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2월 29일 수요일

손톱과 건강

손톱이 건강의 문제를 알려 준다.


세로줄은 나이를 더해 감에 따라 나타나는 것은 정상이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때도 생긴다.


가로줄은 건강에 문제가 있으므로 생기는 줄이니 검진을 받아 보는 것이 현명하다. 가로줄은 호흡기 계통에 문제가 있거나 영양부족이거나 심장발작을 예고해 준다. 흰 줄이 가로 지나가면 간과 심장에 문제가 있다고 의심하는 것이 좋다. 가로줄은 비타민 B ()의 부족일 때도 나타나고 관절염이 있을 때도 나타난다.


부서지거나 깨지기 쉬운 손톱은 유전적인 원인도 있고 손톱이 적당한 습기를 유지하지 못해서 건조하여 쉽게 부서지는데 갑상선 기능 저하로 인하여 피부가 건조해짐과 동시에 손톱도 건조해 진다. 철분이 부족해도 손톱이 얇아지고 깨지기 쉽다. 이런 경우 채소와 고기와 달걀 등에서 철분을 흡수해야 된다. B-복합 비타민도 도움이 되는데 물속에 손을 오랫 동안 담그는 일은 삼가해야 된다.



손톱이 잘 부서지는 사람들은 신장 질환이나 갑상선 질환이나 순환계통 질환을 의심해야 된다. 또 부서지거나 깨지기 쉬운 손톱을 가진 사람들은 항상 손톱을 짧게 깎고 약을 발라 손톱을 튼튼하게 보호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19 세 에서 50 세 사이에 있는 여성들은 칼슘 부족 현상이 나타남으로 하루에 1000mg 의 칼슘을 섭취해 주면 손톱이 튼튼해 진다.


손톱의 뒤쪽이나 옆의 살 껍질이 가시 처럼 터져 길어 나오는 증상은 일반적으로 엽산(葉酸 : Folic Acid)과 비타민 B 와 비타민 C 부족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사람들은 비타민 B 와 비타민 C 를 섭취해 줌과 동시에 손톱 밑에서 자라나는 가시를 깎아 다듬어 주어야 한다.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의 손톱은 노랑색인 경우도 있다. 간에 문제가 있을 때도 손톱이 노랑색깔로 변하므록 검진을 받아 보는 것이 현명하다. 그리고 노랑색깔의 손톱이 모두 자라서 없어질 때 까지 손톱에 좋아하는 색깔의 매니큐어 에나멜을 칠하고 다니면 된다.


손톱은 합판 처럼 여러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한층 한층 껍질이 벗겨지는 사람은 Linoleic Acid 가 부족한 사람들이다. 식용유 속에 들어 있는 Linoleic acid(C17H31COOH)를 섭취해 주면 된다. Linoleic Acid 는 심장근육에도 이로운 필수 지방산이다.


손톱 전체가 노랑색깔 일 경우 폐질환과 당뇨를 의심해야 되고 노랑색깔의 점이 손톱위에 나타나면 진균이거나 Psoriasis(건선)을 의심해야 되며 손톱 위에 우묵하게 패인 곳이 있는 사람도 건선을 의심해야 된다. 또 짙은 색깔의 매니큐어 에나멜을 장기간 사용해도 약간 노랑색 손톱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엔 매니어 사용을 중단하면 정상적인 색깔로 된다.


건강한 사람의 손톱의 색깔은 얕은 분홍색이다. 흰 색깔은 적혈구 부족의 빈혈증이다. 손톱 자체가 불투명하고 백색이면 간질환의 싸인이고 창백하거나 백색인 경우에는 빈혈이나 신장과 간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분홍색과 백색이 함께 있는 손톱은 신장병을 의심해야 한다.


손톱의 색깔이 어두운 것은 대개 비타민 B12 부족이다.


손톱 전체가 백색이고 끝 부분에 검정띠가 있는 사람은 Terry,s Nail 이라고 칭하는데 노쇠되어 가는 싸인이며 심력쇠갈과 당뇨와 간질환의 싸인이다.


손톱의 밑부분(1/2)은 백색이고 윗부분(1/2)의 색깔은 분홍색이면 신장에 문제가 있는 싸인이다.


푸른 색깔의 손톱은 산소 부족증의 싸인이므로 폐질환을 의심해야 된다. 다시 말하면 천식과 폐기종(肺氣腫)과 허파와 심장질환을 의미한다.


초록 색깔의 손톱은 Pseudomonas Aeruginosa 라고 불리는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증 때문인데 관절염과 녹내장과 심장병과 영양부족증인 경우에도 초록 색깔의 손톱이 나타난다.


붉은 색깔의 손톱은 심장병을 의심해 봐야 한다.


콧속에 종류(腫瘤 : Polyps)가 있거나 만성 부비강염에 걸려 있는 사람들은 노랑색깔의 손톱이며 간질환과 당뇨와 임파선 질환과 만성 기관지염의 경우에도 노랑색깔의 손톱이 나타난다.


손톱이 두껍고 모양이 변하고 구름이 끼어있는 것과 같은 색깔은 진균류 감염 때문이며 순환계통 질환을 의심해야 된다.


망치로 손톱을 때려 상처를 입었을 경우 손톱 밑에 피가 뭉쳐 통증이 있는데 이런 경우엔 걱정할 필요가 없다.


갈색 줄이나 검은색 줄이나 점들이 손톱에 있으면 피부암이나 흑색종(黑色腫 : Melanoma)을 의심해야 된다.


손톱에 가로로 홈이 패인 사람들은 혈당 조절이 잘 않되는 경우와 순환계통의 질환이 있거나 고열병(高熱病)을 앓은 경험이 있는 경우에 나타난다. 이러한 손톱을 Beau’s Line 이라고 부른다.


곤봉 모양(Clubbing Nail)은 폐암을 의심해야 된다. Clubbing Nail 이란? 손가락 끝이 굵고 손톱의 끝이 아래로 숙여있는 모양의 손톱을 일컫는다.


태어날 때부터 Clubbing Nail 이 아니고 살다가 중간에 Clubbing Nail 이 발생한 사람은 폐질환이나 장염(腸炎)이나 선천적 심장질환이나 간질환을 의심해 봐야 하며 산소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숟가락 모양(Spoon Nail)의 손톱은 손톱이 너무 연약하여 옴폭하게 생긴 숟가락 모양의 손톱을 일컫는데 이와 같은 손톱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철분이 부족한 빈혈증을 의심해 봐야 하며 비타민 B12 부족도 관계가 있다.


손톱은 하루에 0.1mm 씩 자라고 발톱은 10 일에 1mm 씩 자라는데 겨울철 보다 여름철에 더 잘 자란다.


2012년 2월 27일 월요일

심괄(沈括)

심괄(沈括)의 자()는 존중(存中)이고 전당(錢塘: 현재 浙江省 杭州) 태생이다. 북송(北宋)의 과학자요 정치가였다.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역임했으며 왕안석(王安石)의 변법(變法)에 참가하여 혁신적 정치활동을 한 정치가였다.


심괄은 일생 동안 과학 연구에 몰두하였다. 그는 실제로 자신이 실현하고 경험하고 듣고 본 것을 기록하여 불후의 명저(名著) 몽계필담을 저술하였다.


몽계필담 속에는 역사, 정치, 군사, 문학, 예술, 과학기술, 천문,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질, 지리, 기상, 의약과 공정기술 등 각 분야에 걸쳐서 그 당시 중국에서 가장 선진적인 자연 과학의 사건들이 기록되어 있다.


외국의 과학자들도 몽계필담을 읽어 본 후 입이 마르도록 찬탄을 아끼지 않는다. 모두 30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609 개 항목(項目)이 수록되어 있다.


몽계필담 속에는 일반 백성 과학자들의 사적도 수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필승(畢升)의 활자 인쇄 발명 사실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후세인들이 그 사실을 알게 되었다. 만일 몽계필담이 없었다면 필승의 활자 인쇄 발명 사실은 새까맣게 숨겨지고 말았을 것이다. 천만다행이다.


그는 박학다식하고 무엇이든지 하면 할수 있다고 장담한 사람이다. 만년에 의약(醫藥) 연구에 몰두하였으며 신농본초경의 오류를 정정(訂正)하였다.


그는 일생 동안 수 많은 저작 활동을 했으며 몽계필담을 비롯하여 십이기력(十二氣曆)과 영원방(靈苑方) 20 ()과 심존중양방(沈存中良方)과 소심양방(蘇沈良方) 8 권 등이 있다.


그는 약학(藥學)에도 조예가 깊었고 일가견(一家見)을 갖고 있었으며 그 당시 약학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몽계필담의 내용은 매우 광범위 하다. 심괄은 누구 보다도 엄밀하고 신중하게 학문을 하는 올바른 태도를 가졌으며 독창적 견해는 타인의 추종을 불허하였다. 그리하여 후세인들은 심괄의 몽계필담을 중국 과학사상(科學史上)의 이정표(里程標)’ 라고 칭송했다.


다음은 몽계필담 21 () - 이사(異事)에서 발췌한 것 이다.


강남역여중일노부(江南逆旅中一老婦), 담물부지포(啖物不知飽). 서덕점과역여(徐德占過逆旅), 노부소이기(老婦訴以飢), 기자치심지(其子恥之), 대덕점이증병담지(對德占以蒸餠啖之), 진일죽궤(盡一竹), 약백병(約百餠), 유칭기불이(猶稱飢不已). 일식반일석미(日食飯一石米), 수즉이지(隨卽痢之), 기복여(飢復如故). 경조예천주부채승(京兆醴泉主簿蔡繩), 여우인야(予友人也), 역득기질(亦得飢疾). 매기입수담(每飢立須啖), 초지즉돈부민절(稍遲卽頓仆悶絶). 회중상치병이(懷中常置餠餌), 수대귀관(雖對貴官), 우기역편흘담(遇飢亦便). 승유미행(繩有美行), 박학유문(博學有文), 위시문인(爲時聞人), 종이차불행(終以此不幸). 무인식기질(無人識飢疾), 매위지애상(每爲之哀傷).”


다시 말하면 강남의 어느 여관에 한 노파가 머물고 있었다. 욕심껏 먹어도 배부른 줄을 몰랐다. 서덕점 역시 이 여관에 머물고 있다. 노파는 배가 고프다고 하소연 했다.


노파의 아들은 부끄러워 하는 표정을 지으며 서덕점을 향하여 저의 엄니께서 대바구니 속에 들어 있는 일 백개나 되는 떡을 모두 잡수셨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배가 고프다고 말씀하시니 어찌된 영문인지 모르겠습니다. 하루에 열 말의 쌀을 먹고나서 즉시 설사를 합니다. 그리고 나서 배고픈 것은 또 마찬가지입니다.


섬서성(陝西省) 예천현(醴泉縣)에 낭관(郎官) 채승이라고 불리는 나의 친구가 있습니다. 그 역시 배고픈 병이 있습니다. 그도 역시 배가 고플 때는 즉시 먹어야 합니다. 조금만 지체해도 발을 구르며 넘어지고 숨이 막혀 죽을 지경에 도달합니다. 항상 호주머니 속에 떡을 가지고 다니며 아무리 지위가 높은 고관을 만날지라도 배가 고프면 즉시 떡을 깨물어 먹습니다. 채승은 품행이 방정하고 박학다식하며 명성이 높은 사람입니다.


그러나 결국엔 배고픈 병으로 인하여 세상을 하직하고 말았습니다. 아무도 채승의 질병에 대하여 아는 사람이 없었으며 사람들은 채승의 죽음을 비통해 할 뿐이었습니다.” 고 말하였다.


다음은 몽계필담 26 ()-약의(藥議)에 수록되어 있는 글이다.


적전(赤箭), 즉금지천마야(卽今之天麻也), 초약상품(草藥上品), 제오지외(除五芝外), 적전위제일(赤箭爲第一), 차신선보리양생상약(此神仙補裏養生上藥). 세인혹어첨마지설(世人惑於天麻之說), 수지용지치풍(遂止用之治風), 양가석재(良可惜哉)!”


다시 말하면 적전은 오늘날의 천마이며 상품 초약(草藥)에 들어 간다. 다섯 가지 버섯을 제외하고 적전이 제일이다. 신선들이 몸을 보해 주고 양생에 사용하는 상약(常藥)이며 세상 사람들이 천마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망설이다가 끝내 풍병(風病)을 고치는데 사용하지 않으니 정말로 애석하게 여기지 않을수 없네!” 라는 뜻이다.


다음은 몽계필담 26 ()에 수록되어 있는 약학에 관한 논술이다.


채약불능구한일정적시간(采藥不能拘限一定的時間), 응근거약용부분화지온(應根據藥用部分和地溫氣候等條件的不同而靈活掌握), 반대전재이팔월채적적구법(反對專在二八月采摘的舊法). 여위(如謂) : 고법채초약(古法采草藥), 다용이팔월(多用二八月), 차수미당(此殊未當), 단이월초이아(但二月初已芽), 팔월묘미고(八月苗未枯), 채철자이변식이(采掇者易辨識耳), 재약직미위양시(在藥則味爲良時). 대솔용근자(大率用根者), 약유숙근(若有宿根), 수취무경엽시채(須取無莖葉時采), 직진택개귀기근(則津澤皆歸其根), 욕험지(欲驗之), 단취로보(但取蘆菔), 지황배관(地黃輩觀), 무묘시채(無苗時采), 직실이침(則實而沈) ; 유묘시채(有苗時采), 직허이부(則虛而浮). 기무숙근자(其無宿根者), 즉후묘성이미유화시채(則候苗成而未有花時采), 직근생이족이우미쇠(則根生已足而又未衰), 여금지자초(如今之紫草), 미화시채(未花時采), 직근색선택(則根色) ; 과이채직근색암악(過而采則根色黯惡), 차기효야(此其效也). 용엽자취엽초장족시(用葉者取葉初長足時), 용아자자종본설(用芽者自從本說), 용화자취화초부시(用花者取花初敷時), 용실자성실시채(用實者成實時采), 개불가한이시월(皆不可限以時月).”


다시 말하면 채약은 정해진 시간의 제약을 받으면 않된다. 약초의 약용 부분과 다른 지온(地溫)과 다른 기후 조건 등을 재빨리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오로지 2 월과 8 월에 채집해야 된다는 구법(舊法)에 반대한다. 구법에 의하면 대개 초약은 2 월과 8 월에 채취해야 된다고 말하는데 타당치 않은 말이다. 2 월에 싹이 돋아나고 8 월엔 새로 돋아난 가지와 잎사귀들이 아직 시들지 않은 때이다는 것을 채집자들은 분별할 줄 알며 언제 채취해야 약효가 제일 좋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대개 뿌리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뿌리가 숙근일 경우 줄기와 잎사귀가 없을 때 채취해야 된다. 왜냐하면 진액이 모두 뿌리로 내려갔기 때문이다. 로복(蘆菔)과 지황(地黃)은 싹이 없을 때 채취해야 무게가 무겁고 속이 꽉 차있다.


만일 싹이 나 있을 때 뿌리를 채취하면 속이 비어 있거나 부실하다.


숙근이 아닌 약초는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해야 뿌리가 충실하다. 예를 들면 자초(紫草)는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하면 뿌리의 색깔이 선명하고 깨끗하며 광택이 난다.


그러나 꽃이 피고 난 후에 채취하면 뿌리의 색깔이 선명하지 않으며 약효가 약하다.


잎은 초기에 무성할 때 채취해야 되고 싹 역시 초기에 채취해야 되고 꽃도 처음 피었을 때 채취해야 되며 과실은 완전히 익었을 때 채취해야 된다. 대부분 채취의 시기를 꼭 집어서 말할 수는 없다.” 는 뜻이다.


심괄은 채약 시기가 부적당 할 경우 약효가 없다는 것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여금앵자지유설(如金櫻子止遺泄), 취기산차삽야(取其酸且澁也). 세지용금앵자(世之用金櫻子), 대기홍숙시취기즙오고용지(待期紅熟時取其汁熬膏用之), 대오야(大誤也), 홍직미감(紅則味甘), 오고직전단삽미(熬膏則全斷澁味), 도실본성(都失本性). 금당취반황시채건품(今當取半黃時采乾品), 도말용지(搗末用之).”


다시 말하면 예를 들면 금앵자는 유설(遺泄 : 遺尿, 遺精, 久瀉久痢, 帶下)을 그치게 해주는 작용이 있는데 금앵자의 산성(酸性)과 삽미(澁味) 때문이다. 사람들은 금앵자가 빨갛게 익을 때 까지 기다렸다가 채취하여 그 즙을 짜서 달여 고약 처럼 만드는데 큰 잘못이다.


금앵자가 빨갛게 익으면 미()는 감미(甘味)로 변한다. 그리고 달이는 동안 금앵자의 삽미(澁味)는 완전히 상실되고 만다. 그러므로 금앵자의 본성(本性)을 상실한다.


그래서 금앵자가 절반 정도 익었을 때 즉 반절 노랑색 꽃잎 일 때 채취하여 말려서 가루내어 써야 한다.


약재는 똑 같은 지역에서 생산된 것 일지라도 지온(地溫)과 기후가 다르고 지세(地勢)의 높고 낮음과 관개 여부와 시비(施肥)의 차이에 따라 약효가 다르다.


그리고 약재의 성숙기도 반드시 선후(先後)를 가려야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일묘지가직분개자선아(之稼則糞漑者先芽), 일구지화직후종자만식(一丘之禾則後種者晩食),

차인력부동야(此人力不同也), 기가일체구어정월재(豈可一切拘於定月哉).”


다시 말하면 한 밭 이랑에서도 똥 거름을 주고 물 대기를 잘 해준 곳에서 빨리 싹이 나온다. 한 논 배미 내에서도 늦게 심은 것은 늦게 먹는다. 이는 사람이 얼마나 노력을 했느냐에 따라 각각 다른 것이다. 그러므로 약재의 성숙기는 시기에 의하여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는 뜻이다.


심괄은 자신의 저서 '양방(良方)'의 자서(自序) 중에 다음과 같이 설명해 놓았다.


관월인예다휴도일구일롱지이(觀越人藝茶畦一一壟之異), 원불능수보직색미돈수(遠不能數步則色味頓殊).”


다시 말하면 절강성 동부 지역 사람들이 차() 농사와 벼 농사 하는 것을 자세히 관찰해 보면 밭 이랑 마다 차이가 있고 몇 발자국 만 걸어가도 식물의 색미(色味)가 다르다.” 는 뜻이다.


심괄은 지리적인 위치와 식물의 성미(性味)는 각각 다르다고 설명했는데 이는 과학적인 가치가 있는 말이다. 심괄은 고인들의 과학적인 성과를 존중했다. 그렇다고 매혹된 것은 아니고 있는 그대로의 사실에 근거하여 과학적인 진리를 탐구하였다.


예를 들면 산두근미극고(山豆根味極苦), 본초언미감자(本草言味甘者), 대오야(大誤也).” 라고 본경(本經)에 기재되어 있는 산두근의 미()를 수정하였다.


다시 말하면 산두근의 미는 극고(極苦)이다. 본초에 산두근의 미는 감이다고 했는데 큰 잘못이다.” 는 뜻이다.


유양잡조(酉陽雜俎)에 일목오향(一木五香)이라고 기록된 것도 수정하였다. 심괄은 단성식(段成式)의 유양잡조의 기사들에 몹시 탐을 내어 군침을 흘려가며 탐독하였다. 심괄은 단향목과 침향목은 다른 두 개의 품종이다는 것을 상세히 고찰한 후에 밝혔다.


또 계설향(鷄舌香)은 정향(丁香)이다는 것과 곽향은 목본(木本)이 아니고 일종의 초엽(草葉)이다는 것과 훈육(熏陸)은 유두향(乳頭香)이며 일종의 큰 잎사귀를 가진 작은 나무이고 해남도(海南島)에서 생장한다는 것도 밝혀냈다.


이상에 열거한 5 가지 초약은 각각 다른 것이다고 밝혔다.


심괄은 유양잡조의 '일목오향(一木五香)' 이란 부분이 틀렸다고 지적했다. 심괄의 과학적인 연구 태도는 칭찬 받을 만 하다.

2012년 2월 26일 일요일

홍두삼(紅豆衫)

홍두삼(紅豆衫)은 제 4() 빙하시대 부터 지금 까지 250 만년 동안 생존해 온 고노수종(古老樹種)이며 생장 속도가 매우 완만하고 희귀한 품종이라서 국제연합에서 중국 정부에 홍두삼 채벌 금지명령을 내렸다.


라틴어 명은 Chinese yew 이고 자삼(紫杉) 또는 적백송(赤白松)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으며 사천성과 광서 지방에 서식하고 있다. 홍두삼에서 제련한 자삼순(紫衫醇)은 세계의 과학자들에 의하여 공인된 항암약제이고 방암약제이다. 홍두와 비슷한 열매를 맺으므로 홍두삼이란 이름을 얻었다. 수령은 대개 100 년 내지 250 년이다.


(), (), (), () 모두 입약(入藥)한다. 자삼순과 자삼함(紫衫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항암 작용이 있고 당뇨병과 심장병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이뇨소종 작용이 있으므로 신장병과 당뇨병과 신염부종과 소변불리와 임병 등을 치료해 준다.


온신통락(溫腎通絡) 작용이 있으므로 월경불순과 산후어혈과 통경(痛經) 등을 치료해 준다.


홍두삼의 자삼분(紫衫 : Taxol) 성분은 암증 치료 약물이므로 난소암과 유방암과 고혈압과 당뇨병과 관심병 등을 치료해 준다.

홍두삼과 내에 11 ()의 다른 종류가 있다. 중국에 4 ()이 있다.


예를 들면 유럽 홍두삼(Taxus beccata)과 중국 홍두삼(Taxus chinensis)과 일본 홍두삼(Taxus cuspidata)과 캐나다 홍두삼(Taxus canadensis) 등이 있다.


모두 Taxoid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합성 항암약물은 자삼순(紫衫醇: Paclitaxel)이다. 홍두삼 속() 식물들은 지()와 엽()과 종자(種子)와 목재(木材) 속에 자삼함(紫衫鹹: Taxine)이라고 불리는 독성 물질이 들어 있다.


유럽 홍두삼의 종자 한, 두 알 만 어린 아이들이 먹으면 생명이 위험하고 성인들의 경우 홍두삼 잎 50g 내지 100g 만 먹으면 죽는다.


요즘 홍두삼을 생물황금(生物黃金)” 이라고 부른다. 항암약(抗癌藥)과 치암약(治癌藥)으로 인정 받은 후부터 가격이 계속 앙등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삼순이 세포와 접촉되면 유사분열기(有絲分裂期)에 세포 분열이 정지되고 그리하여 정상 세포 분열이 차단된다.


임상 연구 결과 난소암과 유방암과 폐암과 대장암과 흑색소류(黑色素謬)와 두부암(頭部癌)과 경부암(頸部癌)과 임파암과 뇌류(腦瘤) 등의 치료에 일정한 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당뇨병의 치료 처방은 다음과 같다.


자삼엽 2 전을 수전복하는데 하루에 두 차례 나누어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오심구토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복용을 중지해야 된다. 부작용이 없을 경우엔 5 전 까지 약량을 증가시켜도 좋다(吉林中草藥 에서)


신염부종과 소변불리의 치료방 :


자삼엽 2 , 목통(木通) 3 , 옥미수(玉米須) 3 전을 수전복하는데 하루에 두 차례 나누어 복용한다. (吉林中草藥 에서)


본초추진(本草推陳)에 보면 이뇨(利尿), 통경(通徑). 치신장병(治腎臟病), 당뇨병(糖尿病).”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홍두삼은 삽목(揷木) 번식이 가능하다. 5 월과 6 월 사이에 네 살 이상된 모수(母樹)에서 당년에 생장한 새 가지를 꺽어 삽목한다. 새 가지를 3cm 내지 5cm 정도 깊게 땅속에 묻어두면 약 45 일 내지 50 일이 경과한 후에 새 뿌리가 뻗어 나온다.


전 세계적으로 자삼순(紫衫醇)의 수요량이 급증가 하고 있으므로 홍두삼을 재배하여 치부할 수 있는 기회가 왔다. 대한민국의 약농(藥農)들이 다른 수종은 젖혀두고 먼저 손을 써야 할 수종(樹種)이다.


1992 년 미국 FDA 에서 자삼순을 말기 암증 치료에 사용 허가 하였다. 홍두삼의 목재질(木材)의 질()이 견인(牽引)하고 탄성이 있어 활()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회초리의 손잡이와 고급 가구와 침대의 틀과 지팡이와 연필의 자루와 나막신과 건축 자재로도 사용된다. 그러나 가장 값어치가 있는 부분은 수피(樹皮)와 잎()이다. 왜냐하면 약용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대만에서 도둑들이 홍두삼 나무를 남몰래 잘라서 팔아 돈을 챙긴다. 땅속을 파서 홍두삼 나무의 뿌리를 절단해 가거나 나무의 껍질을 밤중에 벗겨가는 도둑도 있고 종자와 잎을 훔쳐가는 도둑도 있다고 한다. 그리하여 정부에서는 홍두삼 나무를 등기 하도록 강요하고 있고 생장현황을 보고하도록 되어 있으며 순찰제를 실시하고 있다.


순도 높은 자삼순 가격은 1kg 200만원(中國人民) 좌우된다. 2 만평의 홍두삼 밭에서 1kg 의 자삼순(C47H51NO14)을 생산해 낸다.


2001 10 17 일 현재 자삼순 1kg 의 국제시장 가격은 US $180,000.00 이었다.


2009 년 도에는 98% 순도의 자삼순 1kg 당 국제 시장 가격은 US $400,000.00 내지 US $600,000.00 이었으며 중국내의 가격은 70% 순도의 자삼순 1kg 1,600,000 () 내지 1,800, 000.00 (, 人民)이었으므로 금() 가격 보다 훨씬 높은 가격이다.

2012년 2월 24일 금요일

새끼 손가락 운동

새끼 손가락 운동


오후 1 시에서 오후 3 시 사이를 미시(未時)라고 칭한다. 미시(未時)는 소장경 당번 시간이다.


노인들은 오후에 낮잠을 자고 일어나서 책을 본다든지 바둑을 둔다든지 기타 일을 볼 때 머리가 맑고 유쾌한 기분이 들며 몸이 가벼운 느낌을 갖는다고 말한다. 대개 미시(未時)에 낮잠을 잔다.


옛날에 신호등이 별로 없던 시절에는 교통 순경이 시내의 주요 사거리에 교통량과 행인의 왕래가 많기 때문에 드럼통을 절반 잘라서 뒤집어 놓고 그 위에 교통 순경이 올라서서 호각을 세게 불어대며 교통 정리를 했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소장은 우리가 섭취한 음식물의 교통 정리를 해주는 장기이다. 소장은 우리가 섭취한 음식물을 분청별탁(分淸別濁)해 주는 장기라고 쉽게 표현할 수 있다.


분청(分淸)이란?


영양 물질을 골라서 피속으로 수송해 주므로써 전신에 영양 물질을 보급해 주는 뜻을 포함하고 있다.


또 별탁(別濁)이란?


우리가 섭취한 음식물 속에서 영양 물질을 섭취하고 남은 찌꺼기와 노폐물을 대장으로 보내 주므로써 체외로 배설하게 도와 준다.


심장과 소장은 사람의 경우 부부 관계나 마찬가지 관계를 갖고 있으며 심장은 음()에 속하므로 부인이고 안 주인이며 문제가 생겨도 쉽게 발견할 수가 없다.


반면에 소장은 양()에 속하고 남편이며 밖앝 주인이다. 일단 소장에 문제가 발생하면 쉽게 밖으로 나타난다.


매년 정기적으로 신체 검사를 받고 심장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진단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어느 날 갑자기 심장병이 발작하여 병원에 입원하고 나서 운명을 달리하는 경우가 대단히 많이 발생한다.


소장경을 잘 관찰하면 심장의 문제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심계항진(心悸亢進)과 흉민(胸悶 : Stuffiness sensation in the chest) 증상은 절대로 가볍게 넘겨서는 않된다.


나이를 더해 감에 따라 고혈압과 고혈지(高血脂)와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과 가족 중에 심장병이 있는 사람들은 미시(未時)에 원인 모를 심계항진과 흉민 증상과 면협발홍(面頰發紅 : 양쪽 볼이 빨간 증상) 등이 나타나면 자신의 심장의 문제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사람들은 오후 1 시부터 오후 3 시 사이에 심장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반드시 심장경(心臟經)에 문제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 본 결과 어떤 병인(病因)도 찾아내지 못하고 이상도 발견하지 못했다면 아무리 과학이 발달했다 하여도 미세한 병리 변화를 찾아내지 못한 결과이다.


암을 예로 들면 최초에 암증이 발견되지 못하고 암 덩어리가 어느 정도 커지면 발견되기도 하고 심지어 만기가 되어서야 비로소 암증이 발견되는 경우도 허다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심장은 음식 조절과 기거 조절과 노동과 운동 등으로 보호해 줄 수 있다. 미시에 장위(腸胃)는 휴식 시간이다. 이때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은 좋지 못한 습관이다. 고인들은 과오불식(過午不食)이란 속어(俗語)를 믿어 왔다.


현대인들의 음식 습관은 좋지 않다. 왜냐하면 점심은 우선 아쉬운 대로 좀 먹고 저녁은 배불리 먹는 습관이 있다. 이러한 식생활 습관은 양생지도(養生之道)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고혈압과 고혈지와 당뇨병과 비만증과 암증을 불러 온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소장병에 대하여 별로 들어 본 적이 없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간병이나 신장병이나 심장병 처럼 소장병에는 병명이 없기 때문이며 일반적으로 소장에 병이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은 모르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변비와 설사와 이질과 하복부 교통(絞痛)과 충수염 등은 모두 소장과 관계된 질병들이다.


직접 소장에 질병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병증은 소장에 나타나지 않고 소장의 경맥상에 문제가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면 경추병(頸椎病)과 소변삽통(澁痛)과 소변 단소(短小)와 안통(眼痛)과 심계항진과 흉민과 구설미란(口舌糜爛)과 유루(流淚)와 치통과 안정발황(眼睛發黃)과 이명(耳鳴)과 성대의 병변 등은 모두 소장과 관계된 병증들이다.


몇 가지 종류의 두통이 쌓이고 겹쳐서 발생하는 떨기두통이 있는데 자살두통(自殺頭痛)이라고 칭한다. 이러한 두통은 주로 오후 1 시와 오후 3 시 사이에 발생한다. 이때는 소장경의 당번 시간이다. 이때 발생한 두통은 지통약도 잘 듣지 않는다. 얼마나 통증이 심하고 견딜수 없이 아프면 자살 두통이란 이름을 얻었을까? 생각해 볼만 하다.


병원에 가서 검사해 봐도 원인불명이다. 서양 의사들도 진통제를 투여하는 수 밖에 별 다른 방도가 없다. 한의사들도 일반 두통과 편두통의 치료 방법으로는 지통 시킬수 없다. 왜냐하면 소장경과 관계된 두통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장경을 소통시켜 주는 침구를 시행하면 이러한 두통이 치료된다. 또 집안에서 환자 스스로 다음과 같은 치료를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첫째 두통이 생긴 부위를 손끝으로 만져가며 가장 아픈 곳을 찾아내어 주먹을 쥔 상태에서 두번 째 손가락의 두번째 관절로 가장 아픈곳을 꾹꾹 눌러 준다. 주로 외안각(外眼角) 부근의 소장경상에 가장 아픈 통점이 나타난다.


둘째 소장경의 원혈(原穴)인 완골혈(腕骨穴)에 침자해 주거나 침이 없을 경우 끝이 뾰족한 볼펜으로 완골혈을 눌러 준다.


완골혈은 주먹을 쥘 때 제 5 중수골(中手骨)과 구골(鉤骨) 사이에 있는 움푹 들어간 곳이다. 5 중수골 중간 쯤에 손끝을 대고 뼈를 누르며 팔목을 향하여 가볍게 밀고 올라가면 약간 걸리는 턱이 나온다. 그 턱을 넘어서면 움푹 들어간 곳이 나온다. 이곳이 완골혈이다.


중수골이란?


손바닥에 있는 다섯개의 뼈이다.


또 소장경의 기능을 증강시켜 주는 간단한 방법이 있다.


소지두제수법(小指頭提水法)이라고 부르는데 새끼 손가락으로 물병이나 물통의 손잡이에 걸어서 들어 올리는 방법이다. 쇼핑 백을 새끼 손가락으로 들고 다녀도 좋다.


새끼 손가락으로 수태양 소장경과 수소음 심경이 통과한다. 그러므로 새끼 손가락에 자극을 주면 소장의 기능이 증강되고 심장의 기능도 증강되니 일거양득이다. 현재 일본 사람들에게 유행되는 소장경과 심장경 단련방법(鍛鍊方法)이다.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출퇴근하면서 보면 새끼 손가락을 만지작 거리는 노인들을 많이 만날 수 있다.

2012년 2월 23일 목요일

심괄(沈括 : 서기 1031 년 - 서기 1095 년)

심괄(沈括)의 자()는 존중(存中)이고 전당(錢塘: 현재 浙江省杭州) 태생이다. 북송의 과학자요 정치가였다.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역임했으며 왕안석(王安石)의 변법(變法)에 참가하여 혁신적 정치활동을 한 정치가였다.


심괄은 일생 동안 과학 연구에 몰두하였다. 그는 실제로 자신이 실현하고 경험하고 듣고 본 것을 기록하여 불후의 명저(名著) 몽계필담을 저술하였다. 몽계필담 속에는 역사, 정치, 군사, 문학, 예술, 과학기술, 천문,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질, 지리, 기상, 의약과 공정기술 등 각 분야에 걸쳐서 그 당시 중국에서 가장 선진적인 자연 과학의 사건들이 기록되어 있다.


외국의 과학자들도 몽계필담을 읽어 본 후 입이 마르도록 찬탄을 아끼지 않는다. 모두 30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609 개 항목(項目)이 수록되어 있다.


몽계필담 속에는 일반 백성 과학자들의 사적도 수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필승(畢升)의 활자 인쇄 발명 사실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후세인들이 그 사실을 알게 되었다. 만일 몽계필담이 없었다면 필승의 활자 인쇄 발명 사실은 새까맣게 숨겨지고 말았을 것이다. 천만다행이다.


그는 박학다식하고 무엇이든지 하면 할수 있다고 장담한 사람이다. 만년에 의약(醫藥) 연구에 몰두하였으며 신농본초경의 오류를 정정(訂正)하였다.


그는 일생 동안 수 많은 저작 활동을 했으며 몽계필담을 비롯하여 십이기력(十二氣曆)과 영원방(靈苑方) 20 ()과 심존중양방(沈存中良方)과 소심양방(蘇沈良方) 8 권 등이 있다. 그는 약학에도 조예가 깊었고 일가견을 갖고 있었으며 그 당시 약학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다음은 몽계필담 26 ()에 수록되어 있는 약학에 관한 논술이다.


채약불능구한일정적시간(采藥不能拘限一定的時間), 응근거약용부분화지온(應根據藥用部分和地溫氣候等條件的不同而靈活掌握), 반대전재이팔월채적적구법(反對專在二八月采摘的舊法). 여위(如謂) : 고법채초약(古法采草藥), 다용이팔월(多用二八月), 차수미당(此殊未當), 단이월초이아(但二月初已芽), 팔월묘미고(八月苗未枯), 채철자이변식이(采掇者易辨識耳), 재약직미위양시(在藥則味爲良時). 대솔용근자(大率用根者), 약유숙근(若有宿根), 수취무경엽시채(須取無莖葉時采), 직진택개귀기근(則津澤皆歸其根), 욕험지(欲驗之), 단취로보(但取蘆菔), 지황배관(地黃輩觀), 무묘시채(無苗時采), 직실이침(則實而沈) ; 유묘시채(有苗時采), 직허이부(則虛而浮). 기무숙근자(其無宿根者), 즉후묘성이미유화시채(則候苗成而未有花時采), 직근생이족이우미쇠(則根生已足而又未衰), 여금지자초(如今之紫草), 미화시채(未花時采), 직근색선택(則根色) ; 과이채직근색암악(過而采則根色黯惡), 차기효야(此其效也). 용엽자취엽초장족시(用葉者取葉初長足時), 용아자자종본설(用芽者自從本說), 용화자취화초부시(用花者取花初敷時), 용실자성실시채(用實者成實時采), 개불가한이시월(皆不可限以時月).”


다시 말하면 채약은 정해진 시간의 제약을 받으면 않된다. 약초의 약용 부분과 다른 지온(地溫)과 다른 기후 조건 등을 재빨리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오로지 2 월과 8 월에 채집해야 된다는 구법(舊法)에 반대한다. 구법에 의하면 대개 초약은 2 월과 8 월에 채취해야 된다고 말하는데 타당치 않은 말이다.


2 월에 싹이 돋아나고 8 월엔 새로 돋아난 가지와 잎사귀들이 아직 시들지 않은 때이다는 것을 채집자들은 분별할 줄 알며 언제 채취해야 약효가 제일 좋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대개 뿌리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뿌리가 숙근일 경우 줄기와 잎사귀가 없을 때 채취해야 된다. 왜냐하면 진액이 모두 뿌리로 내려갔기 때문이다. 로복(로복)과 지황은 싹이 없을 때 채취해야 무게가 무겁고 속이 꽉 차있다. 만일 싹이 나 있을 때 채취하면 속이 비어 있거나 부실하다.


숙근이 아닌 약초는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해야 뿌리가 충실하다. 예를 들면 자초(紫草)는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하면 뿌리의 색깔이 선명하고 깨끗하며 광택이 난다. 그러나 꽃이 피고 난 후에 채취하면 뿌리의 색깔이 선명하지 않으며 약효가 약하다.


잎은 초기에 무성할 때 채취해야 되고 싹 역시 초기에 채취해야 되고 꽃도 처음 피었을 때 채취해야 되며 과실은 완전히 익었을 때 채취해야 된다. 대부분 채취의 시기를 꼭 집어서 말할 수는 없다.” 는 뜻이다.


심괄은 채약 시기가 부적당 할 경우 약효가 없다는 것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여금앵자지유설(如金櫻子止遺泄), 취기산차삽야(取其酸且澁也). 세지용금앵자(世之用金櫻子), 대기홍숙시취기즙오고용지(待期紅熟時取其汁熬膏用之), 대오야(大誤也), 홍직미감(紅則味甘), 오고직전단삽미(熬膏則全斷澁味), 도실본성(都失本性). 금당취반황시채건품(今當取半黃時采乾品), 도말용지(搗末用之).”


다시 말하면 예를 들면 금앵자는 유설(遺泄 : 유뇨, 유정, 구사구리, 대하)을 그치게 해주는 작용이 있는데 금앵자의 산성(酸性)과 삽미(澁味) 때문이다. 사람들은 금앵자가 빨갛게 익을 때 까지 기다렸다가 채취하여 그 즙을 짜서 달여 고약 처럼 만드는데 큰 잘못이다. 금앵자가 빨갛게 익으면 미()는 감미로 변한다. 그리고 달이는 동안 삽미(澁味)는 완전히 상실되고 만다. 그러므로 금앵자의 본성(本性)을 상실한다. 그래서 금앵자가 절반 정도 익었을 때 즉 반절 노랑색 꽃잎 일 때 채취하여 말려서 가루내어 써야 한다." 는 뜻이다.


약재는 똑 같은 지역에서 생산된 것 일지라도 지온과 기후가 다르고 지세의 높고 낮음과 관개 여부와 시비의 차이에 따라 약효가 다르다. 그리고 약재의 성숙기도 반드시 선후를 가려야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일묘지가직분개자선아(之稼則糞漑者先芽), 일구지화직후종자만식(一丘之禾則後種者晩食), 차인력부동야(此人力不同也), 기가일체구어정월재(豈可一切拘於定月哉).”


다시 말하면 한 밭 이랑에서도 똥 거름을 주고 물 대기를 잘 해준 곳에서 빨리 싹이 나온다. 한 논 배미 내에서도 늦게 심은 것은 늦게 먹는다. 이는 사람이 얼마나 노력을 했느냐에 따라 각각 다른 것이다. 그러므로 약재의 성숙기는 시기에 의하여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는 뜻이다.


심괄은 양방(良方)의 자서(自序) 중에 다음과 같이 설명해 놓았다.


관월인예다휴도일구일롱지이(觀越人藝茶畦一一壟之異), 원불능수보직색미돈수(遠不能數步則色味頓殊).”


다시 말하면 절강성 동부 지역 사람들이 차() 농사와 벼 농사 하는 것을 자세히 관찰해 보면 밭 이랑 마다 차이가 있고 몇 발자국 만 걸어가도 식물의 색미(色味)가 다르다.” 는 뜻이다.


심괄은 지리적인 위치와 식물의 성미(性味)는 각각 다르다고 설명했는데 이는 과학적인 가치가 있는 말이다. 심괄은 고인들의 과학적인 성과를 존중했다. 그렇다고 매혹된 것은 아니고 있는 그대로의 사실에 근거하여 과학적인 진리를 탐구하였다.


예를 들면 산두근미극고(山豆根味極苦), 본초언미감자(本草言味甘者), 대오야(大誤也).” 라고 본경(本經)에 기재되어 있는 산두근의 미()를 수정하였다.


다시 말하면 산두근의 미는 극고(極苦)이다. 본초에 산두근의 미는 감이다고 했는데 큰 잘못이다.” 는 뜻이다.


유양잡조(酉陽雜俎)에 일목오향(一木五香)이라고 기록된 것도 수정하였다. 심괄은 단성식(段成式)의 유양잡조의 기사들에 몹시 탐을 내어 군침을 흘려가며 탐독하였다.


심괄은 단향목과 침향목은 다른 두 개의 품종이다는 것을 상세히 고찰한 후에 밝혔다. 또 계설향(鷄舌香)은 정향(丁香)이다는 것과 곽향은 목본(木本)이 아니고 일종의 초엽(草葉)이다는 것과 훈육(熏陸)은 유두향(乳頭香)이며 일종의 큰 잎사귀를 가진 작은 나무이고 해남도(海南島)에서 생장한다는 것도 밝혀냈다.


이상에 열거한 5 가지 초약은 각각 다른 것이다고 밝혔다.


심괄은 유양잡조의 일목오향(一木五香)이란 부분이 틀렸다고 지적했다. 심괄의 과학적인 연구 태도는 칭찬 받을 만 하다.

2012년 2월 20일 월요일

생강


생강강환시노적랄(姜還是老的辣)” 이란 속어가 있다. 다시 말하면 연장자들이 연경자들 보다 경험이 풍부하다.” 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또 강계지성(姜桂之性),월노월랄(越老越辣).” 이란 속언(俗諺)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생강과 육계는 여물수록 맵다는 뜻인데 경험이 많을수록 노련하다는 뜻을 포함하고 있다. 즉 사람이 나이를 먹어가도 성격이나 의지는 굳세다는 뜻이다. 노강이 더 매운 이유는 노강속에 강랄소(姜辣素: Gingerol)와 강희동(姜稀 : Shogaol) 성분이 높기 때문이다. 생강은 신강(新姜), 자강(紫姜 : 子姜), 노강(老姜)으로 구별된다. 자강은 미성숙된 강아(姜芽)를 일컬으며 노강은 종강(種姜)이고 신강은 갓 성숙한 생강이다. 본초강목에 보면 강초생눈자기첨미자(姜初生嫩者其尖微紫), 명자강혹작자강(名紫姜或作子姜). 숙근위지모강야(宿根謂之母姜也).  사월취모강종지(四月取母姜種之), 오월생묘여초생눈로(五月生苗如初生嫩蘆), 이엽초활사죽엽(而葉稍闊似竹葉), 대생(對生), 엽역신향(葉亦辛香), 추사전후신아돈장(秋社前後新芽頓長), 여열지상(如列指狀), 채식무근(採食無筋), 위지자강(謂之子姜), 추분후자차지(秋分後者次之), 상후직노의(霜後則老矣).”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처음 돋아난 생강의 끝은 약간 자색을 띄고 있기 때문에 자강(紫姜) 또는 자강(子姜)이라고 부른다. 숙근은 어미 생강이다. 4 월에 어미 생강을 땅속에 심어 놓으면 5 월에 어린 갈대와 같은 싹이 돋아나는데 잎은 대나무의 잎과 비슷하며 조금 더 넓다. 잎은 대생이며 어린 잎에서도 매운 냄새가 난다. 추사를 전후하여 새싹은 생장을 멈춘다. 열 손가락을 벌리고 있는 모양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캐어서 먹어 보면 섬유질이 없기 때문에 연하므로 자강이라 칭한다. 추분 후에 생강은 자강 다음으로 연하고 서리를 맞고 나면 노강이 된다.” 는 뜻이다. 추사란? 농가에서 지내는 토신제(土神祭)로써 입추 후 다섯번
째 무일(戊日)이다. 노강을 땅에 심으면 양쪽에서 자강이 싹터 나오는데 색깔이 얕은 자색이라서 자강이라고 부른다. 영자강(咏子姜)이란 시()에 보면 자강흡사윤장지(子姜恰似粧指), 유첨대천홍(柔尖帶淺紅).”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자강은 흡사 매니큐어를 칠한 여성의 아름다은 손톱과 같네! 부드러운 싹의 끝에는 빛깔이 연한 붉은색을 칠했군!” 이란 뜻이다. 자강의 생장하는 모습으 잘 묘사한 시이다. 자강의 생장 과정 중 자강은 손강(孫姜)을 싹티우고 손강은 증손강(曾孫姜)을 싹티우며 자자손손 대를 있는다. 그래서 수확기에 생강 한 그루에서 1kg 내지 2kg 의 수확을 얻는다. 고인들은 강구본()” 이란 속언을 믿고 있다. 다시 말하면 생강은 심기 만 하면 절대로 밑지지 않는다.” 는 뜻이다. 또 하나의 속언은 양우종강(養牛種姜), 자리상당(子利相當).” 인데 다시 말하면 자식들에게 소를 기르고 생강을 심게 하여라. 그러면 자식들에게 상당히 유익하다.” 는 뜻이다. 강서성 구강현(九江縣) 황노문향(黃老門鄕)에서 생산되는 황노문 생강은 키가 60츠 내지 80츠 이고 생장력이 강하며 생강의 사이즈가 크고 속살이 노랑색이며 굉장히 매웁다. 허신(許愼)은 설문(說文)에 기록된 생강을 다음과 같이 주석했다. ”강작강(姜作疆), 어습지채야(御濕之菜也).” 다시 말하면 ()은 강()과 뜻이 같고 강()은 분계선 즉 국경을 일컫는다. 생강은 습을 막아주는 채소이다.” 는 뜻이다. 왕안석의 자설(字說)에 보면 강작강(姜作疆), 강능능어백사(姜能御百邪), 고위지강(故謂之姜).’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은강()과 뜻이 같으며 질병을 일으키는 백사를 방어해 준다. 고로 강이란 이름을 얻었다.” 는 뜻이다. ()이란? 경게, 국경,변방 이란 뜻을 갖고 있다. 울타리를 높이쳐서 도둑을 집에 들지 못하게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인체의 표피()를 튼튼하게 하여 백 가지 병을 일으키는 병사를 체내에 침입하지 못하게 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생강의 원산지는 동남아,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 등이다. 생강이 기록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전적(典籍)은 예기(禮記)인데 사리강계(楂梨姜桂)” 란 글귀가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산사, , 생강, 육계이다. 공자의 논어(論語)-향당(鄕黨)에도 위공자불철강식(謂孔子不撤薑食), 불다식(不多食).”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공자가 이르기를 생강을 먹어라. 그러나 많이 먹지 말아라.” 는 뜻이다. 혹자는 매식불철강(每食不撤薑)” 이라고 해석했다. 다시 말하면 매끼 마다 생강을 먹어라.” 는 뜻이다. 여씨춘추에도 화지미자(和之美者), 촉군양박지강(蜀郡揚朴之姜)”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생강은 여러가지 약초를 잘 조화시켜 주는데 촉군(四川省) 양박( 揚朴)에서 나는 생강이 좋다.” 는 뜻이다. 진한(秦漢) 시대에 사천성은 생강의 주요 생산지였다. 장사(長沙) 마왕퇴 1 () ()에서 출토된 한() 나라 때 문물 중 생강이 포함되어 있다. () 나라 때 사상가요 정치가인 왕부지(王夫之)는 호남성 형양(衡陽) 금난향(金蘭鄕) 태생인데 의리(醫理)에도 정통한 사람이다. 그는 일생 동안 생강을 애용하였다. 그는 매강사(賣姜詞)란 제목의 다음과 같은 시()를 읊었다. ”강최료인간병(姜最療人間病), 사염한(乍炎寒).” 다시 말하면 추위와 더위로 인한 인간의 모든 병의 치료에 생강이 최고이다.” 는 뜻이다. 그는 만년에 형양으로 내려가 석선산(石船山) 부근에 있는 초가집에서 살았는데 강재(姜齋)라고 이름을 붙였으며 자기의 호() 역시 매강옹(賣姜翁)이라고 지었다. 생강이 처음으로 중국에서 유럽으로 전입 된 후 유럽에서는 생강을 귀중한 향료로 사용했다. 그 당시 영국에서는 생강 1 파운드와 면양(綿羊) 한 마리를 맞바꾸었다. ”어불리강(魚不離姜), 육불리장(肉不離醬). 조상삼편강(早上三片姜), 승과갈삼탕(勝過喝蔘湯).” 이란 민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생선을 요리 할 때 생강이 없으면 않되고 고기를 요리 할 때 간장과 된장이 없으면 않된다. 아침 일찍 일어나 생강 세 편()을 먹는 것이 인삼탕을 한 컵 마시는 것 보다 낫다.” 는 뜻이다. 생강은 조미료이며 자신의 매운 맛과 향기를 다른 음식 속으로 들여보내 준다. 생선이나 고기나 채소를 요리 할 때 생강편이나 생강사(生薑絲)를 사용하면 음식의 맛을 훨씬 돋구어 준다. 생강은 비린내와 노린내를 없애 주므로 조미료로써 없어서는 않된다. 이시진의 본초강목에 보면 범조행산행(凡早行山行), 의함일괴(宜含一塊), 불범무로청습지기급산강부정지사(不犯霧露淸濕之氣及山岡不正之邪).”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른 아침 일찍 걷거나 등산을 떠나는 등산객들은 생강 한 조각을 입에 물고 출발하면 안개와 이슬로 인한 질병을 예방해 주고 산등성이의 부정한 사기가 인체내에 침입하지 못하게 해준다.” 는 뜻이다. 소동파의 동파잡기(東坡雜記)에 보면 전당정자사화상연이팔순유여(錢塘淨慈寺和尙年已八旬有餘), 단잉면여동자(但仍面如童子).  문기양생지도(問其養生之道)? 답왈(答曰) : ”복강사십년(服姜四十年), 고불노의(故不老矣).”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전당에 있는 정자사 스님의 나이가 이미 80 세가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얼굴이 아직도 동자와 같았다. 그래서 소동파는 화상에게 양생의 도에 관하여 물었다. 화상은 나는 생강을 40 년 동안 먹었기 때문에 늙지 않았나 봅니다.” 고 대답하였다.” 는 뜻이다. 생강은 건강에 유익하지만 많이 먹지 못한다. 과량 섭취할 경우 강날소가 소화도를 경유한 후 신장에서 배설되는데 강날소가 신장을 자극하므로 구건(口乾)과 인후통(咽喉痛)과 변비 등 증상이 나타난다. 또 썩었거나 약간 상한 생강도 먹지 못한다. 왜냐하면 부패했거나 부패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생강 속에는 황장소(黃樟素 : Safrole 또는 Shikimol)가 들어 있어 간세포에 악영향을 미쳐 간암과 식도암을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황장소는 황장수의 뿌리와 수피(樹皮)와 과실 속에서 추출하는 천연 살충제로써 미국에서는 식품첨가물이나 비누나 향수 등에 사용을 법적으로 금하고 있으나 중국에서는 합법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다음과 같은 민요가 있다. ”동유생강(冬有生薑,불박풍상(不怕風霜). 동흘라복하흘강(冬吃蘿蔔夏吃薑), 무병소재수명장(無病消災命長壽).” 다시 말하면 겨울철에 생강 만 있으면 풍한을 두려할 것 없다네! 겨울에는 무를 먹고 여름에 생강을 먹으면 병도 없고 재난도 없으며 장수할 수 있거늘!” 라는 뜻이다. 인체가 허약할 경우 우리 인체는 풍()과 한()의 습격을 쉽게 받으며 따라서 세균의 감염을 받게된다. 그러면 인체내에 풍랑(風浪)이 거세게 일어나며 기침과 발열과 두통 등이 발생한다. 한의학에서 상풍(傷風) 감기는 풍과 한 때문에 발생하므로 인체내의 풍한을 몰아내면 병정이 완화된다고 말하다. 그런데 생강을 복용하고 나면 땀이 약간 난다. 그것은 생강속에 들어있는 강날소 때문이다. 강날소는 심장과 혈관에 자극을 주어 심장의 박동이 빨라지고 혈관이 확장되며 혈액순환이 빨라지게 해준다.  그러므로 인체에 온열감각을 느끼게 되고 그외 피부의 혈액순환이 양호해짐과 동시에 모공이 열린다. 그러므로 모공을 통해서 배출되는 땀의 양도 증가된다. 땀은 열을 내려줄 뿐만 아니라 병균의 독소도 체외로 배설시켜 준다. 생강은 풍과 한과 세균을 몸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해준다. 금원사대가의 한 사람 이고(李杲)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생강적용도유사(生薑的用途有四) : 일제반하(一制半夏), 후박지독(厚朴之毒);  이발산풍한(二發散風寒), 삼여조동용(三與棗同用), 익비위지기(益脾胃之氣), 온중거습(溫中祛濕); 사여작약동용(四與芍藥同用), 온경산한(溫經散寒). 민간상이생강가홍당전복(民間常以生薑加紅糖煎服), 가화거산부적어혈(可化去産婦的瘀血), 영신혈(營新血), 대산부적건강화체력회복유흔대호처(對産婦的健康和體力恢復有很大好處). 민간환용생강예방훈차(民間還用生薑豫防暈車), 승차전절일편생강부재내관혈남좌여우(乘車前切一片生薑敷在內關穴男左女右), 용수파포찰주즉가(用手帕包扎住卽可).” 다시 말하면 생강의 용도는 다음 네 가지가 있다. 첫째 반하와 후박의 독을 없애주고 둘째 체내의 풍과 한을 발산시켜 주며 셋째 생강과 대추를 함께 사용할 경우 비위(脾胃)의 기()를 증강시켜 주고 온중거습해 준다. 넷째 생강과 작약을 함께 사용할 경우 한()을 몰아내 주고 경맥을 따뜻하게 해준다. 민간에서 생강과 홍당을 함께 끓여 복용하는데 이는 산모의 어혈을 풀어주고 피를 조혈해 주기 때문에 산모의 건강과 체력회복에 가장 좋은 보약이나 마찬가지이다. 또 민간에서 차멀미와 뱃멀미를 하는 사람들에게 차나 배를 타기 전에 신선한 생강 일편을 남자는 왼쪽 내관혈에 여자는 오른쪽 내관혈에 붙여두고 손수건으로 동여매 두면 치료된다.” 는 뜻이다. 현대 의학은 생강의 방훈(防暈) 작용을 연구 발표하였다. ()에서 구토 반사를 대뇌의 구토정보 처리 센터로 보내면 차멀미와 뱃멀미가 생기는데 생강은 그 중간에서 구토정보를 차단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뿐만 아니라 생강은 내이(內耳)에 작용하여 이성현훈(耳性眩暈)을 억제해 준다는 것도 발견하였다. 덴막의 과학자들과 해군 장교들이 배를 타고 바다를 항해 하면서 스스로 신선한 생강의 방훈(防暈) 효과를 실험한 결과 훈동병(暈動病) 증상이 경감됨을 증명하였다. 일본의 과학자들은 생강이 담결석을 예방해 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생강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강날소 성분은 프로스타글랜딘(Prostaglandin)의 합성을 억제해 줄 뿐만 아니라 이담(利膽) 작용도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프로스타글랜딘(Prostaglandin)의 분비 과다는 담즙 속에 있는 점단백(粘蛋白)의 함량을 증가시킨다. 점단백과 담즙 속에 들어있는 칼슘이온과 담홍소가 결합하여 담석을 형성한다. 그런데 강날소는 마침 프로스타글랜딘(Prostaglandin)의 합성을 억제 시켜 줌과 동시에 담즙 속의 점단백의 양도 감소시켜 준다. 그 결과 담석증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담낭염과 담석증이 있는 사람들은 평상시 생강을 복용해 주면 담석증을 예방할 수 있다. 위통이 있을 때 생강 60g 내지 120g 과 홍당 120g 과 대추 7개를 함께 끓여 마시면 치료된다. 또는 생강 12g과 귤껍질 12g 을 수전복해도 좋다. 복통과 토사와 급성 위장염의 치료에는 생강과 녹차를 끓는 물속에 충포하여 마신다. 급성 이질의 치료에는 생강 45g 과 홍당(紅糖) 45g을 갈아서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