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8월 29일 월요일

암 예방

암 예방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암으로 인하여 사망하는 100 명 중 30 명은 충분히 사전에 암을 예방할 수있다고 발표했다.

또 캐나다에서 매년 6 만 여명의 어린이들이 기관지 천식에 걸리는데 그 원인을 조사해 본 결과 Second-hand smoke 이다고 나타났다.

캐나다 사람들의 일상 생활 중 여성 100 명 가운데 40 명이 암에 걸리고 남성 100 명 중 45 명이 반드시 암에 걸린다는 통계가 나왔다. 그러므로 캐나다 내에 살고 있는 사람들 두 사람 중에 한 명은 암으로 죽는다는 말과 같다.

그런데 생활 습관을 바꾸어 주고 음식 조절을 잘하고 필수 영양제를 섭취함으로써 발암율을 낮출 수 있다는 희망은 있다.

첫째 성생활 :

정상적인 성생활은 사람의 면역 기능을 증강시켜 주고 질병을 예방해 주며 보다 건강한 신체를 유지시켜 준다. 일 주일에 1 회 내지 2 회 성생활을 하는 사람은 특히 IgA(Immunoglobulin A)라고 불리는 인체내의 항체(Antibody)의 레벨이 높아짐으로 면역기능이 증강된다. 또 남성들의 정상적인 성생활과 전립선암과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British Journal of Urology International ”50 , 60 , 70 대 남성들이 정상적인 성생활을 영위할 때 전립선암에 걸릴 확률이 낮아진다.” 고 발표되었다.

둘째 마늘 :

마늘은 수 천년 동안 약용해 온 가장 오래된 약초 중 하나이다. 마늘은 심장병을 예방해 주고 고혈압을 치료해 주며 혈중 콜레스테롤의 양을 경감시켜 주고 면역기능을 증강시켜 준다고 나타났다. 생마늘과 요리한 마늘과 마늘유() 속에는 인() 성분이 들어 있는데 이는 항암작용을 해준다고 나타났다. 과학자들의 연구 실험에 의하여 마늘을 섭취하는 사람들은 위암과 대장암에 걸리는 확률이 낮다고 발표되었다. 특히 대장암에 걸릴 확률은 30% 나 더 낮다고 한다.

셋째 술 :

캐나다 사람들의 8 분의 1 은 과음(過飮)한다는 통계가 있다. 술은 암을 비롯하여 60 가지 이상의 질병과 관계되며 사고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조사한 데이터에 의하면 전 세계 사람들의 식도암과 간암과 간경화와 살인과 간질병과 교통 사고의 20% 내지 30% 는 술 때문이라고 나타났다.

Canadian Cancer Society 에서는 여성들은 하루에 한 잔 이상의 술을 마시지 말고 남성들은 하루에 두 잔 이상의 술을 마시지 말아야 한다고 발표했다.

넷째 담배 :

캐나다내의 전체 암환자 중 3 분의 1 은 담배로 인한 암이며 주로 폐암이다. 폐암의 원인 중에는 Second-hand smoke 도 포함되어 있다.

다섯째 녹차 :

녹차 속에는 Polyphenol 이라고 불리는 항산화제가 풍부하게 들어있다. 그중 Catechin 이란 항산화제는 대장암과 유방암과 난소암과 전립선암과 폐암 등에 걸릴 확률을 낮추어 준다. 녹차를 마시기 꺼려하는 사람들은 녹차로 만든 보조 영양제도 있다.

여섯 째 필수 영양소 :

필수 영양소는 우리 인체내에서 만들지 못하는 영양소이다. 필수 영양소는 면역 기능을 향상시켜 줌과 동시에 질병을 예방해 준다. 과학자들의 연구에 의하여 태아기 때 임부가 복합비타민을 섭취하면 신생아의 뇌암과 신경아세포종(神經芽細胞腫 : Neuroblastoma)과 백혈병에 걸릴 확률이 낮아 진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일곱 째 운동 :

적당한 운동을 할 경우 대장암의 발병율을 30% 내지 40% 경감 시킬수 있다. 갱년기 이후의 적당한 운동은 유방암과 난소암의 발병율을 낮추어 준다고 한다. 매일 30 분 내지 60 분 운동할 경우 대장암과 유방암과 난소암의 발병율을 낮출수 있다고 한다. 잘 먹고 운동 잘하고 체중 조절 만 해주어도 전체 암의 35% 는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여덟 째 비타민 C :

비타민 C 는 항산화제로써 혈관과 인대와 건( : Tendon)과 뼈와 잇빨을 튼튼하게 해주며 위암의 발병율을 낮추어 준다. US National Cancer Institute 에서 50 세에서 70 세 사이에 있는 3 만명을 상대로 비타민 C 와 위암의 관계를 연구 실험한 결과 비타민 C 를 섭취하는 사람들의 위암 발병율이 45% 감소되었다고 나타났다.

아홉 째 비타민 D :

비타민 D 의 부족 역시 암발병과 관계가 깊다고 보고되었다. 2010 년 말 The Institute of Health 에서 미국과 캐나다 정부를 대변해서 31 세 이상된 남성들의 RDA 800IU 이고 31 세 이상된 여성들의 RDA1000IU 라고 수정 발표하였다.

열째 햇빛 :

적당한 햇빛은 건강에 유익하다. 그러나 과도하게 햇빛에 노출시키면 피부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 과학자들의 연구 실험 결과 브로컬리와 셀러리외 양파와 토마토와 사과와 체리와 포도와 녹차와 포도주 등에 포함되어 있는 Apigenin Flavonoid 는 피부암을 방지해 준다고 나타났다. Tutmeric 속에 들어있는 Curcumin 과 포도와 적포도주 속에 들어 있는 Resveratrol 과 양파와 사과 속에 들어 있는 Quercetin 은 피부암을 예방해 준다고 나타났다.

2011년 8월 26일 금요일

간(肝)

()

난경(難經)에 보면 간중사근사냥(肝重四斤四兩), 좌삼엽(左三葉), 우사엽(右四葉), 범칠엽(凡七葉), 주장혼(主藏魂), 담재간지단엽간(膽在肝之短葉間), 중삼냥삼수(重三兩三銖), 성정즙삼홉(盛精汁三合).”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간의 무게는 4 () 4 ()이고 왼쪽에 3 (), 오른쪽에 4 (), 모두 합하여 7 ()으로 구성되어 있고 혼()을 간직하고 있다. 담은 간의 단엽 사이에 붙어 있고 무게는 3 () 3 ( : 1 ()는 한 냥()24 분의 1)이며 정즙 3 ()을 간직하고 있다.” 는 뜻이다.

한의학 관점에서 만들어진 성어(成語) 중에 간담상조(肝膽相照)” 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간과 담은 서로 보살펴 준다.” 는 뜻이다.

간과 담의 상호 작용을 일컬으며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설명해 주고 있다. 족궐음 간경은 리()이고 족소양 담경은 표()이다. 그래서 간경과 담경은 서로 표리(表裏) 관계에 있다고 말한다. 또 담소여서(膽小如鼠), 담대포천(膽大包天)” 이란 성어(成語)도 있다.

한의학에서는 담이 크고 작은 것은 간과 담이 결정한다고 말한다.

황제내경(黃帝內經) – 소문(素問) – 영란비전론(靈蘭秘傳論)에 보면 간자(肝者), 장군지관(將軍之官), 모려출언(謀慮出焉). 담자(膽者), 중정지관(中正之官), 결단출언(決斷出焉).”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간은 장군의 관직으로 모려를 낸다. 담은 중정의 관이며 결단을 내린다.” 는 뜻이다. 간은 계획을 세우고 담은 결단을 내린다.

고의서(古醫書)십녀구욱(十女九郁)” 이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열 명의 여자들 중에 아홉 명은 간기(肝氣)가 정체되어 있다.” 는 뜻이다.

사실 이 말은 원() 나라 때 주단계(朱丹溪)가 한 말이다.

간욱(肝郁)이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저녁때가 돌아오면 여자들은 걱정거리가 겹겹으로 쌓인다. 한 가지 일을 생각하고 또 반복해서 생각한다. 그러므로 모려(謀慮)가 과다하여 간욱이 형성된다. 간욱이 나타나면 근거없는 심한 공포감도 생기고 의심도 생기며 편집증도 생기고 공연스레 까닭없이 슬퍼서 눈물을 흘리는 증상 등이 나타난다. 사실  대부분의 여성들의 성격을 관찰해 볼때 사소하고 보잘 것 없는 일을 가지고 생각하고 또 생각하기 때문에 십녀구욱(十女九郁)" 이란 말이 생겼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쇼핑 다니는 시간은 남성들의 2 배 내지 4 배 라는 통계가 있다. 마찬가지로 여성들의 담결석(膽結石) 발병율도 남성들의 2 배 내지 4 배라는 통계도 있다.

사소한 일로 인하여 근심 걱정하고 번민하며 우울해 하고 무거운 마음을 지니고 있으면 담석증(膽石症)에 걸리기 쉽다. 그러므로 여성들은 담석증(膽石症)에 걸리지 않도록 특별히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 또 장기적으로 우욱(憂郁) 상태에 있는 여성들이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증명되었다.  한편 현대의 남성들에게도 여성들과 똑 같은 간욱(肝郁) 증상이 많이 나타난다고 한다. 왜냐하면 도시 생활과 직장 생활로 부터 오는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한다.

2011년 8월 24일 수요일

풍동(風動), 번동(幡動), 심동(心動)

풍동(風動), 번동(幡動), 심동(心動)

육조(六祖) 혜능법사(慧能法師)의 흥미있는 고사 중에 다음과 같은 풍동(風動), 번동(幡動), 심동(心動) 에 관한 고사(故事)가 있다.

혜능지광주법성사(慧能至廣州法性寺), 치인종법사강해열반종(値仁宗法師講解涅槃宗). 시유풍취번동(時有風吹幡動),
  일승왈(一僧曰) ”풍동(風動)”, 일승왈(一僧曰) ”번동(幡動)”, 의론불이(議論不已).
  혜능진왈(慧能進曰) : ”부시풍동(不是風動), 부시번동(不是幡動), 인자심동(仁者心動).”

다시 말하면 어느 날 혜능은 인종법사(仁宗法師)의 열반종(涅槃宗) 강의를 듣기 위하여 광주(廣州)에 있는 법성사(法性寺)를 방문했다. 그때 바람이 불어 깃발이 펄럭 거렸다. 깃발이 펄럭 거리는 모습을 바라보며 한 스님은 풍동이라고 말했고 또 한 스님은 번동이라고 말했다. 서로 왈가왈부하고 있을 때 혜능은 부시풍동(不是風動), 부시번동(不是幡動), 인자심동(仁者心動)” 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하면 바람이 움직이는 것도 아니요 깃발이 흔들리는 것도 아니요 인자의 마음이 흔들리는 것이요.” 라는 뜻이다.

불교(佛敎)에서 수행(修行)할 때심정여지수(心靜如止水), 심불망동(心不妄動).” 을 요구한다.

다시 말하면 마음은 흐르지 않는 물 처럼 편안하고 망령된 생각을 하지 말아야 함이라.” 는 뜻이다.

불가(佛家)의 수행(修行)과 한의학의 수행은 서로 일치하는 바가 있다.

마음 속에 망령된 생각이 없으면 질병의 발생을 경감 시킬 수 있다.

황제내경(黃帝內經) – 소문(素問) – 상고천진론(上古天眞論)에 보면 염담허무(虛無), 진기종지(眞氣從之), 정신내수(精神內守), 병안종래(病安從來). 시이지한이소욕(是以志閑而少慾), 심안이불구(心安而不), 형로이불권(形勞而不倦), 기종이순(氣從以順), 각종기욕(各從其欲), 개득소원(皆得所愿)”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마음을 편안하게 갖고 모든 잡념과 망상을 배제하면 진기가 막힘이 없이 순조롭게 통하여 인체의 안팎에서 질병이 발생하지 못한다. 마음이 편안하고 욕심이 적으면 정서가 안정됨으로 불안감과 초조한 마음도 없어지고 정기가 충만함으로 일을 열심히 해도 피곤을 모르고 각 사람의 바라는 바를 만족하게 얻을 수 있다.” 는 뜻이다.

한의학의 발병관(發病觀)은 불교의 사상과 일맥상통한다. 왜냐하면 염담허무(虛無)의 양생 방법과 불교의심정여지수(心靜如止水), 심불망동(心不妄動).” 의 사상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음양평형(陰陽平衡)

음양평형(陰陽平衡)

한의학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음양평형(陰陽平衡)이다.

음양평형(陰陽平衡)이란 무엇인가?

음양평형(陰陽平衡)을 구체적으로 알기쉽게 간단하게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은 네 마디의 말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흘득하(吃得下)이다.

다시 말하면 음식물을 먹고 싶은 식욕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즉 비위(脾胃)가 정상적으로 작용하여 소화기능이 정상적이어야 한다.

속언(俗言)여과일개인연죽수도갈불하(如果一個人連粥水都喝不下), 나타반지각이매진귀문관(那他半只脚已邁進鬼門關).” 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만일 어떤 사람이 묽은 미음 마저도 마시지 못한다면 그 사람은 이미 죽음의 문턱에 한 발을 딛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는 뜻이다.

둘째 납득출(拉得出)이다.

다시 말하면 매일 대소변이 정상적으로 배설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대변은 굳지도 무르지도 않아야 되며 소변은 지나치게 노란색깔도아니어야하고또 지나치게 하얀색깔도아니어야 하며 대소변을 배설할 때 힘이 들지 않아야 한다.

셋째 만상수득호(晩上睡得好), 백천유정신(白天有精神)이다.

다시 말하면 밤에 잠을 잘 자면 낮에 원기가 왕성하다는 뜻이다. 즉 밤에는 양음(養陰)해야 되고 낮에는 양양(養陽)해야 된다. 밤에 잠을 잘자면 신체의 각 장부가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고 양기가 정상적으로 운행하여 낮에 원기가 왕성하다.

넷째 월경정상(月經正常)이다.

여성들의 경우 월경주기와 월경량과 경혈(經血)의 색깔과 월경반응이 정상적이어야 한다.

좀더 저속(低俗)한 말을 빌린다면 음양평형(陰陽平衡)이란? ”잘 먹고 잘 싸고 잠을 잘 자는 것이다.”

음양평형(陰陽平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때 장수하기 위하여 보약을 복용할 필요가 없다.

2011년 8월 23일 화요일

상표초(桑螵鞘)

상표초(螵鞘)

상표초(螵鞘)는 신농본초경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는 당낭과(螳螂科) 곤충 대도랑(大刀螂) 또는 소도랑(小刀螂)의 난초()를 일컫는다.

난초()?

곤충들이 난자(卵子)를 보호하기 위하여 몸속에서 배출하는 물질인데 난초()로 난자를 둘러싸서 갑옷을 입혀 놓는다. 뽕나무 가지에 붙어있는 상표초상표초(螵鞘)의 약효가 가장 양호함으로 상표초상표초(螵鞘)란 이름을 얻었다.

당낭(螳螂 : 사마귀)의 난초()는 상표초(螵鞘)라고 칭하며 약용한다.

당낭(螳螂)은 매년 가을이 돌아오면 교미(交尾)하여 새끼들을 번식한다.

() 사마귀는 암() 사마귀 보다 체격이 훨씬 작다. 그래서 수 사마귀는 암 사마귀 보다 힘이 약하다.

교미(交尾)가 끝나고 나면 암 사마귀는 수 사마귀를 잡아 먹음으로써 자신을 보신한다.

일부 곤충들은 교미(交尾) 후 수놈을 잡아 먹고 보신하는 천성(天性)을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자손들의 건강을 위해서 수놈을 잡아 먹고 보신한다. 암 사마귀는 교미(交尾) 후 난자를 생산하고 나무 가지에 난자를 붙여놓고 찐득 찐득한 분비물로 난자의 밖을 도배하여 난괴(卵塊)를 형성한다. 

얼마 후에 난자를 둘러싸고 있는 분비물은 응고되어 단단해지며 난자를 보호해 주는 난초( : 알둥지)를 형성한다. 이듬 해 봄에 사마귀의 난자는 부화되어 유충의 사마귀가 난초()를 뚫고 밖으로 나온다.

사마귀의 난자(卵子)가 아직 부화되지 않은 것을 채취하여 약용하는데 이를 상표초(螵鞘)라고 칭한다.

이른 봄에 상표초(螵鞘)를 채취하자 마자 증기로 30분 내지 40 분 동안  훈증하여 말린 후 약용한다.

상표초(螵鞘)의 성미(性味)는 감(), (), ()이고 간()과 신장(腎臟)으로 들어 간다.

보신고정축뇨(補腎固精縮尿)의 공효가 있으므로 양위(陽痿)나 유정(遺精)과 조설(早泄)과 유뇨(遺尿)와 대상포진과 동창(凍瘡)과 소변빈삭(小便頻數)과 백탁(白濁 : 淋病)을 치료해 준다.

보간익신지대(補肝益腎止帶) 작용이 있으므로 적백대하(赤白帶下)를 치료해 준다.

온신조양(溫腎助陽) 작용이 있으므로 양위(陽痿)를 치료해 주고 익정생자(益精生子)해 준다.

내복(內服) 할 경우 하루에 4.5g 내지 9g 을 수전복한다. 음허화왕자(陰虛火旺者)와 방광에 열()이 있는 사람은 신복(愼服)해야 된다.

본초경집주(本草經集注)에 보면 득용골치설정(得龍骨治泄精). 외선복화(畏旋覆花).”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용골과 상표초를 배합하여 설정(泄精)을 치료 할수 있다. 단 선복화는 함께 배합하여 사용하지 못한다.” 는 뜻이다.

또 본경봉원(本經逢原)에 보면 간신명문약야(肝腎命門藥也)”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표초는 간장과 신장과 명문의 약이다.” 는 뜻이다.

사마귀(螳螂)도 약용한다. 사마귀(螳螂)의 성미(性味)는 감(), (), ()이고 경간(驚癎)과 인후종통과 치창(痔瘡) 등의 치료에 쓰인다. 사마귀(螳螂)는 몸이 길죽하고 초록빛 또는 황갈색을 띄고 있으며 벌레를 잡아 먹고 사는 곤충임으로 농업(農業)과 임업(林業)에 유익한 곤충이다.


선화(蟬花)

선화(蟬花)

선화(蟬花)는 본초도경(本草圖經)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다. 선화선화(蟬花)의 일생은 동충하초의 발생성장과 비슷하다. 선화선화(蟬花)의 기생균은 봉속포균(棒束)이다.

선화(蟬花)? 봉속포균과 기주(寄主)인 선유충(蟬幼蟲)의 건조체(乾燥體)이다. 봉속포균이 땅속에 들어 있는 약충의 체표에 들어 붙는다.

봉속포균은 약충의 한쪽 끝인 머리 부분에서 발아한다. 처음 발아한 아체(芽體)의 색깔은 백색이고 체장(體長)5cm 내지 6cm 쯤 된다. 또 길이가 1mm 내지 2mm 쯤 되는 가지를 치고 가지의 끝에 분말상(粉末狀)의 포자를 생성한다.

충체의 길이는 3cm 쯤 되고 몸통은 1.5cm 쯤 되며 모양은 매미와 비슷하다. 두부(頭部)에 꽃이 피어있 는매미의 껍질과 비슷하다.

충체(蟲體)를 칼로 잘라 보면 백색 가루와 같은 연한 물질로 꽉차 있고 약간의 향기도 난다. 이것을 선화(蟬花) 또는 충화(蟲花) 또는 금선화(金蟬花)라고 칭하며 균()과 유충(幼蟲)의 복합체이다.

선화(蟬花)의 성미는 한(), (), 무독하고 간()으로 들어간다. 선화(蟬花)는 명귀(名貴) 한약재이다.

산풍열(散風熱)해 주고 진경, 명목(明目)의 공효가 있다.

그러므로 소아천조(天吊)와 소아경간과 소아야제(小兒夜啼)와 심계와 학질 등을 치료해 준다. 또 목적(目赤)과 다루(多淚)와 예장불명(翳障不明)을 치료해 준다.

현대 약리 실험 결과 선화(蟬花)는 진통, 해열, 면역기능 조절, 신장(腎臟)의 기능 개선, 항종류(抗腫瘤)의 공효가 있다고 나타났다. 주요 산지는 사천성과 강소성과 절강성과 복건성이다. 선화(蟬花)의 공급이 수요량을 따라가지 못함으로 과학자들의 연구에 의하여 선화(蟬花)의 인공 배양에 성공하여  부족량을 충족시켜 주고 있다.

선화(蟬花)는 내복(內服)하며 3g 내지 6g 을 수전복(水煎服)한다.

선태(蟬蜕)

선태()

선태()는 매미의 허물을 일컫는다. 여름이 한창 무르익어 갈 무렵 매미는 나무 위에서 즐겁게 노래를 부르다가 암 매미를 만나 교미(交尾)한 후 즉시 죽어 버린다.

수 매미와 교미를 끝낸 암 매미는 나무를 타고 내려와 나무의 껍질 속에 산란한다. 수피(樹皮) 속에서 월동(越冬)하고 나서 그 다음 해 알이 부화하여 약충(若蟲)으로 탈바꿈 한다.

약충(若蟲)이란? 불완전한 변태를 하는 곤충들의 유충(幼蟲)을 일컫는다. 즉 매미는 알에서 약충(若蟲)으로 변하고 다시 성충으로 탈바꿈하는데 약충(若蟲)은 완전한 매미의 형태를 갖추기 전의 제 2 단계에 있는 유충을 일컫는다.

약충(若蟲)은 나무의 뿌리 속에서 나오는 액즙(液汁)을 빨아 먹고 자란다. 매미의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어떤 매미는 흙 속에서 3 년 내지 8 년이란 긴 세월을 약충(若蟲)으로 지내는 것도 있다.

약충(若蟲) 속에서 날개가 나올 무렵 약충(若蟲)은 땅속에서 밖으로 기어나와 나무 가지를 타고 올라가 등껍질을 벗고 성충(成蟲)이된다.

처음 날개가 나올 때는 날개가 매우 약해서 날지 못한다. 24 시간 만 경과하고 나면 날개가 튼튼해져서 날 수도 있고 노래도 부를 수 있다. 매미의 일생은 알에서 약충(若蟲)으로 약충(若蟲)에서 성충으로 변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여름철에 나뭇 가지에 올라 앉아서 노래를 부르는 매미는 적어도 알에서 부화한지 7 년 내지 8 년이 된 성숙한 매미임으로 매미는 곤충계에서 수성(壽星)이란 명예를 얻었다. 매미의 수명은 일반적으로 12 년 내지13 년 이라고 한다.

선태()는 살아 있는 매미 모양으로 생겼으며 선태()의 길이는 4cm 넓이는 2cm 이고 표면은 황종색이며 반투명이고 광택이 나고  텅빈 겉껍질 뿐이며 가볍고  부서지기 쉽고 무취(無臭)이며 미()는 담()이다.

늦 여름과 초가을 쯤 매미들이 좋아하는 나무의 밑에 가서 자세히 관찰해 보면 선태를 주어 모을 수 있다.

선태()의 성미는 감(), (), ()이고  무독하다.

선산풍열(宣散風熱), 투진(透疹), 이인(利咽), 퇴예명목(退翳明目), 거풍지경(祛風止痙), 해열진경(解熱鎭痙), 선폐(宣肺)해 주는 공능이 있음으로 풍열두통과 해수(咳嗽)와 실음(失音)과 인후종통과 외감풍열과 소아경간과 마진미투(痲疹未透)와 풍진소양(風疹瘙痒)과 음종(陰腫)과 목적예장(目赤翳障)과 추축()과 파상풍(破傷風) 등을 치료해 준다.

단 잉부(孕婦)는 기복(忌服)해야 된다.

다음은 선태()의 간편방이다.

1.   피부소양증 :

똑 같은 양의 선태()와 박하엽을 가루내어 하루에 세 차례 매차 1 ()씩 술과 함께 복용한다. (姚僧垣의 集驗方에서)

2.   소아천조(小兒天吊) :

선태()를 미음 속에 넣고 하루 종일 얕은 불에 끓인다. 햇빛에 말려 가루내어 매차 1 ()씩 찬 물로 복용한다.(衛生易簡方에서)

천조(天吊)란?

경풍(驚風)의 일종으로 발생 초기에 머리와 눈은 하늘을 쳐다 보고 수족이 추체()되는 증상이다.

고인들은 천조(天吊) : 여어지상조(如魚之上釣)” 라고 말했다.

다시 말하면 천조(天吊)? 물고기가 낚시에 걸려 하늘을 쳐다보며 물 속에서 올라오는 모양과 흡사하다.” 는 뜻이다.

그래서 고인들은 천조(天吊)를 천조(天釣)라고도 칭했다. 고인들은 천조(天吊)는 소아의 심격(心膈)에 사열(邪熱)이 옹체(壅滯)되어 발생한다고 말했으며 또 일 설에 의하면 천조(天吊)는 유모(乳母)가 열독(熱毒)이 있는 음식물을 과다 섭취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말했다.

3.   소아야제(小兒夜啼) :

선태() 27 개 속에 진사(辰砂)를 약간 가미하여 가루 낸다. 밤에 우는 아이들에게 꿀을 발라 빨아 먹게해 준다. (赤水玄珠에서)

4.   파상풍(破傷風) :

선태() 가루를 창구(瘡口)에 발라 준다. 독기(毒氣)가 스스로 소멸된다.(楊氏家藏方에서)

거북이와 자라

거북이와 자라

척추 동물 파핼강(爬行綱) 구별과(龜鱉科) 동물은 사실상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배갑(背甲)과 복갑(腹甲)이 연결되어 있어 몸뚱이가 하나의 상자 모양이고 머리와 꼬리와 사지가 움츠러들어 작은 상자 속으로 들어가는 오구(烏龜)이고 또 한 종류는 배갑과 복갑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배갑과 복갑이 연결되어 있는 가장 자리는 물렁 물렁한 골질이며 꼬리는 짧고 입은 뾰족하고 몸빛은 푸르죽죽한 회색을 띈 수중 생활을 하는 별( : 자라 : Hawksbill Turtle)이 있다.

오구 또한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체형이 거대하고 바닷속에서 살며 매년 백사장으로 올라와서 산란하는 해구(海龜)가 있다. 해구(海龜) 중에 대모(玳瑁)는 몸의 길이가 약 1m 이고 등껍데기는 심장형이고 빛갈의 변화가 많으며 열대 해양에 서식하고 있다. 갑각(甲殼)이 매우 아름답고 안경테와 장식품의 재료로 사용된다.

또 한 종류는 육지와 담수(淡水)에서 살며 체형은 비교적 작은데 오구(烏龜)라고 칭한다. 오구는 약용가치가 크다. 오구 중에는 금전구(金錢龜)와 금두구(金頭龜)와 대두구(大頭龜) 등이 있다.

이시진의 본초강목 45 () 개부(介部)의 첫 머리에 보면 이와 같이 분류는 되어있지 않고 모두 진구(秦龜) 또는 산구(山龜)라는 항목에  기재되어 있다.

최근에 금전구(金錢龜 : Money Turtle)는 암증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발표되었다. 그래서 하룻 밤 사이에 가격이 10 배로 껑충 뛰었다.

광서성 오주(梧州 : 계림의 남쪽 225km 지점)와 호남성에서 생산되는 금전구는 인기가 매우 높다.

금전구(金錢龜)의 학명(學名)은 삼선폐각구(三線閉殼龜 : Cyclemys Trifasciata)이다. 배갑의 길이는 18cm 이고 넓이는 15cm 이며 배갑은 얕은 종색(棕色 : 올리브 색) 또는 종홍색(棕紅色)이다.

금전구(金錢龜)는 식물의 잎과 줄기와 물고기와 새우와 달팽이와 곤충과 우렁이와 쥐새끼와 개구리와 호박과 바나나  등을 먹고 산다.

금전구(金錢龜)봄철과 여름철 사이에 암놈은 물가의 모래 속에 굴을 파고 그 속에 알을 낳는다. 매번 5 개 내지 10 개의 알을 낳고 흙으로 덮어 놓는다. 햇빛을 받으면 모래 속에 뭍여있는 알들이 자연적으로 부화된다.

금전구(金錢龜)는 중국의 강남 지역에 서식하고 있으며 광서성의 성도(省都) 남영(南寧)과 박백(博白)과 옥림(玉林 : 남영의 동쪽 190km 지점) 등지에 가장 많이 살고 있다.

오주는 금전구(金錢龜)의 집산지이기 때문에 오주는 금전구(金錢龜)의 주요 산지로 알려져 있다.

광서성(廣西省) 사람들은 금전구(金錢龜)를 여름철에 잡는다. 금전구(金錢龜)가 좋아하는 먹이를 종다래끼 속에 집어 넣어 얕은 물속에 놓아두면 금전구(金錢龜)들은 먹을 것을 구하러 종다래끼 속으로 들어간다.

금전구(金錢龜)가 종대래끼 속으로 들어가자 마자 문이 자동적으로 닫힘으로 금전구(金錢龜)를 쉽게 잡을 수 있다.

금전구(金錢龜)가 암을 치료할 수 있다는 이론이 발표된 후 의학계에서는 금전구(金錢龜)의 암치료 임상 실험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한편 민간에서는 금전구(金錢龜) 1 () 내지 2 () 짜리에 동충하초 5 전 내지 1 ()과 진피(陳皮) 8 () 내지 1 전 반을 물속에 함께 집아 넣어 얕은 불로 7 시간 내지 8 시간 끓인 후 여러차례 나누어 복용하여 임상 실험한 결과 매일 환자의 병증이 호전되고 환자의 체력이 증강됨을 발견하였다.

금전구(金錢龜)의 성미는 감(), (), ()이고 자음보혈 작용이 있음으로 노채골증(骨蒸)과 구해(久咳)와 객혈(喀血)과 구학()과 혈리(血痢)와 장풍치혈(腸風痔血)과 근골동통 등증을 치료해 준다.

금전구(金錢龜)의 배갑(背甲)은 약용하지 못하나 복갑(腹甲)은 약용한다. 복갑은 구판(龜版)이라고도 칭한다.

다음은 구판교(龜版膠) 만드는 법이다.

구판(龜版)은 먼저 부풀어 오를 때 까지 모래 속에 집어 넣고 볶은 다음 다시 뜨거운 식초 속에 집어 넣는다. 식초 속에서 건져낸 후 맑은 물로 씻어 햇빛에 말려서 입약한다. 구판(龜版)은 구판(龜版)에 붙어있는 살조각들이 썩을 때 까지 깨끗한 물속에 집어 넣어 둔다.

갑골에 붙어있던 살 조각들이 스스로 떨어져 갑골과 분리시키기 위하여 구판(龜版)을 맑은 물속에 집어 넣는다. 매일 깨끗한 물을 한 번씩 교환해 준다. 맑은 물만 나오기 시작하면 그친다.

그 다음 깨끗해진 구판(龜版)을 물속에 집어 넣고 48 시간 동안 얕은 불로 끓인다. 그 다음 맨위의 교액(膠液)을 다른 깨끗한 그릇 속에 따라낸 후 약간의 백반 가루를 가미해서 잘 저어 둔다. 다시 한 번 더 여과한 맑은 교액을 얕은 불을 사용하여 교액이 농축될 때 까지 끓인다. 농축된 교액을 냉각응고시키면 갈색의 결정체가 형성된다. 흡사 호박(琥珀)과 비슷하며 광택이 나고 투명한 구판교(龜版膠)가 만들어 진다.

구판(龜版)과 구판교(龜版膠)의 약성은 평(), (), 미함(微鹹)이고 자음강화, 보심신(補心腎), 강근골 해주는 공효가 있다.

동시에 음허혈휴(陰虛血虧)와 각슬위약(脚膝萎弱)과 노열골증(勞熱骨蒸)과 신허요통 및 토혈, 뉵혈, 붕루, 대하 등을 치료해 준다.

구판(龜版)은 구해(久咳)와 유정과 구리(久痢)와 구학()과 치창 등을 치료해 준다. 구판(龜版)과 구판교(龜版膠)의 공효는 대동소이하나 함께 섞어서는 사용하지 못한다.

()에는 별(: 자라 별)과 원( : 자라 원)의 두 종류가 있다.

체형이 작은 것은 별()이라고 부르고 체형이 큰 것은 원()이라고 칭한다.

체형이 작은 별(鱉)은 민간에서 수어(水魚), 갑어(甲魚), 원어(圓魚), 왕팔(王八) 등으로 불리운다.

신체는 평편타원형이고 배면의 중앙은 약간 볼록하게 튀어 올라와 있고 배면과 복면은 갑( : 갑옷)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실은 척골(脊骨)과 늑골(肋骨)이 변형된 것이다. 복갑은 흉골(胸骨)이 변형된 것이다.

배갑과 복갑 모두 근육과 연결되어 있다. 머리는 뾰족하고 목은 거칠고 길며 부리는 튀어나와 있고 그 끝에 콧구멍이 있다. 눈은 작고 머리와 목이 모두 움츠러 들어 갑내(匣內)로 완전히 들어갈 수 있다.

배면(背面)은 올리브색과 녹색과 짙은 갈색이 섞여 있다. 전후 다리는 5 개의 발가락이 있으며 3 개는 발톱도 가지고 있다.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어 수영하기에 편리하다.

수놈은 암놈 보다 몸뚱이가 더 납작하고 꼬리가 암놈 보다 더 길다.

자라()는 강과 호수와 연못속과 무논(水田) 속에서 살며 수중에서 대단히 행동이 민첩하다. 주둥이를 물밖으로 내놓고 숨을 쉰다. 뜨거운 것도 싫어하고 찬것도 싫어한다. 대부분 야간에 물고기와 새우와 우렁이 등을 잡아 먹는다.

암자라는 햇빛이 잘 쪼이는 따뜻한 강가나 호숫가의 모래 속에 구멍을 파고 10 개 내지 60 개의 알을 낳는다. 그리고 모래와 흙으로 알을 덮어 놓는다. 1 개월 정도 지나면 모래와 흙으로 덮어놓은 알들은 대부분 부화한다.

자라의 고기의 성미는 감() ()이고 자음양혈(滋陰養血)의 공효가 있음으로 각기수종(脚氣水腫)과 골증노열과 구학()과 구리(久痢)와 붕루와 대하와 나력() 등을 치료해 준다.

자라의 머리(頭)를 불에 태워 재를 만들어 탈항과 소아노수(小兒勞瘦) 등을 치료한다.

자라의 피(血)는 구안와사와 허로조열과 탈항과 관절결핵 등을 치료해 준다.

자라의 기름(脂肪)은 자양강장약(滋養强壯藥)이며 속눈썹이 눈알을 찌르는 증상을 치료해 준다.

자라의 담즙(膽汁)은 국 속에 집어 넣어 생선 비린내와 고기의 비린내를 제거시켜 줌으로 후추와 같은 양념 역할도 해준다. 또 담즙과 사향(麝香)과 빙편(冰片)과 배합하여 항문에 발라두면 치질이 치료된다.

자라의 알(卵)의 성미는 한(), ()이다. 소금물에 절인 알을 삶아 먹으면 구사구리(久瀉久痢)를 치료해 준다.

별배갑(鱉背甲)의 성미는 평(), () 무독(無毒)이다. 평간식풍(平肝熄風)과 연견산결(軟堅散結)과 양음청열(養陰淸熱)의 공효가 있음으로 음허동풍(陰虛動風)과 노열골증(勞熱骨蒸)과 구학과 종류(腫瘤) 등을 치료해 준다.

광동성 사람들은 원()을 산서(山瑞)라고 부른다. ()의 몸집은 거대하고 체중은 10kg 쯤 되며 배갑의 길이는 1.3m 나 된다. 광서성 풍현(豊縣)과 연평현(連平縣)에서 28kg 짜리 원()을 잡았는데 세계에서 제일 큰 산서(山瑞)라고 한다.

산서(山瑞)의 배갑은 원형에 가깝고 작은 혹들이 표면에 돋아 있으며 암록색(暗綠色)이다.

자라의 고기(肉) 속에 지방과 비타민 F와 칼슘과 인과 옥도(沃度 : I)와 철분(Fe) 등이 들어 있다. 자음보폐(滋陰補肺)와 보혈건신(補血健腎)의 공효가 있다. 자라의 고기는 열량이 높아 체내의 한()을 몰아 내준다.

이시진의 본초강목에 보면 원적갑기미감평(的甲氣味甘平), 무독(無毒). 자황주침(炙黃酒浸), 가치나력(可治),  살충축풍(殺蟲逐風), 악창치루(惡瘡痔瘻), 풍완개소(風頑疥瘙). 타적육기미감평(的肉氣味甘平),  미독(微毒),주치습기사기제충(主治濕氣邪氣諸蟲), 식지보익(食之補益). 타적지방능치마풍화악창(的脂肪能治麻風和惡瘡).”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의 갑각의 성미는 감(), ()이고 무독하다. 황주 속에 집어 넣었다 꺼내어 구워서 사용하면 나력을 치료해 주고 모든 충을 죽이며 풍을 몰아내 주고 악창과 치루를 치료해 주며 옴도 치료해 준다. 자라의 고기의 성미는 감(), ()이고 독이 약간 있다. 습사를 몰아내고 모든 충을 죽이며 복용하면 몸을 보()해 준다. 그리고 자라의 기름은 마풍병과 악창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