은 Parkinson’s Disease 환자들에게 부족한 부신(副腎 : Adrenal Gland)에서 만들어지는 뇌에 필요한 호르몬이다.



세상 사람들은 시몬 록킨드(Shimon Rochkind)에게 더 큰 기대를 걸고 있으며 시몬 록킨드(Shimon Rochkind)는 SCI 치료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한 과학자로써 노벨 의학상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다고 과학자들은 입을 모아 말하고 있다.



세계 레이저 의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Laser in Sutgery and Medicine) 회장직과 유럽 레이저 의학회(European Medical Laser Association)의 고문(顧問)을 역임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김진왕(Jin Wang Kim) 교수도 노벨 의학상을 받아야 마땅한 학자이다.

신주골(腎主骨)

신주골(腎主骨)



골(骨)과 수(髓 : marrow)의 생장 발육은 모두 신장과 관계가 있다.



그래서 황제내경(黃帝內經)-소문(素問)-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에 보면 ”신생골수(腎生骨髓)”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신장은 골수를 만든다.” 는 뜻이다.



또 소문(素問)-역조론(逆調論)에 보면 ”신자수야(腎者水也), 이생우골(而生于骨), 신불생즉수불능만(腎不生則髓不能滿).”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신(腎)은 수장(水臟)이고 뼈를 생장하며 신(腎)이 골수를 만들지 않으면 골수가 충만하지 못하다.” 는 뜻이다.



현대 생리학자들과 생물학자와 화학자들이 황제내경(黃帝內經)의 학설을 증명해 보려고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현대 생리학자들은 신장(腎臟)의 기능이 배설 작용 뿐만 아니라 칼슘 흡수와 비타민 D3 를 활성화 시켜주는 칼슘 대사에 관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칼슘 흡수와 비타민 D3 는 인체내의 골격대사(骨格代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00여년 전에 쓰여진 황제내경(黃帝內經)-소문(素問)에 기록된 ”신주골(腎主骨)” 이 현대 생리학자들에 의하여 증명된 셈이다. 2000여년 전에 살고 있던 사람들의 머리가 그처럼 명석했었을까?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비타민 D3 는 소장에 들어있는 음식물 중 칼슘의 흡수를 증가시켜 주고 인산염(燐酸鹽 : Phosphate)의 흡수를 증가시켜 준다. 비타민 D 는 생선의 간유(肝油)와 달걀 노른자위와 우유 등에 들어 있다.



피부에는 7-dehydrocholesterol 이 들어있는데 이것이 햇빛 중에 들어있는 자외선(Ultraviolet Ray)에 의하여 비타민 D 를 만든다. 햇빛 없이는 피부에서 비타민 D3를 만들지 못한다. 햇빛에 의하여 피부에서 만들어진 비타민 D3 는 간(肝)으로 저장되고 다시 간에서 신장(腎臟)으로 전달되어 인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비타민 D(1,25-dihydroxycholecalciferol)를 형성한다. 그래서 비타민 D 를 “햇빛 비타민” 이라고 부른다. 비타민 D 는 칼슘과 인을 흡수하여 뼈속에 집어 넣어 준다.

2011년 5월 27일 금요일

노인수종(老人水腫)

노인수종(老人水腫)



노인들의 수종은 주로 하지에 나타나고 소변의 양이 적으며 오전에는 증상이 경미하다가 오후에 증상이 심해진다. 그리고 양 무릎의 신경반응이 지둔하다. 이는 노년인들의 체력이 약해지고 영양상태가 불량하며 기혈이 부족하고 수습(水濕)의 운화가 불리한 까닭 때문이다.



치료는 보익기혈(補益氣血) 해주고 이뇨(利尿)시켜 주고 소종(消腫)시켜 주면 된다.



처방은 다음과 같다.



배방 : 당삼 8 전, 북기(北芪) 1 냥(兩), 백출 1 냥(兩), 복령 1 냥(兩), 백작 1 냥(兩), 숙지 8 전, 당귀 3 전, 자감초 1 전반, 육계 1 전, 택사 1 냥(兩), 생강 5 전.



용법 : 수전복, 매일 1 제(劑) 하루에 두 차례 나누어 복용한다.



본방은 화제국방(和劑局方)에 수록되어 있는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중에서 천궁을 감하고 그 대신 택사와 생강을 더한 방이다.



수종자는 저염식을 해야된다. 그리고 노년인들의 수종은 영양불량과 관계가 깊으므로 음식 조절을 잘 해야 된다. 미두(眉豆)와 황두(黃豆)와 적소두(赤小豆)와 편두(扁豆)와 즉어(鲫魚 : 붕어)와 잉어와 오징어 등은 영양분을 공급해 줌과 동시에 이뇨 소종 작용도 있다.



노년인들이 선용할 식료방은 다음과 같다.



1. 적소두화생홍조탕(赤小豆花生紅棗湯) : 화생 70g, 적소두 70g, 홍조(紅棗) 70g 을 함께 삶아서 복용한다.



2. 적소두이어탕(赤小豆鯉魚湯) : 잉어 반근, 적소두 100g 을 함께 삶아서 조미료를 가하여 복용한다.



3. 녹두의인탕(綠豆薏仁湯) : 녹두 100g, 의미인(薏米仁) 100g 을 함께 삶아서 복용한다.



4. 즉어통초탕(鲫魚通草湯) : 즉어(鲫魚 : 붕어) 반근, 통초(通草) 30g 을 함께 삶은 후 통초의 건더기는 건져내고 붕어와 국물을 모두 복용한다.



5. 황기증계(黃芪蒸鷄) : 영계(軟鷄 : 병아리와 큰 닭의 중간 닭) 한 마리, 황기 100g 을 함께 삶아서 황기 건더기는 건져내고 약 국물과 닭고기를 복용한다.



6. 핵도두중증저요(核桃杜仲蒸猪腰) : 저요자(猪腰子 : 돼지 콩팥) 2 개, 두중 10g, 핵도육 50g 을 함께 삶아서 모두 복용한다.



7. 동과압탕(冬瓜鴨湯) : 수 오리 한 마리, 동과(冬瓜) 2 근(斤)을 함께 삶아서 복용한다.



그외 콩국과 수박과 마제(馬蹄 : 올방개) 등도 부종을 경감시켜 줌으로 평상시 복용하면 도움이 된다.

노인구건(老人口乾)

노인구건(老人口乾)



노년인들은 기혈(氣血)이 부족하고 진액(津液)이 부족함으로 인하여 침샘에서 타액의 분비가 감소되기 때문에 구건(口乾) 증상이 나타난다. 또 일부 노인들은 수면 중에 입을 벌리고 잠을 자는 습관이 있기 때문에 입속의 진액이 쉽게 소모되어 버린다. 그래서 구건(口乾) 증상이 나타난다. 또 약물을 잘못 복용함으로써 부작용을 일으켜 구건(口乾)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구건(口乾) 증상은 혀가 빨갛고 건조해 있으며 땀이 나고 기단(氣短) 증상도 나타나며 다리에 힘이 없고 피곤하다. 모두 폐(肺)와 비(脾)와 신(腎)이 허약한 탓이다.



한의학에서 구건증(口乾症)의 치료에는 폐(肺)와 비(脾)와 신(腎)을 보해 주고 익기양음(益氣養陰) 해주며 윤조생진(潤燥生津) 해준다.



기본 처방은 다음과 같다.



배방(配方) : 태자삼 4 전, 맥동 4 전, 오미자 4 전, 오매 3 전, 옥죽 3 전, 생지 7 전



용법 : 수전복, 매일 1 제(劑), 하루에 두 차례 아침과 저녁으로 나누어 복용한다. 1 주 내지 2 주면 치유된다.



이상의 처방은 노인들의 기혈 부족과 진액 부족으로 인한 구건(口乾) 증상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관심병(冠心病)의 징조(徵兆)

관심병(冠心病)의 징조(徵兆)



관심병은 Coronary Heart Disease 라고 칭하며 심장 근육속에 들어있는 크고 작은 동맥의 혈관벽에 죽종(粥腫 : Atheroma)이 생겨 혈액순환이 불량해져서 생기는 심장병이다. 주로 협심증(心絞痛 : Angina Pectoris)과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MI)과 심장마비(Sudden Cardiac Death) 등이 포함되어 있다.



관심병(冠心病)은 중노년인들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병이다.



다음은 관심병(冠心病)의 징조(徵兆)들이다.



1. 정신적으로 긴장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나 피곤할 때 심장이 있는 부위와 흉골의 뒤쪽과 오목 가슴 부위가 갑갑하고 답답하며 무딘 통증이 발생한다. 또 왼쪽 어깨와 왼쪽 팔로 통증이 번져나가기도 한다. 약 3 분 내지 5 분 동안 통증이 계속되며 휴식을 취하면 통증은 스스로 없어진다.



2. 운동을 하거나 일을 할 때 가슴이 답답하고 심계도 생기며 기단(氣短) 증상도 생기나 잠시 휴식을 취하고 나면 통증은 스스로 없어진다.



3. 운동할 때 두통과 치통과 각통(脚痛)이 발생한다.



4. 밥을 많이 먹었거나 갑자기 찬 바람을 쐬거나 무서운 스릴러 영화를 보면 흉통과 심계현상이 나타난다.



5. 밤에 낮은 베개를 베고 잠을 잘 경우 가슴이 갑갑하고 숨이 막히는 것 같다. 즉시 높은 베개로 바꾸어 베고 자면 편안하다. 낮에 침대에 드러 누울때 갑자기 흉통과 심계와 호흡곤란이 생길 경우 다시 일어나 앉거나 일어서면 증상이 완화된다.



6. 방사(房事)할 때와 대변을 볼 때 힘을 쓸 경우 심계항진(心悸亢進)과 흉민(胸悶)과 기급(氣急)과 흉통(胸痛)이 발생한다.



7. 주위에서 징 소리나 깽과리 소리나 기타 잡음이나 소음이 날 경우 갑자기 심계항진과 흉민 증상이 생긴다.



8. 반복적으로 맥박수가 빠르거나 느리거나 고르지 못하거나 심도(心跳)가 발생한다.



40 세 이상의 사람들로써 이상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사람들은 병원에 가서 종합 신체 검사를 받아 볼 필요가 있다.

하지(下肢) 한냉증(寒冷症)

하지(下肢) 한냉증(寒冷症)



대부분의 노인들은 겨울이 돌아오면 양 다리에 찬 기운이 돌며 무릎에서 찬 바람이 난다고 말한다. 양 다리는 체중을 지탱해야 됨은 물론 심장에서 가장 거리가 멀다. 그러므로 다리의 혈액순환은 상대적으로 완만하다.



일단 활동을 시작하면 하지 냉감이 감소되나 일기가 한냉해 지면 또 다시 하지 한냉감을 느끼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노인들의 생리현상이다. 운동을 하고 하지를 따뜻하게 보온시켜 주면 하지 냉감증은 스스로 경감된다.



보온 조치를 해도 아무 소용이 없고 하지 냉감증이 계속 될 경우 다음과 같은 모종의 질병이 찾아 올 것이라는 신호로 생각해 봐야 한다.



첫째 혈전폐색성맥관염(血栓閉塞性脈管炎 : Buerger’s Disease) :



혈전폐색성맥관염(血栓閉塞性脈管炎 : Buerger’s Disease)의 발병 초기에는 일기가 차거울 때 밖에 돌아 다니다가 집안에 들어오면 하지 한냉감을 느끼고 하지가 저리거나 무감각해 지고 동통감 마저 드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걸음을 걸을 때 소퇴(小腿)에 시큰거리고 부어오른 느낌이 들고 피곤을 느낀다. 병정이 점점 가중될 경우 이따금씩 하지 냉감증은 물론 절뚝 거리며 걷게 되고 추위를 두려워 하며 하지가 저리고 무감각해 지며 야간에 심한 동통감이 생긴다.



둘째 폐색성 동맥경화(閉塞性動脈硬化 : Arteriosclerosis Obliterans):



폐색성 동맥경화(閉塞性動脈硬化 : Arteriosclerosis Obliterans)는 죽종(粥腫 : Atheroma)에 의하여 하지로 혈액순환을 불량하게 만들기 때문에 생긴다. 그러므로 하지의 피부가 창백해지고 촉감도 감퇴되며 발이 차거워 지고 근육도 위축되며 발톱이 두꺼워 지고 발톱의 모양이 종전과 같지 않고 변형된다. 고혈압이나 고혈지나 당뇨병이 있는 노인들 중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남으로 동맥경화를 유의해야 된다.



셋째 말단 동맥 경련증 :



말단 동맥 경련증은 레이노병(Ratnaud’s Disease)라고도 칭하는데 혈관신경 기능의 문란으로 인하여 팔과 다리의 말단 소동맥에 발생하는 경련성 괴저병(壞疽病)이다. 손가락 끝과 발가락 끝이 한 동안 창백해 지거나 청색증이 생기거나 빨강색에 가까운 자색(紫色)이 나타나거나 동통감도 생긴다. 장기간 한냉 자극과 장기간 속상한 일을 많이 경험할 때 발생한다.



넷째 다발성대동맥염(多發性大動脈炎 : Multiple Aortitis) :



다발성대동맥염(多發性大動脈炎 : Multiple Aortitis) 환자들 중 20% 는 하지에 혈액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하지 한냉감이 생기고 몸이 나른하고 마음이 내키지 않는다.



다섯 째 식물성 신경기능 문란 : 지속적인 식물성 신경 기능 문란은 하지 한냉증을 발생시킨다. 식물성 신경은 자율신경이라고도 칭하는데 인체내의 모든 내장과 선(腺)과 혈관 등 의지와 관계없이 반응하는 기관을 지배하는 신경이며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분류된다.



식물성 신경기능 문란은 흔히 심계(心悸)와 기단(氣短)과 다한(多汗)과 복창(腹脹)과 두통과 피로감과 불면증 등을 수반한다. 그러나 신체 검사 결과는 지극히 정상이다.



여섯 째 억병(癔病 : Hysteria) :



대부분의 억병 환자들 중에 하지 한냉감을 느낀다.



노인들의 하지 한냉증을 대수롭게 여기지 않으면 않되며 병원에 가서 종합 신체 검사를 받아 봄으로써 미연에 더 큰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현명하다.

2011년 5월 26일 목요일

산약(山藥)의 보비(補脾), 양위(養胃) 작용

산약(山藥)의 보비(補脾), 양위(養胃) 작용



산약(山藥)은 서여과(薯蓣科) 식물 서여(薯蓣)의 건조한 근경(根莖)이다.



신농본초경에 보면 ”산약(山藥) : 보중익기(補中益氣), 장기근(長肌筋), 구복이목총명(久服耳目聰明), 경신불기연년(輕身不飢延年).”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산약은 보중익기해 주고 피부와 근육을 돕고 오래 복용하면 눈과 귀가 밝아지며 몸이 가벼워지고 주리지 않으며 연년익수한다.” 는 뜻이다.



하남성(河南省) 회경(懷慶)에서 생산되는 산약은 단단하고 실하다. 분성(粉性)이 많고 하얀색이며 약질(藥質)이 가장 우수하다. 그래서 회산약(懷山藥)이란 이름을 얻었다.



정주(鄭州) 서북방 42km 지점에 무척현(武陟縣)이 있고 무척현 북방 18km 지점에 수무현(修武縣)이 있다. 무척과 수무의 서쪽으로 부터 시작하여 황하의 북쪽 지역이 옛날 회경부(懷慶府)였다. 회경부에서 생산되는 산약을 최상품으로 쳐 주었으며 그외 회경부의 4 대 한약은 산약을 비롯하여 지황(地黃)과 우슬(牛膝)과 국화(菊花)이다.



산약은 가공 방법에 따라 모산약(毛山藥)과 광산약(光山藥)으로 분류된다.



산약을 채취한 후 뿌리에 붙어있는 잔 수염을 제거시킨 후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리면 표면의 색깔이 황백색이거나 종황색으로 변한다. 이것을 모산약이라고 부르고 산약을 채취한 후 표면에 붙어있는 잔 수염과 겉껍질을 칼로 깍아서 햇볕에 말리면 표면이 하얗고 광택이 난다. 이것을 광산약이라고 칭한다.



약리 작용은 광산약이나 모산약이나 모두 비슷하다.



산약의 성미(性味)는 감(甘), 평(平)이고 비(脾)와 폐(肺)와 신(腎)으로 들어 간다. 보비양위(補脾養胃) 작용과 생진익폐(生津益肺) 작용과 보신삽정(補腎澁精)의 공효가 있다.



노인들이 비허(脾虛)로 인하여 식욕이 부진한 경우와 소화불량으로 인한 설사와 폐허천해(肺虛喘咳)와 신허(腎虛)로 인한 요슬산연 등을 치료해 준다.



산약은 식용도 하고 약용도 한다. 한성(寒性)과 열성(熱性)이 없고 약리 작용이 완화하며 보기(補氣)해 주고 자음(滋陰))해 주며 보이불체(補而不滯)하고 자이불니(滋而不腻)해 주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노인들에게 가장 적합한 식품이다.



현대 의학 실험 연구에 의하면 산약은 사포닌과 단백질과 지방과 당류와 순류(醇類)물질과 담감(膽碱 : Choline)과 디아스타제(Diastase)와 다분양화매(多酚氧化酶 : Polyphenol Oxidase, PPO)와 도파민과 점액질과 생물알칼로이드와 여러 종류의 비타민과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있다.





산약은 항산화제로써 항산화 효소를 활성화시켜 줌과 동시에 면역 기능을 증진시켜 주고 항암작용도있다. 산약은 또 강혈당(降血糖) 작용과 강혈지(降血脂) 작용이 있으며 산약은 단백뇨(蛋白尿 : Proteinuria)를 치료해 주고 신장의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주며 위장의 연동 운동을 촉진시켜 준다.



산약은 아연(Zinc)과 망간(Manganese)과 코발트(Cobalt, Co)와 크로뮴(Chromium, Cr)) 등 미량원소도 포함하고 있으므로 노인들에게 꼭 필요한 식품이다. 산약의 일일(一日) 용량(用量)은 15g 내지 30g 이다.

2011년 5월 24일 화요일

대변 통창은 노인들의 복(福)

대변 통창은 노인들의 복(福)



인체내의 신진대사란 끊임없는 토고납신(吐故納新) 작용을 일컫는다.



토고납신(吐故納新)이란?



낡고 좋지 않은 것을 버리고 새롭고 좋은 것을 받아들인다는 말이다. 배변은 일종의 토고(吐故)이다.



정상적인 배변은 인체의 기(氣)의 승강을 조절해 주고 건비화위(健脾和胃)해 주며 서간이담(舒肝利膽) 작용과 선폐강기(宣肺降氣) 작용과 식욕을 증진시켜 주고 수도(水道)를 조절해 주고 정신을 맑게 해주며 신장의 기능을 증진시켜 주고 허리를 튼튼하게 해준다.



젊은 사람들도 대변이 건조해져서 배변이 곤란해 지면 습관성 변비가 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습관성 변비는 건강을 해치고 특별히 노인들의 경우 해가 더욱 심하다. 대변이 장도 속에 머물러 있으면 장관(腸管)을 압박하여 포만감을 느끼며 식욕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대변 속에 들어있는 음식물 찌꺼기 중 단백질이 세균에 의하여 분해된 후 여러 가지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생산해 내기 때문에 각종 중독 증상을 유발시킴으로 정신이 또렷하지 못하고 두훈(頭暈)과 두통 증상과 식욕감퇴와 심율감만(心律減慢)과 혈관확장과 혈압하강 등 증상이 발생된다.



습관성 변비는 치질과 직장 탈출과 S-결장 탈출과 탈항(脫肛)을 유발시키며 노인들의 경우 산기(疝氣 : Hernia)도 발생하게 되고 자궁탈수와 소변실금(失禁) 등 병증이 나타난다. 특히 고혈압과 관심병과 중풍과 천식이 있는 노인들의 경우 병정이 가중되고 악화된다. 그러므로 대변이 창통한 노인들은 큰 복(福)을 타고났다.

변비(便秘)와 노쇠(老衰)

변비(便秘)와 노쇠(老衰)



5 장 6 부가 노쇠됨으로 인하여 노인들에게 변비가 많은데 일종의 습관성변비이다. 다시 말하면 인체가 노쇠해 간다는 증거이다.



한의학 관점에서 살펴 보면 대변의 수송은 비장과 신장의 몫이다. “비주운화수곡(脾主運化水穀)” 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하면 비장이 음식물을 소화시켜 흡수된 영양분을 각 장부 조직에 배달하는 작용을 일컫는다.



또 “신사개합(腎司開合), 개규어이음(開竅於二陰), 신사실상(腎司失常), 변발생변비(便發生便秘).” 라고 말한다.



다시 말하면 ”신장은 소변의 문을 열고 닫고 대변의 문을 열고 닫는 역할을 담당하고 신장은 전음과 후음을 관장한다. 신장의 기능이 정상적이 아닐 경우 즉시 변비가 발생한다.” 는 뜻이다.



변비와 노쇠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인체가 노쇠되면 변비가 발생하고 변비가 발생하면 인체가 노쇠되는 이른바 인과(因果) 관계를 갖고 있다.



동한(東漢) 제 3 대왕 장제(章帝 : 서기 76 년 – 서기 88 년) 원화(元和) 3 년에 유물주의 사상가 왕충(王充 : 서기 27 년 – 서기 97 년)이 저술한 논형(論衡)에 보면 ”욕득장생(慾得長生), 장중상청(腸中常淸)); 욕득불사(慾得不死), 장중무재(腸中無滓).”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장수하고 싶으면 장을 항상 깨끗이 하여라. 죽고 싶지 않거든 장속에 찌꺼기를 없애라.” 는 뜻이다.



또 금원사대의가(金元四大醫家)의 한 사람인 주단계(朱丹溪 : 서기 1282 년 – 서기 1358 년)는 장(腸)과 위(胃)를 청소하는 도창법(倒倉法)을 제창했으며 장위을 깨끗이 함으로써 질병을 물리치고 연년익수(延年益壽)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이는 현대 의학에서 말하는 ”인체자체중독학설(人體自體中毒學說)”과 부합된다고 말할 수 있다.



과학자들에 의하면 장(腸) 속에 들어있는 세균들, 특별히 대장간균(大腸杆菌)은 매 시간 대량의 독소를 생산하는데 이 독소를 흡수할 경우 만성 중독에 걸려 인체의 노쇠(老衰)가 촉진된다고 한다. 그러므로 대변이 창통되어야 노쇠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2011년 5월 23일 월요일

보리수화(菩提樹花)

보리수화(菩提樹花)

보리수(菩提樹)의 학명은 Ficus Religiosa 이고 상과(桑科) 용속(榕屬) 또는 무화과속(無花果屬) 식물로써 상록 열대 교목(喬木)이다.

보리수(菩提樹)는 나무 가지와 잎이 무성하며 웅대하게 우뚝 솟아 있다. 키가 30m 까지 자라고 직경은 3m 이다. 잎은 녹색이고 망상(網狀) 엽맥(葉脈)을 갖고 있다. 잎의 표면은 반질 반질 광택이 나고 심장형(心臟形)이며 잎의 길이는 10cm 내지 17cm 이고 너비는 8cm 내지 12cm 이고 잎의 선단에 길이 2cm 내지 5cm 의 가늘고 긴 꼬리가 달려 있다.

새로 돋아 난 잎은 홍갈색(紅褐色)이고 엽병(葉柄)의 길이는 6cm 내지 10cm 이다. 7, 8 월에 가지에 편구형(偏球形) 돌기(突起)가 맺히는데 돌기를 칼로 찢어 보면 속에 과립상(顆粒狀)의 작은 꽃들이 들어 있다.

그래서 꽃대가 없으므로 무경(無梗)이고 꽃이 숨어 있으므로 은화과(隱花果)라고 칭하고 가지에서 돋아남으로 액생(腋生)이라고 말한다. 과실이 완전 성숙한 후에는 겉에 암자색(暗紫色) 반점이 나타나고 땅에 떨어지는데 불주(佛珠)의 재료로 사용되고 약용도 한다.

수피는 거칠고 회갈색이다.

독일어 Der Lindenbaum 은 보리수인데 실제로는 단수(椴樹)이다. 보리수(Ficus Religiosa)와는 다르다.

독일어의 Der Lindentee 와 영어의 Linden Tea 는 보리차(菩提茶)인데 실제로는 단수(椴樹)의 잎과 꽃으로 만든 차(茶)이다.

보리수(菩提樹)는 신성수(神聖樹), 사유수(思惟樹), 불수(佛樹), 각수(覺樹), 도수(道樹), 도장수(道場樹) 등의 별명을 갖고 있다. 사계절 상록 교목이며 동계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으나 승려가 사망한 날에는 잎의 색깔이 변하여 시들어지나 후에 다시 살아난다.

대만에서 자라는 보리수는 기후 관계로 낙엽 현상이 나타난다.

7, 8 월에 황갈색 꽃을 피우고 가지를 아름답게 장식해 주며 맑은 향기를 가득 풍긴다.

보리(菩提)는 범어(梵語 : Bodhi)인데 그 뜻은 정각(正覺) 또는 각오(覺悟)이다.

다시 말하면 “깨달았다.” 는 뜻이며 선과 악을 똑 바로 구별할 줄 알고 진리를 깨달았다는 뜻이며 인도 말로는 “지혜(智慧)” 란 말이다. 인도에서는 석가모니가 보리수 밑에서 보리(깨달음)를 얻었다고 해서 보리수(菩提樹)를 신성하게 여긴다.

영어로 보리수는 Peepul, Botree, Large Tree 등인데 웅대하다, 대자대비(大慈大悲), 명변선악(明辯善惡), 각오진리(覺悟眞理) 등의 뜻을 지니고 있다.

라틴어로는 Ficus Religiosa 인데 신성적(神聖的) 또는 종교적이란 뜻이다.

보리수(菩提樹)의 원산지는 인도이고 진(晉) 나라와 당(唐) 나라 때 중국으로 전입되었다.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에 보면 ”보리수자(菩提樹者), 고수백척(高數百尺), 불좌기하(佛座其下), 성등정걱(成等正覺), 인이위지보리수언(因而爲之菩提樹焉). 경간황백(莖幹黃白), 지엽청취(枝葉靑翠), 동하부조(冬夏不凋), 광선무변(光鲜無變)”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보리수(菩提樹)의 키는 백 척이나 된다. 석가모니는 그 나무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었다. 그래서 보리수(菩提樹)란 이름을 얻었다. 줄기는 황백색이고 가지와 잎은 푸른색이며 일 년 사계절 푸르고 색깔이 아름답다.” 는 뜻이다.

과실의 색깔은 검고 단단하여 염불할 때 사용하는 염주를 만드는데 사용한다. 꽃은 7 월에 채집하여 약용한다.

보리수(菩提樹)의 잎사귀를 가성 소다(수산화나트륨)를 희석한 물속에 집어 넣고 끓이면 그물 모양의 잎사귀의 엽맥(葉脈) 만 남는다. 그 물로 먹물 삼아 글씨를 쓰면 매우 아름답다. 인도의 승려들은 보리수(菩提樹) 잎사귀를 물속에 담그어 둔 후 그 물로 불상(佛像)을 그리는 물감으로 사용한다.

다음은 선종(禪宗) 육조(六祖) 혜능(慧能)의 고사(故事)이다.

선종(禪宗) 오조(五祖) 홍인(弘忍)이 의발(衣鉢)을 전수할 제자를 여러 명의 제자 중에서 뽑으려고 하였다. 홍인은 제자들에게 자기의 마음을 담은 시(詩)를 한 수(首) 씩 써서 올리라고 말했다.

제자들 중에서 제일 나이가 많고 학식이 풍부한 신수(神秀)가 다음과 같은 시(詩)를 썼다.

”신여보리수(身如菩提樹), 심여명경대(心如明鏡臺) ; 시시근불식(時時勤拂拭), 면득야진애(免得惹塵埃).”

다시 말하면 ”몸은 보리수와 같고 마음은 밝은 거울과 똑 같게 하기 위하여 속세의 더러움에 때묻지 않도록 항상 털고 닦고 싶어라!” 는 뜻이다.

제자들은 모두 훌륭한 시(詩)라고 이구동성으로 말했다.

지식도 별로 없고 주방에서 자질 구레한 일을 하고있는 혜능(惠能)은 신수(神秀)의 시를 읽어본 후에 자정 까지 심사숙고하여 자기가 생각한 다음과 같은 시를 친구에게 써달라고 부탁하였다.

”보리본무수(菩提本無樹), 명경역비대(明鏡亦非臺);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 하처야진애(何處惹塵埃).”

다시 말하면 ”보리는 본시 나무가 아니고 명경 역시 대(臺)가 아니다. 본래 물질이 하나도 없으면 속세의 더러움으로 더렵혀지지 않는다.” 는 뜻이다.

그 날밤 홍인은 혜능(惠能)에게 의발을 전수했다. 이상은 중국 선종(禪宗)의 고사(故事)이다. 이로 인하여 중국 북방에서는 신수(神秀)가 점오파(漸悟派)를 형성했고 중국 남방에서는 혜능(惠能)이 돈오파(頓悟派)를 형성하게 되었다.

단수(椴樹)의 학명은 Tilia 이고 키는 30m 이고 직경은 1m 이다. 단수(椴樹)의 잎과 꽃은 약용하며 향기가 좋아 향수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단수화(椴樹花)에서 생산된 꿀은 향이 매우 진하다.

단수화(椴樹花)는 향기가 좋아 음료로 사용하고 떡을 만들 때 향료로도 사용되며 단수화차(椴樹花茶)는 발한 작용과 감기 예방 작용이 있다.

단수(椴樹)의 별명은 엽상과(葉上果)이다. 즉 과실이 잎사귀에 붙어 있다는 뜻이다.

단수(椴樹)의 뿌리는 약용하는데 성미(性味)는 고(苦), 온(溫)이다. 거풍활혈(祛風活血) 작용과 지통 작용이 있으므로 질타손상과 풍습둉통과 사지마목(四肢麻木)의 치료에 사용된다. 용량은 0.5 냥(兩) 내지 1 냥(兩)이고 수전복 또는 주복(酒服)한다.

보리(菩提)의 영문명은 Linden 이고 학명은 Tilia Europaea 이며 별명은 단수(椴樹), 서양보리(西洋菩提), 서양단수(西洋椴樹)이다.

보리수(菩提樹)의 학명은 Ficus Religiosa 이고 일종의 상과(桑科) 용속(榕屬) 또는 무화과속(無花果屬)이며 영문명 Linden 의 학명은 Tilia Europaea 인데 완전히 다른 품종이다.

독일어의 Linde 는 단수(椴樹)를 일컬으며 보리수(菩提樹)와는 다르다.

오스트리아의 저명한 작곡가 슈베르트(Schubert : 서기 1797 년 - 서기 1828 년)의 저명한 가곡 중 ”보리수(菩提樹)” 는 Linden 을 일컫는다.

단수(椴樹)의 키는 10m 쯤 된다. 수령이 1000여 년 된 것도 있다.

단수화(椴樹花 : 菩提花)는 양봉(養蜂)에 이용되고 향기가 독특한 보리화꿀(椴樹花꿀)을 생산한다.

보리화(椴樹花)의 성분 중 항자유기(抗自由基) 특성을 갖고 있는 곡황소(槲黃素 : Quercetin)는 소염 작용도 있다.

단수(椴樹)의 수피 속에 들어있는 섬유로 어망(漁網)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되며 유럽의 길거리에서 흔히 볼수 있는 나무이다.

매년 여름 작은 황록색의 꽃을 피우는데 그 향기는 사람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준다. 유럽 사람들은 아이들이 보리수(椴樹) 밑에서 노는 것을 좋아한다.

왜냐하면 어린 아이들의 정서를 진작시켜 주기 때문이다. 독일 사람들은 보리차(菩提茶)를 Mother’s Tea 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보리차(椴樹茶)는 긴장을 풀어주고 불면증을 치료해 주기 때문이다.

보리(椴樹 )의 화기(花期)는 7, 8 월 이고 결과기(結果期)는 8, 9 월이다. 신선한 보리(椴樹)의 꽃잎은 비타민 C 가 많이 들어있어 피부의 노화를 방지해 주고 죽은깨와 기미 등을 제거시켜 주며 건성 피부를 치료해 주고 꽃과 잎은 진정 효과가 있고 정신 긴장을 풀어주기 때문에 불면증과 걱정 근심을 없애준다. 강혈지(降血脂) 효과가 있으므로 심혈관 경색을 방지해 주고 이뇨 작용과 발한 작용도 있다. 감비(減肥) 효과와 배독(排毒) 작용도 해준다.

또 양안미용(養顔美容) 작용과 월경불순을 치료해 주고 소간이기(疏肝理氣) 작용과 내분비선의 작용을 개선시켜 준다.

유럽 사람들은 소화를 돕기 위해서 걱정과 근심을 덜어주기 위해서 또 불면증을 치료해 주기 위해서 식후에 보리차(椴樹茶)를 마신다.

보리차(椴樹茶)는 강혈지(降血脂) 작용이 있기 때문에 동맥경화를 방지해 주고 심신을 안정시켜 줌으로 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준다.

보리(椴樹)의 꽃 속에 들어 있는 Quercetin 성분은 소염, 항산화, 항암 작용이 있다. 또 Quercetin 은 강혈지 작용과 강혈압 작용이 있고 동맥경화와 심근경색 등 질병을 예방해 준다. 단 임신부는 신용(愼用)해야 된다.


단수(椴樹)의 수피(樹皮)와 근피(根皮) 역시 약용한다. 현대 약리 분석 실험 결과 보리수화(菩提樹花) 속에 함유되어 있는 점액과 휘발성유(揮發性油) 속에는 금합환순(金合歡醇)이 들어 있고 또 일종의 발한 작용을 해주는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다. 수피 속에는 지방과 왁스(Wax)와 젤라틴이 들어있다.

보리수화(菩提樹花 : 椴樹花)의 성미(性味)는 고(苦), 신(辛), 양(凉)이다. 발한(發汗) 작용과 해열(解熱) 작용과 진경(鎭痙) 작용이 있다. 보리수화(菩提樹花)는 풍한 감기와 노상구해(勞傷久咳)를 치료해 준다.

1. 풍한감기 : 보리화(椴樹花) 3g 을 따뜻한 물속에 집어 넣은 다음 설탕을 가미해서 복용한다.

2. 불면증과 다몽(多夢) : 보리화 3g(또는 보리수피(椴樹樹皮) 21g)과 비파엽(枇杷葉) 10g 을 수전하여 설탕을 가미해서 복용하거나 황주(黃酒)와 함께 복용하거나 꿀을 타서 복용한다.

또 보리수(菩提樹(椴樹))의 근피(根皮)의 성미(性味)는 삽(澁), 평(平)이고 담낭염과 매독과 임병(淋病)을 치료해 주고 보리수(椴樹)의 수피는 수렴 작용과 화농(化膿) 작용과 소종(消腫) 작용이 있으며 당뇨병의 치료에 사용된다.

치통과 치은통(齒龈痛)에 수피의 즙(汁)을 입 안에 머금고 있으면 지통된다.

2011년 5월 21일 토요일

익지인(益智仁)

익지인(益智仁)



익지인(益智仁)은 1761 년에 임상 경험이 풍부한 엄서정(嚴西亭)과 시첨영(施澹寧)과 홍집암(洪輯庵) 등 세명의 의사들이 서로 토론하고 연구하여 집필한 득배본초(得配本草)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다.



익지인(益智仁)은 강과(姜科) 식물 익지(益智)의 잘 익은 과실이다.



비주지(脾主智)이다. 즉 비장(脾臟)은 사람의 지력(智力)을 주관한다. 익지(益智)는 비장을 이롭게 해준다. 그래서 얻은 이름이 익지인(益智仁)이다.



익지인(益智仁)은 다년생 초본 식물이며 키는 1m 내지 3m 쯤 되고 꽃은 흰색이고 빨강색 선(線)이 보인다. 꽃 받침의 밑 부분은 통 모양으로 생겼으며 여러개가 모여서 삼각형을 이룬다. 화기(花期)는 3-5 월이고 음습(陰濕)한 나무 그늘 밑을 좋아하며 해남도에 많다. 5, 6 월에 과실이 갈색(褐色)으로 변하고 과피(果皮)에 용모(茸毛)가 적을 때 채취한다. 과실은 방추형(紡錘形)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는 1.5cm 내지 2cm 이며 직경은 1cm 쯤 되고 외피는 홍종색(紅棕色) 또는 회종색(灰棕色)이다. 줄기의 끝에 구슬 모양의 과실이 다닥 다닥 붙어있어 흡사 작은 구슬 방망이 처럼 보인다.



약리 실험 결과 건위(健胃), 항이뇨(抗利尿), 타액분비 감소 작용이 있다고 나타났다. 익지인(益智仁)의 성미(性味)는 신(辛), 온(溫)이고 온비보신(溫脾補腎) 작용과 청열해독 작용과 소염지통(消炎止痛) 작용이 있다.



다음은 익지인(益智仁)에 대한 하나의 고사(故事)이다.



옛날 어느 수재(秀才)가 여러 차례 과거 시험에 낙방하였기 때문에 고민이 많아서 밤에 잠을 제대로 잘 수 없었다. 어느 날 저녁 때 정원에 나가 앉아서 고민하고 있었다. 목이 마르고 골치도 아파서 옆에 있는 초목의 열매를 따 먹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신도 맑아지고 잠도 잘자게 되었다. 그후 이 청년은 과거 시험에 합격했고 동네 사람들은 이 과실의 신기한 역량에 감탄하여 이 과실의 이름을 익지인(益智仁)이라고 명명하였다.



해남도(海南島) 오지산(五指山)에 가보면 익지인(益智仁)을 발견하게 되는데 과연 이 과실이 그러한 역량이 있을까?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한약학에서 익지인(益智仁)은 보비신(補脾腎)해 준다고 말한다. 비장(脾臟)과 신장(腎臟)이 좋은 사람은 영양분의 흡수가 잘 됨으로 지력이 향상된다.



익지인(益智仁)의 신온(辛溫) 성미(性味)가 비장으로 들어가서 온중산한(溫中散寒)해 줌으로 비위(脾胃)의 작용을 증강시켜 주기 때문에 비위허한(脾胃虛寒)으로 인한 복사(腹瀉)와 구토(嘔吐)를 치료해 준다.



또 신(腎)은 선천지본(先天之本)이고 진음(眞陰)과 진양(眞陽)이 깃들어 있는 곳이며 전신의 음양(陰陽)의 근본이다. 그런데 익지인(益智仁)은 보신(補腎) 작용과 보허(補虛) 작용이 있기 때문에 명문화쇠(命門火衰)의 증상인 신정수손(腎精受損)과 신기불고(腎氣不固)와 실정(失精)과 요실금(尿失禁)과 신허(腎虛)로 인하여 밤에 소변을 여러 차례 보러 일어나는 사람에게 유효하며 보신고정(補腎固精) 작용도 있다.



익지인(益智仁)의 신온(辛溫) 성미(性味)는 신(腎)으로 들어가서 온신조양(溫腎助陽)해 주고 신기(腎氣)를 증강시켜 주며 축뇨고정(縮尿固精)해 주고 지붕보허(止崩補虛)해 준다.



신(辛), 열(熱) 성미(性味)를 지니고 있는 보골지(補骨脂)와 익지인(益智仁)을 배합하여 사용할 경우 온신보허(溫腎補虛) 작용이 증진되어 양위(陽痿 : Impotence)와 유정(遺精)과 요슬냉통(腰膝冷痛)과 요빈(尿頻)과 유뇨(遺尿) 증상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 부녀자들의 신양허(腎陽虛)와 신기불고(腎氣不固)로 인한 양이 적고 맑은 색의 대하(帶下) 또는 붕루대하(崩漏帶下) 증상과 충임실고(衝任失固)로 인한 태루하혈(胎漏下血) 등의 치료에 익지인(益智仁)을 복용하면 난신(暖腎) 작용과 고섭(固攝) 작용과 거한(祛寒) 작용과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의 조절 작용이 있음으로 붕루대하는 자연적으로 치료된다. 단 음허화왕(陰虛火旺)과 열(熱)로 인한 붕루와 혈조유화자(血燥有火者)는 기용(忌用)해야 된다.

2011년 5월 20일 금요일

오지산(五指山) 약초(藥草)

오지산(五指山) 약초(藥草)



진(秦 : 서기 전 221 년 – 서기 전 207 년) 나라 이전에 광동성과 광서성에살고 있던 여족(黎族)들의 일부가 해남도로 이동하여 살게 되었다. 그러므로 여족(黎族)은 해남도에 가장 먼저 거주한 소수민족이다.



해남도의 중남부에 여족들이 신산(神山)이라고 부르는 오지산(五指山)이 있다. 오지산(五指山)의 높이는 1867m 로써 해남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사람의 손가락 처럼 생긴 5 개의 봉우리로 연결되어 있는 산이다. 오지산(五指山)에는 수 많은 약초들이 자라고 있다.



다음과 같은 전설이 해남도에 전해 내려 오고 있다.



”재원고시대(在遠古時代), 오지산구시일편개활적평원(五指山區是一片開闊的平原), 주착일대부부화타문적오개아자(住着一對夫婦和他們的五個兒子), 인위타문선량(因爲他們善良), 상천사급타문양건능대래호운적보물(上天賜給他們兩件能帶來好運的寶物), 분별시보서화보검(分別是寶鋤和寶劍). 저개소식전도해도이중(這個消息傳到海盜耳中), 어시해도규집료수백인(於是海盜糾集了數百人), 패점료타문적토지(覇佔了他們的土地), 살사료저대부부(殺死了這對夫婦), 병파오형제조기래(幷把五兄弟抓起來). 해도대오형제엄형고타(海盜對五兄弟嚴刑拷打), 박타문교출양건보물(迫他們交出兩件寶物), 단타문영사불굴(但他們寧死不屈), 최후일일피살해(最後一一被殺害). 오형제적영용행위감동료저일대적동물(五兄弟的英勇行爲感動了這一帶的動物), 성군결대교사해도(成群結隊咬死海盜), 수후우반래대량니토화석두(隨後又搬來大量泥土和石頭), 루기오좌고고적산분(壘起五座高高的山墳), 파오형제안장기중(把五兄弟安葬其中), 저오좌산취시오지산(這五座山就是五指山).”



다시 말하면 ”옛날에 오지산 지역은 광활한 평원(平原)이었다. 슬하에 5 명의 아들을 둔 부부가 살고 있었다. 천상(天上)에서 두 개의 행운의 보물 즉 보서(寶鋤 : 보석으로 만든 괭이)와 보검(寶劍 : 보석으로 만든 양쪽에 날이 있는 큰 칼)을 그들에게 하사하였다.



광동성 일대와 해남도 일대를 약탈해 가는 해적들이 이 소식을 들었다. 수 백명의 해적들이 해남도를 점령하고 5 형제의 부모를 죽이고 5 형제도 해적들에게 모두 체포되었으며 두 개의 보물을 내어 놓으라고 두들겨 팼다.



5 형제는 죽을 지언정 뜻을 굽히지 않았다. 그 결과 5 형제는 해적들에게 모두 피살되었다.



5 형제의 영웅적 행동에 감격하여 어디서인지 사나운 맹수들이 나타나서 해적들을 모두 물어 죽여 버렸다. 그리고 나서 맹수들은 흙과 돌을 옮겨 5 개의 크나큰 묘를 만들어 5 형제를 안장(安葬)하였다. 5 형제의 묘는 후에 오지산이 되었다.” 는 뜻이다.



오지산(五指山) 지역에 여족(黎族)들이 존경하는 비아(比亞)라고 불리는 약왕(藥王)이 있었다. 약왕은 자신의 한약 지식과 의술을 수제자에게 전수하는데 현임(現任) 약왕은 아만(阿蔓)이라고 불리는 자상하고 선량한 여성이다.



여족(黎族)들은 고유의 언어를 갖고 있으나 문자가 없다. 그래서 모든 지식과 문화는 구전(口傳) 방식으로 전수되어 왔다. 그래서 약왕 후보자들은 어릴적 부터 약왕을 따라 산으로 돌아다니며 채약하고 한의학 이론과 각종 약초의 공효를 암기하고 한약의 조제 방법과 처방을 배워야 한다.



이러한 어려운 과정을 통과한 약왕 후보자들이 자격이 있다고 인정될 때 동네의 노인들이 한 자리에 모여서 후보자들 중에서 가장 총명한 후보자 한 사람을 선택하는데 남자이건 여자이건 상관하지 않는다.



현재의 약왕 아만(阿蔓) 역시 이러한 과정을 거친 총명하고 인자하며 적극적으로 배우려는 의지를 표명한 여자였다. 아만(阿蔓)은 환자의 병정을 자세히 진찰하지만 그외 발병 계절에 따라 각기 다른 초약을 사용하여 치료한다.



여족 고유의 한의학은 2 천 여년 동안 꾸준히 전승되고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상당히 성숙한 한의학이 되었다. 아만(阿蔓)은 각 약초의 약성을 물론 이해하려니와 각 약초의 생장 과정을 잘 이해하고 있다. 그러므로 어느 질병의 치료에는 어느 약초를 어느 때 채집해야 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여족들은 ”만불유령(萬物有靈)” 이란 확고한 인식을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이 세상 모든 만물 속에 영(靈)이 들어있으며 모든 한약 속에도 영(靈)이 들어있기 때문에 질병이 치료된다는 것을 굳게 믿고 있다.



그러므로 오늘 날에도 해남도 여족(黎族)들은 원시적인 숭배 사상과 원시 신앙을 갖고 있으므로 채약하러 산에 올라 갈 때도 험한 의복차림으로 올라가지 않고 한약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내기 위해서 여족(黎族) 고유의 아름다운 의상 차림으로 채약하러 나선다.



해남도 오지산(五指山)은 해발 1900m 나 되며 전 세계 3 대 열대 우림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식물자원과 동물자원이 풍부한 지역이며 2000여 종 이상이나 되는 약초가 자라고 있고 중국 전체 약용 식물의 40% 가 해남도에서 생산된다.



소쇄보(小碎補)와 대쇄보(大碎補)는 보신(補腎)해 주고 보신장양(補腎壯陽)해 주며 접골(接骨)도 해주고 전립선에 이로운 한약인데 오지산에서 생산된다.



또 해주(解酒)해 주고 소염해 주며 청열해독 공효가 있는 초두구(草豆蔻)도 이곳에서 생산된다.



또 일종의 특별한 식물 사라(桫椤 : Spinulosa Tree Fern(Cyathea Spinolosa))가 이곳에 아직도 서식하고 있다. 사라 나무는 지금부터 1 억 8 천만 년전 지구상에 공룡(恐龍)이 번창하던 시대에 지구상에 가장 번성하던 식물이었다. 해발 1000m 이상에서 잘 자라고 있다.



중국 내에서는 대만과 해남도와 광동성과 사천성에서 자라고 있는데 중국 정부의 제 1 급 보호 수종(樹種) 중 하나이다. 잎은 고사리의 잎과 똑 같이 생겼으며 잎의 길이는 1 미터 내지 2 미터이고 폭은 1 미터나 된다. 그러나 현재 멸종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사라나무는 현재 전 세계 극소수 지방에 서식하고 있다. 오지산 열대 우림 지역은 햇빛과 수분이 충분하여 약재 성장에 적합한 기후조건을 갖추고 있다.



여족들은 ”일방수토양일방인(一方水土養一方人), 부동수토생장출래적중초약(不同水土生長出來的中草藥), 공효시부동적(功效是不同的), 대치료유특별적공효(對治療有特別的功效).” 라고 말한다.



다시 말하면 ”어떤 지방의 흙과 물은 그 지방 사람을 기르고 흙과 물이 다르면 그곳에서 생장하는 한약의 공효도 각각 다르다.” 는 뜻이다.



현대 문명이 발달하였지만 오지산(五指山) 지역에 살고 있는 여족(黎族)들은 아직도 구태의연한 소박한 생활을 하고 있다.



최초로 배를 타고 해남도로 들어 온 여족(黎族)의 선조들은 도착 당일 부터 타고 온 배를 뒤집어 지붕 삼고 생활하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지금도 그들의 주택 형태는 뱃머리 모양으로 지붕 끝이 뾰족하다. 주택은 주로 대나무와 나무 가지와 띠(茅草)로 만들어 졌으며 지붕은 아치형이다.



최근 중국 정부에서는 오지산(五指山) 자연 환경 보호를 구실삼아 띠(茅草)를 채취하지 못하도록 채취금지령을 내려 지붕이 띠(茅草) 대신 강판(鋼板 : Steel Plate)으로 교체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얼마 후에는 아름다운 띠로 만든 선형(船形) 주택도 보기 힘들 것 같다.

2011년 5월 19일 목요일

돈을 벌게 해주는 불수감(佛手柑) 나무의 열매

돈을 벌게 해주는 불수감(佛手柑) 나무의 열매



불수감(佛手柑) 나무 열매의 약명은 불수(佛手)이다. 입약(入藥) 부분은 과실이고 성미(性味)는 신(辛), 고(苦), 산(酸), 온(溫)이다. 간(肝)과 비(脾)와 위(胃)와 폐(肺)로 들어 간다. 소간이기(疏肝理氣) 작용과 건비화위(健脾和胃) 작용과 화담지해(化痰止咳) 작용이 있다. 위병(胃病)과 구토(嘔吐)와 고혈압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건위지통(健胃止痛) 작용은 진피(陳皮) 보다 강하나 거담(祛痰) 작용은 진피 만 못하다. 현대 약리 실험 결과 불수(佛手) 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수알코올은 장도(腸道) 평활근(平滑筋)의 억제 작용이 있어 위완동통(胃脘疼痛)을 치료해 준다고 나타났다.



광동성(廣東省) 덕경현(德慶縣) 사람들은 그곳에서 생산되는 하수오(何首烏)와 파극천(巴戟天)과 불수(佛手)로 돈을 번다. 덕경현(德慶縣)은 광주(廣州)에서 서쪽으로 150km 쯤에 자리잡고 있다.



이곳 약농(藥農) 중에는 불수(佛手) 밭 속에 집을 지어 놓고 살림을 해가며 불수 농사를 30 년, 40 년, 50 년 동안 짓고 있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불수(佛手)의 꽃망울은 옅은 자색(紫色)인데 활짝 피면 백색이다. 불수(佛手) 나무의 가지에 단단하고 짧은 가시가 돋혀 있기 때문에 불수(佛手)를 추수할 때 각별히 조심해야 된다.



불수과(佛手果)의 종류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주먹을 쥐고 있는 모양으로 생긴 권불수(拳佛手)가 있고 다른 하나는 주먹을 펴고 있는 모양을 한 개불수(開佛手)가 있다. 대부분 3 개 내지 5 개의 손가락으로 형성되어 있다.



불수(佛手)란 이름의 유래는 손 모양으로 생겼고 약용 가치가 높으며 질병을 치료해 주기 때문에 얻은 이름이다. 길상(吉祥)의 뜻이 담겨있는 이름이다. 중국어 발음은 불수(佛手 : fusu)와 복수(福壽 : fusu)가 서로 비슷하다.



백성들의 불수(佛手)에 대한 속어(俗語) 중에 ”복수면면(福壽綿綿), 소재해난(消災解難).” 이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행복과 장수가 계속 함께 갖추어져 있으면 모든 재난을 면할 수 있다.” 는 뜻이다.



그래서 백성들은 불수(佛手)를 먹으면 복(福)과 수(壽)가 면면히 이어간다고 믿고 있다. 그리고 불수과(佛手果)는 3 개 내지 5 개의 손가락(指)을 갖고 있는데 손가락 지(指 : zhi) 자(字)는 아들 자(子 : zi) 자(字)와 비슷한 발음을 갖고 있다.



그래서 불수(佛手)를 먹으면 ”다자다복(多子多福)” 해진다고 믿고 있다.



다시 말하면 “불수를 먹으면 슬하에 자식을 많이 두고 복이 있다.” 는 뜻이다.



불수과(佛手果)의 식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얇게 편(片)을 만들어 꿀 속에 집어널어 둔다. 어린 아이들이 감기로 인하여 몸에 열이 발생하거나 노인들의 신체가 불편할 때 2 편(片)을 끓여 차(茶) 대신 마시면 병도 치료되고 소화도 잘딘다.



불수과(佛手果)가 익을 무렵 불수(佛手) 나무 옆을 지나가면 신선한 레몬향(香)이 코속으로 스며들어 상쾌한 느낌을 준다. 불수(佛手) 과수원 속에서 살고 있는 약농들은 잔병 치레를 하지 않는다.



불수(佛手)의 고향 광동성(廣東省) 덕경현(德慶縣) 약농(藥農)들은 ”일척불수일담곡(一隻佛手一擔穀), 일묘불수일동루(一亩佛手一棟樓)” 란 말을 믿고 산다.



다시 말하면 ”불수 한 나무에서 쌀이 한 가마 나오고 불수밭 30 평(坪)에서 집이 한 채 나온다.” 는 뜻이다.



불수(佛手) 약농들은 이 말로 자위하고 열심히 불수(佛手)를 재배하며 살아가고 있다. 지금도 광동성(廣東省) 농촌에 가보면 조상 대대로 부모가 자식이 결혼하여 분가할 때 집 한 채를 마련해 주는 풍습이 전해 내려 오고 있다.

2011년 5월 18일 수요일

육두구(肉豆蔻)

육두구(肉豆)

홍콩은 향항(香港)이라고 불리운다. 즉 향기나는 항구란 뜻이다. 홍콩이란 단어의 유래는 여러가지 있는데 그중 한 가지는 향료(香料)와 관계가 깊다. 홍콩에 있는 동완현(東莞縣)은 향료의 생산지임으로 이곳에서 생산되는 향료를 완향(莞香)이라고 불렀다.

대부분 향료는 홍콩에 집결되어 유럽과 일본을 비롯하여 전 세계로 수출되었다. 그래서 향항(香港)이란 이름을 얻었다.

정향(丁香)과 호초(胡椒)와 육계(肉桂)와 육두구(肉豆) 등 네 가지 향료는 중세기에 가장 중요하게 여긴 향료들이다. 이 향료들의 주산지는 동남 아시아인데 향료의 매매는 주로 베니스(Venice) 상인들에 의하여 독점되어 있었다.

그후 유럽 국가들이 베니스 상인들의 향료 독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신항로를 개척하고 향료 수출입 선대(船隊)를 조직하게 되었다. 사실 콜럼버스(Columbus : 서기 1451 서기 1506 )가 신대륙을 발견한 것도 그 이유 중 하나는 스페인 황실에서 동방의 향료를 발견하기 위한 것이었다.

신항로 개척 이후 향료 전쟁은 더욱 심각해졌다. 특히 4 대 향료 중 육두구(Numeg) 향료의 경쟁이 가장 치열했었다.

두구() ()가 붙어있는 식물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그중 백두구(白豆), 육두구(肉豆), 초두구(草豆), 홍두구(紅豆) 등이 있다.

속어(俗語)두구연화(年華)” 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나이 어린 아름다운 소녀란 뜻인데 여기서 말하는 두구()는 백두구(白豆)를 일컫는다.

백두구(白豆)는 청록색이며 자색(紫色)의 아름답고 작은 꽃을 피운다. 그래서 13 , 14 세 소녀를 두구연화(年華)라고 말했다. 육두구(肉豆)와 백두구(白豆)는 이름이 비슷하지만 형태는 완전히 다르다.

봄철에 해남도(海南島)에 가보면 짙은 녹색의 육두구(肉豆) 나무에 황도(黃桃)와 비슷하게 생긴 노랑색 열매가 주렁 주렁 매달려 있는 것을 볼수 있다.

만당(晩唐) 때 풍류(風流) 시인 두목(杜牧 : 서기 803 서기 852 )의 시()에 보면 빙빙뇨뇨십삼여(娉娉袅袅十三餘), 두고초두이월초(梢頭二月初)” 란 시구(詩句)가 있다.

다시 말하면 몸매가 날씬하고 아름다운 갓 열 세살 처녀의 하늘 거리는 모습! 이월 초 두고의 나무 가지 끝에 매달린 꽃망울이련가?” 란 뜻이다.

두목은 2 월 초 무렵에 아직 피지 않은 아름다운 두구의 꽃망울과 갓 열 세살된 처녀를 비유하였다.

이때 부터 후세 사람들은 십 삼 사세 처녀들을 두구연화(年華)라고 부르게 되었다.

육두구(肉豆)는 무성한 가지와 잎을 갖고 있으며 노랑색 과일이 주렁 주렁 매달려 있고 과실과 잎에서 향내가 물씬 풍기며 과실과 잎에서 향료를 추출한다.

13 세기 영국에서 육두구(肉豆)의 값은 매우 비쌌다. 육두구(肉豆) 한 근( : 500g)과 양() 3 마리와 맞바꾸었다.

15 세기 말 유럽 사람들은 동방(東方)의 소도(小島)에서 육두구(肉豆)를 발견하였다. 그래서 영국과 네덜란드는 육두구(肉豆)의 생산섬 반다(Banda) 섬을 서로 점령하기 위하여 전쟁을 벌였다.

반다(Banda) 섬은 인도네시아의 Maluka 군도(群島)에 있는 하나의 작은 섬 Banda Island 인데 Spice Island(양념의 섬) 라고도 칭한다.

반다(Banda) 섬에서는 Nutmeg Mace 를 생산한다. Mace 는 육두구의 껍질을 말린 향료이다. 요즘 Banda 섬은 스쿠버 다이버들의 인기를 모으고 있다.

육두구(肉豆)는 말레이시아의 Penang Island Caribbean 중에 있는 Grenada 섬에서 자라며 인도의 남쪽주 Kerala 에서도 생장한다.

영국과 네덜란드가 전쟁을 하게된 동기는 육두구(肉豆)가 조미료 뿐만 아니라 각종 식용 고기의 방부제 역할을 해주기 때문이었다. 물론 육두구(肉豆)는 질병도 치료해 준다.

육두구(肉豆)의 성미(性味)는 신(), ()이며 비()와 위()와 대장(大腸)으로 들어간다. 온중행기(溫中行氣)해 주고 위장을 보호해 주며 지사(止瀉) 작용도 있다. 특히 비위허한(脾胃虛寒)으로 인한 구사부지(久瀉不止)와 허한기체(虛寒氣滯)로 인한 위통(胃痛)과 위창(胃脹)과 소화불량과 구토와 습열로 인한 복사(腹瀉) 등을 치료해 준다.

육두구(肉豆)는 내복(內服) 외에 외용(外用)도 한다.

육두구(肉豆)를 제련(提煉)하여 추출된 정유(精油)는 미용재료로 사용되고 수면의 질을 향상시켜 주는 효능도 있다. 그래서 동남아 여인들은 미용을 위하여 육두구 정유를 얼굴에 바르고 다닌다. 16 세기 부터 육두구(肉豆)에서 정유(精油)를 제련하기 시작했다.

육두구(肉豆)는 열대 상록 교목 육두구수(肉豆: Myristica Fragrans Houtt)의 성숙한 종인(種仁)이다.

육두구(肉豆)의 산지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와 브라질이며 중국 내에서는 광동(廣東)과 광서(廣西)와 운남(雲南) 지역에서 재배하고 있고 해남도에서는 백두구(白豆)와 육두구(肉豆) 모두 재배하고 있다.

육두구(肉豆)는 방향성(芳香性)이나 마취 성능도 있고 사람을 환각시켜 주는 흥분제가 들어있으므로 과량 복용하면 않된다. 두구()는 두구()인데 핵(核)이 없고 살만 있기 때문에 육두구(肉豆)란 이름을 얻었다. 그래서 본초강목에는 육과(肉果)로 수록되어 있다.

육두구수(肉豆)의 키는 20m 쯤 된다. 과일은 원구형(圓球形)이거나 달걀 모양이고 길이는 2cm 내지 3cm 이며 직경은 1.5cm 내지 1.8cm 이고 무게는 5g 내지 10g 쯤 된다. 건조한 육두구(肉豆) 표면은 회색과 황색인데 거칠다.

육두구(肉豆)는 자웅이수(雌雄異樹)이고 암꽃과 수꽃이 수정되어 열매를 맺는다. 수꽃은 개화하나 열매를 맺지 못한다. 암나무에 만 과실이 주렁 주렁 매달려 있는 것을 보면 마음이 흐뭇해 지나 수 나무엔 열매가 하나도 달려 있지 않은 것을 볼때 적막하고 처량한 생각도 든다.

보통 육두구(肉豆)7, 8 년 이상 되어야 열매를 맺는다. 과실은 황도(黃桃) 처럼 생겼다. 그리고 과실은 삭과(蒴果 : Capsule)이다.

육두구(肉豆)를 술속에 집어 넣어 육두구주(肉豆)를 빚어 마시면 사람을 약간 흥분시켜 주고 창작력(創作力)을 증진시켜 준다.

전설에 의하면 세계적인 문학가 쉐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 서기 1564 년 - 서기 1616 년)와 세계적인 화가 반고호(Vincent W. Van Gogh : 서기 1853 년 - 서기 1891 년)는 항상 육두구주(肉豆)를 마셨기 때문에 창작력이 왕성해져서 글을 잘 쓰고 상상력이 풍부해져서 그림을 잘 그렸다고한다.

소량(3g 내지 6g)을 복용 할 경우 위액분비와 위장의 연동 운동이 촉진되나 대량 복용시엔 정반대 작용이 발생한다.

동물 실험 결과 육두구(肉豆) 과량 섭취시 호흡이 완만해 지고 동자(瞳子)가 확대되며 보행이 더디고 졸린다고 나타났다.

사람의 경우 육두구(肉豆) 가루 7.5g 을 복용할 경우 현훈(眩暈)과 혼수(昏睡)와 의식장애가 발생하고 대량 복용시 치사한 병례(病例) 보고도 있다.

고양이에게 체중 1kg 1.9g 의 육두구(肉豆)를 복용시켰더니 혼수상태가 발생했으며 24 시간 내에 죽어 버렸다. 육두구(肉豆)는 서양 말로 Nutmeg 이다.

2011년 5월 17일 화요일

복건성(福建省) 하포(霞浦)의 전복 양식(養殖)

복건성(福建省) 하포(霞浦)의 전복 양식(養殖)







석결명(石決明)은 전복(全鰒 : Abalon)의 껍질이다. 성미(性味)는 한(寒), 함(鹹)이고 평간잠양(平肝潛陽), 청간명목(淸肝明目), 안신중진(安神重鎭) 작용이 있다. 천연 수면약은 지상에 만 있는 것이 아니라 바다속에도 있다.







중국의 절강성 밑에 있는 복건성(福建省)은 중국내에서 해안선이 가장 긴 성(省)이다. 해안선의 직선 거리는 500km 쯤 되는데 만곡이 심하여 전체 거리는 직선 거리의 6 배가 넘는 3000km 이상 된다. 그중에서도 해안선이 아주 복잡한 곳이 하포(霞浦)이다.







하포는 복건성(福建省) 내에서 해안선이 가장 긴 현(縣)이다.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기 때문에 곳곳에 수 많은 해산물 양식장이 있다. 해안선이 움푹 들어간 곳에 양식장을 설치해 놓았기 때문에 태풍이 불어와도 걱정없다. 양식장 주위에 크고 작은 배들이 눈에 띄는데 그 배들은 대부분 양식장 주인의 집이나 마찬가지이다.







양식하는 해산물의 종류는 500여 종에 달한다. 바닷물 밑을 자세히 살펴보면 검정색 상자들이 눈에 띄는데 그것은 전복을 양식하는 상자이다. 양식장에서 나오는 전복은 육질이 매우 양호하며 맛이 좋다.







전복은 다시마와 미역을 먹고 산다. 다른 식물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래서 전복 양식장 부근에 반드시 다시마와 미역 양식장을 곁들여 놓아야 매일 신선한 다시마를 전복들에게 먹일 수 있다.







전복 양식자들은 전복이 들어있는 검정 대바구니를 사흘에 한 차례 물속에서 끌어 올려 전복들에게 다시마나 미역을 먹인다. 전복 양식자들 중에는 보통 3000여 개의 상자를 갖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전복이 가장 좋아하는 물의 온도는 섭씨 8 도 에서 섭씨 24 도 사이이다. 4 월 말 쯤에 복건성(福建省) 하포(霞浦)에서 산동성 까지 이사를 가야 된다. 왜냐하면 전복들이 가장 좋아하는 물의 온도를 맞춰주기 위해서다. 5 월 초 부터 산동성 바닷속의 물의 온도가 서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초 겨울에는 산동성의 물의 온도가 내려감으로 또 다시 복건성(福建省) 하포(霞浦)로 이사를 와야한다. 이런식으로 네차례 이사를 하고 나면 전복은 완전 성숙한다.







하포(霞浦)의 해안선의 길이는 404km 이며 하포(霞浦)는 다시마와 김의 고향이라고 불린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전복을 좋아한다. 전복은 맛도 좋을 뿐만 아니라 자보(滋補) 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전복의 껍질을 석결명(石決明)이라고 부르고 고혈압과 두통과 두훈을 치료해 주고 눈을 밝혀준다. 단 비위허한(脾胃虛寒)과 소화불량이 있는 사람은 신용한다. 석결명(石決明)은 안신중진(安神重鎭) 작용이 있기 때문에 불면증과 심번(心煩)과 이노(易怒)와 고구(苦口) 등 증상을 치료해 준다. 간화상항(肝火上亢)으로 인하여 불면증이 있는 사람은 석결명(石決明)과 저뇌(猪腦)와 천마(天麻)를 함께 끓여 복용하면 평간잠양(平肝潛陽) 효과가 있어 불면증이 치료된다.

2011년 5월 16일 월요일

대두화(大頭花)

대두화(大頭花)



대두화(大頭花)는 하고초(夏枯草)의 별명이다. 하고초(夏枯草)는 2 천 여년 전 부터 항결핵약물(抗結核藥物)로 사용되어 왔다. 신농본초경에보면 하고초(夏枯草)는 임파결핵(연주창)의 전문 치료약으로 기록되어 있다.



다음은 하고초(夏枯草)에 대한 고사(故事)이다.



”고시(古時), 모일촌리적노부인환료결핵성경부임파선만성종창(某一村裏的老婦人患了結核性頸部淋巴腺慢性腫脹). 병정엄중득자상구류출농액(病情嚴重得自傷口流出膿液). 소유적인도인위호무치유적가능(所有的人都認爲毫無治癒的可能). 모일천(某一天), 일개대부도노부인소주적촌락(一個大夫到老婦人所住的村落), 노부인취지청타치료(老婦人就地請他治療). 대부소채적시자색화타적야초(大夫所採的是紫色花朶的野草), 타장화수절세(他將花穗切細), 전자급노부인음용(煎煮給老婦人飮用). 기천후(幾天後), 지주농액일류(止住膿液溢流), 상구야점점유합(傷口也漸漸癒合). 노부인대희과망(老婦人大喜過望), 초대대부가효미식(招待大夫佳餚美食), 성심지관대타(誠心地款待他). 아자재이유목염후(兒子在耳濡目染後), 대약초야산생료흥취(對藥草也産生了興趣). 인차대부대저수재도산상거채자화(因此大夫帶著秀才到山上去採紫花), 약미타원형엽적야초(略微楕圓形葉的野草), 대타설(對他說) : ”저시대결핵성경부임파선만성종창유극효적약초(這是對結核性頸部淋巴腺慢性腫脹有極效的藥草). 단저종약초일도추천취회고위(但這種藥草一到秋天就會枯萎). 저일점청뢰뢰기주(這一點請牢牢記住).” 강호현아유개관리적모친야환료결핵성경부임파선만성종창(剛好縣衙有個官吏的母親也患了結核性頸部淋巴腺慢性腫脹), 관리도첩시포고(官吏到處貼示佈告), 심구양의(尋求良醫), 수재입각포지관아(秀才立刻跑至官衙) : ”소민지도십마약초유효(小民知道什麽藥草有效).” 이후타령관리상산(而後他領官吏上山), 각편심부저(卻遍尋不著). 반피이기군지죄명판처료오십차판형(反被以欺君之罪名判處了五十次板刑). 대부돌연래방(大夫突然來訪), 수재즉고이심부저약초조처극형지경과(秀才卽告以尋不著藥草而遭處極刑之經過). 양인우복상산(兩人又復上山), 각발현편지시자화약초(卻發現遍地是紫花藥草). ”이전아증제성과이(以前我曾提醒過爾), 추풍일취타취회고위(秋風一吹它就會枯萎), 소이비진하계채집불가(所以非趁夏季採集不可).” 수재청후황연대오(秀才聽後恍然大悟), 위편어기주(爲便於記住), 내장지명명위(乃將之命名爲)’하고초(夏枯草)’.”



다시 말하면 ”옛날 어느 시골에 노부인(老婦人)이 결핵성 경부 임파선 만성 종창에 걸렸다. 병정이 엄중해 지더니 스스로 곪아 터져서 고름이 흘러 나오기 시작했다. 동네 사람들은 치유되기 어려운 병이다고 말했다.



어느 날 이 마을에 낭중이 머물게 되었다. 노부인은 즉시 낭중을 집안으로 초대하여 자기의 병을 치료해 달라고 부탁했다. 낭중은 뒷산에 올라가 자색(紫色) 꽃잎이 달린 야초를 한 웅큼 뜯어 가지고 하산하였다.



낭중은 야초를 잘게 썬 후 끓여서 노부인에게 복용시켰다. 며칠 후 상구에서 흘러 나오던 고름이 멈추고 상구도 점점 아물기 시작했다. 노부인은 기뻐하며 낭중을 집으로 초대하여 성심 성의껏 차린 음식으로 융숭한 접대를 하였다.



노부인의 아들은 귀속에서 고름이 흘러 나오고 간화로 인하여 목적종통이 생긴 후 부터 초약에 관심이 많았다. 그래서 낭중은 노부인의 아들 수재(秀才)를 데리고 잎의 모양이 타원형으로 생긴 자색 꽃을 피우는 그 약초를 채집하러 산으로 올라갔다.



낭중은 ”이 약초는 결핵성 경부 임파선 만성 종창에 탁월한 효험이 있는 약초이다. 그런데 이 약초는 가을이 돌아오면 말라 비틀어져 자취를 감춘다. 이 점을 똑똑히 기억해 두어야 한다. 명심하여라” 고 수재(秀才)에게 말했다.



얼마후에 고을 현장(縣長)의 모친이 결핵성 경부 임파선 만성 종창에 걸렸다. 현관리들은 곳곳에 현장의 모친의 병을 치료할 수 있는 의사를 구한다는 방(榜)을 부쳤다. 수재(秀才)는 그 방(榜)을 보고나서 즉시 현청으로 달려갔다.



수재(秀才)는 현관리에게 ”소인은 어떤 약초로 현장의 모친의 병을 치료할 수 있는지 압니다.” 고 말했다. 수재(秀才)는 현관리를 데리고 산으로 올라갔다. 온 산을 두루 헤매고 돌아다녔으나 낭중이 가르쳐 준 그 약초를 발견하지 못했다. 그 결과 수재(秀才)는 사기죄를 덮어 쓰고 50 차(次) 판형(板刑)을 받았다.



돌연히 낭중이 수재(秀才)의 마을에 또 다시 나타났다. 수재(秀才)는 낭중에게 ”당신이 전에 나에게 알려 준 그 약초를 찾으러 현관리들과 함께 산에 올라갔다가 찾지 못하여 사기죄로 몰려 50 차 판형을 받고 풀려났습니다.” 고 말했다.



판형(板刑)이란?



목판에 4 개의 작은 구멍을 뚫어 손목과 발목을 구멍 속에 집어 넣어 허리를 구부린 채로 있게하는 형벌의 하나이다. 판형을 받고 나면 대부분 허리병이 생겨 죽을 때 까지 고생하며 살아야 한다.



낭중은 수재(秀才)와 함께 다시 산으로 올라갔다. 그런데 그 자화(紫花) 약초는 온 천지에 널려 있었다. 낭중은 수재(秀才)에게 ”가을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그 자화 약초는 모두 시들어 말라 비틀어져서 자취를 감추고 만다고 내가 분명히 너에게 말했었다. 이 점을 항상 기억해 두라고 너에게 말했었지?” 라고 다시 되풀이해 주었다. 수재(秀才)는 이때 이후로 크게 깨닫고 하고초의 채집시기를 똑똑히 기억해 두었다. 사람들은 이 고사로 인하여 이 자화(紫花) 약초를 하고초라고 명명하게 되었다.” 는 뜻이다.



명(明) 나라 때 의학가 설기(薛己 : 서기 1486 년 – 서기 1558 년)는 설기외과경험방(薛己外科經驗方)에 ”하고초내치나력지성약야(夏枯草乃治瘰疬之聖藥也). 기초이득(其草易得), 기공심다(其功甚多).” 라고 기록해 놓았다.



다시 말하면 ”하고초는 연주창 치료의 성약이다. 하고초는 구하기 쉽고 탁월한 약효를 지니고 있다.” 는 뜻이다.



본초강목에 보면 ”하고초동지생(夏枯草冬至生), 하지후즉고(夏至後卽枯), 개품순양지기(盖稟純陽之氣), 득음기즉고(得陰氣卽枯), 고유시명(故有是名). 하고초치목주동지야심자신효(夏枯草治目珠疼至夜甚者神效), 이양치음야(以陽治陰也).”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하고초는 동지에 나서 하지에 말라 죽는다. 대개 순양지기(純陽之氣)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음기를 얻으면 말라 버린다. 그래서 하고초란 이름을 얻었다. 밤에 눈망울에 심한 통증을 가라앉혀 주는데 신효막측하다. 즉 양으로 음을 치료하는 이치이다.” 는 뜻이다.



소공(蘇恭)은 ”동지후생엽(冬至後生葉), 삼사월개화(三四月開花), 결자작수(結子作穗), 오월편고(五月便枯).” 라고 말했다. 다시 말하면 ”하고초는 동지 후에 잎이 돋아나고 삼 사월에 꽃이 피어 열매를 맺고 오월이면 말라 버린다.” 는 뜻이다.



2 천 년전 부터 하고초를 임파결핵의 치료에 사용했다.



신농본초경에 보면 ”하고초(夏枯草) : 주한열나력(主寒熱瘰疬), 서창(鼠瘡).”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하고초는 한열연주창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왕긍당(王肯堂)과 이시진(李時珍)과 이사재(李士材)와 무희옹(繆希雍) 등은 ”하고초위치나력지요약(夏枯草爲治瘰疬之要藥), 병보충료각종용법(幷補充了各種用法).” 이라고 기록해 놓았다.



다시 말하면 ”하고초는 연주창 치료의 요약이고 각종 질병의 치료에 보충으로 사용된다.” 는 뜻이다.



왕긍당(王肯堂)의 외과준승(外科準繩)에 보면 ”하고초탕(夏枯草湯), 즉하고초일미(卽夏枯草一味), 용육량식전전복(用六兩食前煎服), 치나력마도(治瘰疬馬刀), 이궤미궤혹일구성루(已潰未潰或日久成漏), 다복익선(多服益善).”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하고초 한 가지 약 여섯 냥(兩)을 푹 삶아서 식사하기 전에 복용하면 연주창이 치료된다. 상구가 터져서 고름이 나오거나 아직 터지지 않았거나 이미 터져서 오랫 동안 고름이 흘러 나오는 연주창의 치료에도 계속적으로 장기 복용하면 치유된다.” 는 뜻이다.



최근에 하고초를 암치료에 사용하고 있다. 하고초는 심장의 활동을 증진시켜 줌으로 혈액순환을 양호하게 해준다. 또 하고초 속에 들어있는 웅과엽산(熊果葉酸 : Ursolic Acid)은 이뇨작용을 해준다.



또 하고초와 목호접(木蝴蝶)과 배합하여 만성 인후염과 설염(舌炎) 등을 치료한다.



또 여름철 어린 아이들의 종기(부스럼) 치료에 생지(生地)와 돼지 살고기와 하고초를 함께 전탕(煎湯) 내복(內服)하면 치료된다.



하고초는 강압 작용이 있고 이질간균과 상한간균과 곽란간균과 대장간균과 녹농간균과 포도상 구균과 연구균의 억제 작용이 있다.



청간사화(淸肝瀉火) 작용이 있으므로 간화상염(肝火上炎)과 간양상항(肝陽上亢)으로 인한 두통과 목현과 목적종통과 목주동통(目珠疼痛)과 고혈압을 치료해 준다.



청열산결(淸熱散結) 작용이 있으므로 나력(瘰疬)과 영류(瘿瘤)와 유옹(乳癰) 등을 치료해 준다. 하고초와 국화의 성미는 모두 신(辛), 고(苦), 한(寒)인데 하고초의 고한지성(苦寒之性)은 국화의 고한지성 보다 더 강하다.

2011년 5월 14일 토요일

노로통(路路通)

노로통(路路通)



노로통(路路通)의 입약(入藥) 부분은 과실이다. 성미(性味)는 평(平), 신(辛), 고(苦)이고 공효는 거풍통락해 주며 이수하유(利水下乳)해 주고 지양(止痒) 작용이 있다. 내복과 외용한다.



사족(畲族) 의사들이 거주하는 부근에 저두산(豬頭山)이 있는데 일 백 여종의 약초가 자라고 있다. 사족은 복건성과 절강성과 강서성과 광동성에 살고있는 소수 민족이다.



절강성 경녕(景寧)에 사족자치구가 있다. 사족들의 의술은 조상 대대로 입으로 전해 내려 오고 있으며 전남부전녀(傳男不傳女)를 원칙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의술은 오직 남자들에게 만 전수되고 여자들에게는 전수되지 않는다.



초약(草藥) 위주의 치료법이기 때문에 의사들을 청초의(靑草醫)라고 칭하며 한약의 뿌리와 줄기와 잎과 꽃과 열매를 사용한다. 한약은 채취한 후 100일 한도 내에서 사용하며 1 년 이상은 사용하지 않는다.



또 한약과 가축의 내장과 고기와 술과 생강과 설탕을 가미하여 사용한다.



열성병(熱性病)에는 빙당(氷糖)과 백설탕을 사용하고 한성병(寒性病)에는 홍당(紅糖)과 생강을 사용한다. 허성병(虛性病)에는 돼지 족발(猪蹄)과 협심육(夾心肉 : 돼지 다리의 살고기)를 사용하고 질타손상의 치료에는 황주(黃酒)를 사용한다.



절대 다수의 의사들은 농사를 지으며 의사 노릇을 겸하여 하고 있다. 사족 의사들 중 저명한 의사는 뇌건정(雷乾禎)과 남곤금(藍坤金)과 남거정(藍居丁) 등이 있다.



환자의 병정에 따라 치료하지만 병이 생긴 계절을 매우 중요시 한다. 예를 들면 우방자(牛蒡子)도 봄철과 겨울철에는 습기가 없는 마른 곳에서 자란 것을 사용하고 여름과 가을철에는 습기가 있는 강변이나 호수가에서 자란 우방자를 약으로 사용한다.



저두산(豬頭山) 기슭에 2 백년 묵은 노로통 나무가 있는데 7, 8 월 경에 열매가 저절로 땅에 떨어져 매년 50 바구니의 열매를 주어 모을 수 있다. 노로통 나무를 풍향수(楓香樹)라고도 부른다. 노로통의 나무 잎은 엄지와 식지와 중지를 벌리고 있는 모양이다. 늦 가을이 돌아오면 노로통의 나무 잎은 온통 빨강색으로 변하여 보기 좋은 단풍을 구경할 수 있다.



노로통의 열매는 흡사 밤송이와 비슷하며 거풍습(祛風濕) 작용이 있기 때문에 관절통의 치료에 사용된다.



사족 의사들은 산부인과 질병과 피부병의 치료에도 노로통 열매를 사용한다. 피부병의 치료에는 끓여서 환처를 씻어 준다.



관절통의 치료에는 환처에 열부(熱敷)해 준다.



노로통의 열매의 또 다름 별명은 풍과(楓果), 풍실(楓實), 풍구자(楓球子), 구공자(九孔子)이다.



본초강목습유에 보면 ”통행십이경(通行十二經)” 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지체비통(肢體痺痛), 수족구련(手足拘攣),위통(胃痛),수종(水腫),창만(脹滿),경폐(經閉),유소(乳少), 옹저(癰疽), 치루(痔漏), 개선(疥癬), 습진(濕疹) 등을 치료해 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노로통의 뿌리는 경락을 소통해 준다.



중서(中暑)의 치료에는 노로통의 잎사귀와 어성초(魚腥草)를 배합하여 치료한다.



이내유황수(耳內流黃水)의 치료엔 노로통 5 전(錢)을 수전복한다. 풍습지절통에는 노로통, 진구(秦艽), 상지(桑枝), 해풍등(海風藤), 귤락(橘絡), 이인(苡仁)을 수전복한다. 단 경수(經水) 과다자와 임부는 기용하고 음허내열자도 신용하며 허한(虛寒)혈붕자도 물복(勿服)해야 한다.

냉이(薺菜)

냉이(薺菜)

정명석명(正名釋名)에 보면 시재어천금식치(始載於千金食治), 위십자화과식물제채적대근전초(爲十字花科植物薺菜的帶根全草). 본품제동제(本品薺同齊) : 제자제야(齊者濟也), 차초기시능과복연생(此草飢時能果腹延生), 상시가지혈활명(傷時可止血活命), 공효파대(功效頗大), 작용제전이고명(作用齊全而故名).”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냉이는 손사막(孫思邈)의 천금방(千金方)-식치(食治)에 최초로 기재되어 있는데 십자화과 식물 냉이의 뿌리를 포함한 전초(全草)를 일컫는다. 냉이를 제채(薺菜)라고 부르는데 제()는 제()와 같고 또 제()는 제()를 의미한다. 주릴 때 냉이는 배를 부르게 해줌으로 생명을 연장해 주고 다쳤을 때 지혈해 줌으로 사람을 살려 준다. 냉이의 공효는 막대하다. 두루 살펴서 백성들을 구해 준다는 뜻에서 얻어진 이름이다.” 는 뜻이다.

()구해준다는 뜻을 포함하고 있다.

명의별록에는 제(), 본초강목에는 호생초(護生草),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에는 지미채(地米菜)라고 기록되어 있다.

냉이는 봄철 야채 중 진품(珍品)이며 수 천년 동안 백성들로 부터 특별히 총애를 받아 온 봄나물이다.

시경(詩經)의 국풍(國風)에 보면 수위도고(誰謂), 기감여재(其甘如薺).”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누가 씀바귀를 쓰다 했던가? 나의 쓰라림에 비하면 씀바귀는 오히려 냉이 처럼 달다고 말할 수 있겠다.” 는 뜻이다.

이아(爾雅)에 보면 제미감(薺味甘), 인취기즙작저급갱역가(人取其汁作菹及羹亦佳).”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냉이의 맛은 달고 냉이로 나물을 만들어 먹고 냉이국을 끓여 먹으면 가품(佳品)이다.” 는 뜻이다.

냉이는 첫째 부드럽고 연하며 향기가 사람의 구미를 당겨주고 먹고 난 후에도 입안에 향이 남아 있다.

역대 시인들과 문인들이 냉이에 대하여 입이 마르도록 칭찬해 왔다.

소동파(蘇東坡)는 냉이를 맛본 후 냉이의 맛과 향에 대하여 친구들에게 극구 찬양했으며 냉이가 질병도 치료해 준다고 자세하게 설명해 주었다.

송(宋) 나라 때 봄을 노래한 시(詩) 한 구절은 다음과 같다.

월락암전몽미회(月落庵前夢未回), 송간무한조성최(松間無限鳥聲催).
  막언춘색무인상(莫言春色無人賞), 야채화개접야래(野菜花開蝶也來).”

다시 말하면 새벽 달은 초가 지붕 너머로 이미 떨어졌는데 꿈을 꾸려하나 꾸어지지 않네! 소나무 사이에서 끊임없이 지저귀는 새소리는 잠을 깨우고, 봄을 칭찬하는 사람이 아직 아무도 없는데, 냉이꽃은 활짝 피어 나비가 날아드는구나!” 는 뜻이다.

여기서 야채화는 냉이의 꽃을 일컫는다. 냉이는 시골의 봄 소식을 제일 먼저 알려주는 나물이다.

냉이의 식용 방법은 다종다양하다. 삶아서도 먹고 볶아서도 먹으며 냉이로 만두소를 만들어 만두를 만들어 먹고 쌀가루와 함께 섞어 냉이떡도 만들어 먹으며 냉이국도 끓여 먹는다.

중국 사람들이 제일 좋아하는 냉이로 만든 춘권(春卷)이 있다.

달걀을 몇개 깨트려 잘 저은 후 손바닥만한 사이즈로 얇게 전을 부친다. 두부와 냉이를 함께 익혀서 양념을 가미한 후 달걀전으로 김밥 싸듯이 말아서 먹는다. 특별한 냉이의 향을 음미하며 먹는 봄철 음식이다.

그외 냉이를 사용하여 제채두부갱(薺菜豆腐羹)과 제채신선탕(薺菜神仙湯) 등을 요리해 먹는다.

현대 연구에 의하면 냉이는 초산(草酸)과 주석산(酒石酸)과 평과산 등 7 종의 유기산을 포함하고 있고 정안산과 곡안산과 천동안산 등 11 종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카로즈(蔗糖)과 유당과 안기포도당과 베타캐로틴과 비타민 B1, B2, B6, C 와 포타슘과 망간과 칼슘과 나트륨과 철분과 인()과 염소(Clorine)과 담감( : Cloline)과 을선담감(乙선 : 아세틸콜린(sacetylcholine))과 조감(皂苷 : 사포닌)과 운향감(芸香 : Rutin)과 황동류와 등피감(橙皮)과 단백질과 지방과 탄수화물과 섬유소와 회분(灰分)과 유알소(: Thiamine)와 핵황소(核黃素 : Rioflavin)와 니코틴 등 인체에 필요한 영양물질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고인들은 삼월삼(三月三), 제채당영단(薺菜當靈丹)” 이란 속언(俗言)을 남겼다.

다시 말하면 삼 월 삼 짇날 먹는 냉이는 효험이 좋은 특효약이다.” 는 뜻이다 

고인들이 만들어 놓은 속언을 현대 과학은 이제사 증명한 셈이다.

냉이의 화기(花期)3, 4, 5 월이고 전야(田野)와 노변(路邊)과 정원 등 전국 각지 방방곡곡에 분포되어 있다.

명의별록에 보면 명목(明目), 익위(益胃)” 라고기 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냉이는 눈을 밝혀주고 위()를 튼튼하게 해준다.” 는 뜻이다.

현대 약리 실험 결과 냉이는 자궁수축 작용과 관상동맥 확장 작용과 강압 작용과 최산소(催産素) 역할을 해준다고 나타났다.

서양 의학에서 고혈압과 객혈과 산부인과의 출혈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냉이 속에서 추출한 물질로 만들어져 있다.

냉이의 성미(性味)는 감(), ()이고 화비(和脾), 이수(利水), 지혈(止血), 명목(明目) 효능이 있다. 냉이는 이질과 수종(水腫)과 임병과 유미뇨(乳糜尿)와 토혈과 변혈(便血)과 혈붕(血崩)과 월경과다와 목적동통(目赤疼痛)을 치료해 준다.

다음은 냉이를 사용한 간단한 처방들이다.

1.         이질, 변혈 : 냉이꽃 50g (또는 냉이의 잎 50g)과 찹쌀 60g을 함께 섞어 묽은 죽을 쑤어 하루에 두 세 차례 복용한다. 이 죽은 월경과다와 붕루도 치료해 준다.
2.         설사 : 냉이꽃 10g 을 가루내어 대추 삶은 물과 함께 복용한다.
3.         유미뇨(乳糜尿) : 신선한 냉이 60g 을 끓여 차(茶) 대신 마신다. 1 개월 동안 마신다.
     유미뇨(乳糜尿)? 지방분이 섞인 젖빛과 같은 오줌을 누는 병이다.
4.         고혈압 : 냉이 50g 과 하고초(夏枯草) 50g 과 국화 15g 을 수전복 한다.
5.         토혈, 비뉵(鼻衄) : 신선한 냉이 60g 과 측백엽(側柏葉) 15g 과 우절탄(藕節炭) 15g 을 수전복 한다.
6.         자궁출혈 : 냉이꽃 30g 과 익모초 20g 과 묘두회(墓頭回(Patrinia Heterophylla) 20g 을 수전복 한다.
7.         마진(痲疹) 예방 : 냉이 20g 내지 60g 을 끓여 흑설탕을 가미해서 차(茶) 대신 마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