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7월 31일 일요일

단삼(丹蔘)

단삼(丹蔘)

단삼(丹蔘)의 성미(性味)는 고(), 미한(微寒)이고 활혈화어 작용과 양혈영심(養血寧心) 작용과 관흉지통(寬胸止痛) 작용이 있다.

단삼(丹蔘)의 양혈(養血)작용 때문에 고대(古代) 의가(醫家)에서 일미단삼(一味丹蔘), 공동사물(功同四物).” 이라고 단삼(丹蔘)을 극구 찬양하였다.

다시 말하면 단삼(丹蔘) 한 가지 약은 사물탕(四物湯)과 대등한 효험이 있다.” 는 뜻이다.

사물탕(四物湯)은 선수리상속단비방(仙授理傷續斷秘方)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으며 사실은 금궤요약(金櫃要略)에 수록되어 있는 궁귀교애탕(芎歸膠艾湯) 속에서 아교(阿膠)와 애엽(艾葉)과 감초를 뺀 처방이다.

사물탕(四物湯)은 성제총록(聖濟總錄) 164 ()에 지수탕(地髓湯)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계봉보제방(鷄峯普濟方) 16 ()에 대천궁탕(大川芎湯)이라고 각기 다른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사물탕(四物湯)의 조성 : 백작약, 천당귀, 숙지황, 천궁 각각 등분(等分)

사물탕(四物湯)의 용법 : 매차 9 g 을 물 220cc 속에 집어 넣고 물이 150cc 될때 까지 졸인다. 공복에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사물탕(四物湯)의 공효 : 보혈화혈(補血和血), 조경화어(調經化瘀).

사물탕(四物湯)은 보혈(補血)의 양방(良方)이다.

단삼(丹蔘)은 심장관상동맥의 확장 작용이 있고 또 혈액순환을 개선시켜 준다. 전염성 간염과 혈흡충(血吸蟲)으로 인한 간비종대(肝脾腫大 : Hepatosplenomegaly)의 치료에 사용되며 재생장애성빈혈(再生障碍性貧血 : Aplastic Anemia)도 치료해 준다.

의종금감(醫宗金鑑)에 수록되어 있는 단삼음(丹蔘飮)의 배방은 단삼 1 (), 단향(檀香) 1 () 後下, 춘사인(春砂仁) 1 () 後下 이고 수전복하며 활혈행기지통 작용이 있으므로 만성위염과 위궤양과 12 지장 궤양과 위장신경기능병(Gastrointestinal Neurosis)과 관상동맥죽상경화성심장병(Coronary Artherosclerotic Heart Disease)을 치료해 준다.

어혈(瘀血)로 인한 제반 심복통(心腹痛)에 단삼(丹蔘) 한 가지 약을 복용하면 치료된다.

단삼(丹蔘)의 미한성(微寒性) 때문에 창과(瘡科)의 모든 열독이 치료된다.

또 불면증 처방 속에 단삼 3 전 내지 5 전을 가미해서 불면증을 치료하면 더욱 효과가 좋다.

담배 속에 포함되어 있는 타르(Tar)와 기타 화학물질들은 암을 발생시킴은 물론 혈액순환을 방해하고 신경계통과 소화계통에 해를 끼친다.

그런데 현대 과학 실험에 의하여 담배 속에 단삼(丹蔘)을 가미해서 안휘성(安徽省) 한의과 대학에서 만든 복방단삼약물담배는 공기 소독 작용이 있는데 적외선의 작용과 방불하다고 보고 되었다.  복방단삼약물담배는 흡연가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왜냐하면 복방단삼약물담배는 항암작용이 있고 인체의 건강을 해치지 않는다고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담배 속에 22mg 의 타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High Tar Cigarette 이라고 부르고 15mg 내지 21mg 의 타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Medium Tar Cigarette 이라고 부르며 7mg 이하의 타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Low Tar Cigarette 이라고 부른다.

2011년 7월 30일 토요일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의 전설(傳說)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의 전설(傳說)

다음은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에 관한 고사(故事) 한 토막이다.

종전(從前), 유일위명의(有一位名醫), 피요거위일위중병인진치(被邀去一位重病人診治). 병인흉배별통(病人胸背), 저열기전(低熱羈纏), 객토예농(喀吐穢膿), 중의불효(衆醫不效). 명의진병열방(名醫診病閱方), 일시조부도합당적치료방법(一時找不到合當的治療方法). 피핍간명의복안소순(疲乏間名醫伏案小盹), 홀견일위백의여자표연이지(忽見一位白衣女子飄然而至), () : ”차군내시대호인(此君乃是大好人), 락선회인(樂善懷仁), 혜급생물(惠及生物), 견유포사자(見有捕蛇者), 타즉매하방생(他卽買下放生), 선생무필정심시치(先生務必精心施治), 구타일명(救他一命)”

다시 말하면 옛날에 어느 중병 환자의 집에서 명의를 초청하여 환자를 치료했다. 환자는 가슴과 등에 심한 통증이 있었으며 몸에 항상 저열이 있어 귀찮았다. 또 입에서는 더럽고 냄새나는 고름을 토했다. 여러명의 의사들도 치료하지 못했다.

명의(名醫)들이 환자를 진찰하고 나서 처방을 찾아 치료해 봤지만 합당한 치료 방법이 아니었다.

명의(名醫)가 책상에 엎드려 잠깐 동안 졸고 있는데 꿈속에서 갑자기 흰 옷을 입은 여자가 둥실 둥실 떠다니다가 명의(名醫) 앞에 나타나 이 환자는 대단히 착한 사람입니다. 선행을 좋아하며 박애정신이 투철하고 어진 사람이기 때문에 작은 생물에 까지 은혜를 베푸는 사람입니다. 뱀을 잡으러 다니는 사람들을 만나면 스스로 돈을 지불하고 뱀을 사서 다시 살려주는 사람입니다. 당신은 정성을 다하여 반드시 이 사람을 살려야 합니다.” 고 명의(名醫)에게 말했다.

그래서 명의(名醫)는 흰 옷을 입은 여자에게 그러면 좋은 약 처방을 저에게 가르쳐 주십시요라고 간청했다.

흰 옷을 입은 여자는 명의(名醫)에게 나를 따라 오십시오!” 라고 말했다.

명의(名醫)는 흰 옷을 입은 여자를 따라 대문 밖으로 나갔다. 흰 옷을 입은 여자는 바람에 나부끼며 가볍게 흔들리는 모양으로 걸어 갔다. 얼마 후에 흰 옷을 입은 여자가 서 있는 곳에 백화사((白花蛇) 한 마리가 있었다. 백화사(白花蛇)가 입에서 토해 내는 물이 땅에 떨어지자 마자 한 무더기의 작은 꽃나무로 변했다.

명의(名醫)는 이상하게 생각하며 깜짝 놀라서 잠에서 깨어났다. 그때 마침 환자의 집에서 명의(名醫)를 초대하여 식사 대접을 하겠다는 연락이 왔다.

명의(名醫)잠깐만 기다리십시요! 나를 따라 오십시요!” 라고 환자의 집안 식구들에게 말한 후 환자의 집안 식구들을 데리고 대문 밖으로 나가 언덕에 가보니 과연 꿈에 봤던 부드럽고 가냘픈 가느다란 풀들이 총총 자라고 있었다.

명의(名醫)는 이 풀을 채취하여 끓여서 환자에게 복용시켰다. 환자의 병정은 호전되었으며 그 이튿 날 까지 한 근()이 좀 넘게 복용시켰다. 환자의 병은 완전히 치유되었다.

명의는 그 당시 까지 쓰여진 모든 본초학 서적을 들추어 봤으나 이 풀에 관하여 기록된 본초서를 발견하지 못했다.

그래서 명의(名醫)는 다음과 같은 시()를 한 수() 읊었다.

백화사설초섬섬((白花蛇舌草纖纖), 복지반환농사변(伏地盤桓農舍邊),
  자고호심다선보(自古好心多善報), 영충감덕약유전(靈蟲感德藥流傳).”

다시 말하면 부드럽고 가냘픈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너는 농촌의 둔덕에서 숨어 자라며 옛날 부터 마음씨 착하고 선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 보답해 왔구나! 박애심 많은 선량한 사람들이 뱀에게 베풀어 준 은덕에 감격하여 신령한 뱀을 통하여 민간에 이 풀을 유전(流傳)시켰나 보구나!” 라는 뜻이다.

백화사설초는 천초과 식물 백화사설초의 전초(全草)이다. 키는 15cm 내지 50cm 이고 줄기는 매끈하고 원주형이며 매우 가늘고 약하다. 잎은 대생(對生)이며 길이는 1cm 내지 3.5cm 이고 넓이는 1mm 내지 3mm 이다. 산비탈이나 길가나 산꼴자기에서 흐르는 시냇물가에서 자란다. 여름과 가을철에 채취하여 햇빛에 말리거나 선용(鮮用)한다.

항암 작용과 항균 작용과 소염 작용이 있다

1.   독사교상의 치료에 반변연(半邊蓮)과 함께 복용하거나 백화사설초 한 냥()을 즙을 내어 복용하거나 수전복하고 동시에 상구(傷口)에 발라준다.

2.   각종 암증의 치료엔 반지연과 함께 복용한다.

3.   이질과 요도염의 치료엔 백화사설초 한 냥()을 수전복한다.(福建中草藥)

4.   황달의 치료엔 백화사설초 한 냥() 내지 두 냥()을 즙을 내어 꿀과 함께 복용한다.

5.    어린 아이들의 불면증엔 신선한 백화사설초 즙 한 숟갈을 복용시킨다.( 南民間草藥)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는 광서중약지(廣西中藥志)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는 천초과(茜草科) 식물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의 전초(全草)이다.

흰꽃(白花)을 피우며 잎사귀의 모양이 뱀()의 혀()와 비슷하게 생겼으므로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란 이름을 얻었다. 성미(性味)는 감(), (), ()이고 간(), (), ()으로 들어 간다. 청열해독 작용과 이뇨소종 작용과 활혈지통 작용이 있다. 용량은 30g 내지 60g 이고 각종 암을 치료해 준다. 특히 간암과 소화도암과 임파계통 암과 자궁경암과 위암 등을 치료해 준다.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2 ()과 반지연(半枝蓮) 1 ()을 물 15 사발(bowl) 속에 집어 넣고 2 시간 동안 삶는다. 밤낮으로 차() 대신 마신다. 이 처방은 간암, 자궁암, 유방암, 위암, 대당암의 치료에 사용된다.

어느 사형수가 사형집행 날짜를 3 일 남겨두고 조상 대대로 전해 내려오던 이 처방을 백성들의 질병을 치료해 달라고 마지막 유언을 남기고 사형당한 유명한 처방이다. 암환자들에게 일대복음(一大福音)이 아닐 수 없다. 중국비방전서(中國秘方全書) 600 페이지에 수록된 말이다.

반지연(半枝蓮)의 성미(性味)는 신(), (), ()이고 폐(), (), (), ()로 들어 간다. 청열해독 작용과 이뇨소종 작용과 화어(化瘀) 작용이 있다. 용량은 15g 내지 120g 이다. 항암 작용을 갖고 있는 귀중한 약재이며 간암, 위암, 직장암, 폐암, 소화도암, 융모막상피암(絨毛膜上皮癌) 등을 치료해 준다.

간단한 암치료 처방을 소개한다.

1.   식도암, 직장암, 위암 :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70g, 의이인(薏苡仁) 30g, 황약자(黃藥子) 9g, 오약(烏藥) 3g, 용규(龍葵) 3g, 오매(烏梅) 6g, 삼칠(三七) 1.3g, 수전복. 매일 1 () (全國中草藥匯編)

2.   위암, 유방암, 자궁경암, 직장암 :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60g, 반지연 30g, 1500cc. 1 시간 내지 2 시간 동안 끓인 후 밤낮으로 차() 대신 마신다. (湖南中草藥單方驗方選編)

3.   위암 :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250g, 용규근 200g, 저앙앙(猪殃殃 : 鋸子草) 100g. 수전복. 매일 1 () (中草藥單方驗方新醫療法選編)

4.   위암 :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90g, 백모근 60g, 설탕 약간, 수전복.  매일 1 () (新編中醫入門)

5.   대장암, 식도암 : 백화사설초 150g, 백모근 150g, 수전복(水煎服), 매일 1 ()(實用抗癌驗方)

6.   대장암 : 백화사설초 120g, 백모근 120g, 수전복 (抗癌食藥本草)

7.   직장암 :  백화사설초 150g, 잠휴(蠶休) 10g, 괴미(槐米) 10g, 수전복, 매일 1 ()

8.   식도암 : 백화사설초 120g 내지 150g, 수전복, 매일 1 () (北京中醫硏究院)

9. 폐암 :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100g, 반지연 50g, 하고초 25g, 10 대접이 5 대접으로 될때 까지 졸인다. () 대신 마신다.

10. 간암 :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60g, 반지연 30g, 15 대접이 5 대접으로 될때 까지 졸인다. 하루 5 차례 매차 한 대접씩 마신다. (實用抗癌驗方)

11.   간암 : 백화사설초 150g, 백모근(白茅根) 120g, 수전복, 매일 1 () (癌症秘方驗方)

12.   췌장암 :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150g, 반지연 50g 내지 100g, 철수엽(鐵樹葉) 50g, 홍등(紅藤) 50g, 수전복, 매일 1 () (實用抗癌驗方)

13.   백혈병 :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60g 내지 90g, 수전복, 매일 1 () (湖南中草藥)

14.   기타암 :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30g 내지 60g, 수전복, 매일 1 () (實用抗癌驗方)

15.   전립선비대증 : 백화사설초 100g, 1000cc, 1 시간 끓인 후 하루 세 차례 아침 식사 후 30 , 점심 식사 후 30 , 저녁 식사 후 30 분에 모두 복용한다. 1 요정(療程)1 개월이며 3 요정 내지 5 요정 실시해야 된다.

2011년 7월 28일 목요일

오석산(五石散)과 위진(魏晉) 명사(名士)들

오석산(五石散)과 위진(魏晉) 명사(名士)

일종의 약물이 한 시대를 풍미하던 때가 많이 있었다. 예를 들면 진시황(秦始皇)의 불로장생선단(不老長生仙丹)과 청 나라 후기의 아편과 서진(西晉 : 서기 265 년 – 서기 316 )의 명사(名士)들이 오석산에 매혹되었던 역사적 사실들이 있었다.

선단(仙丹)의 기원은 원래 최고 통치자들이 죽음의 공포에서 탈피해 보려는 노력의 결과이었고 아편은 백성들의 생활의 질을 떨어 뜨렸었다. 선단은 정신적으로 위안을 얻기 위해서 복용되었고 아편은 육체적인 향락을 위해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오석산(五石散)이 서진(西晉) 때 환영받았던 이유는 이해하기 어렵다.

노신(魯迅)의 ”위진풍도급약여주적관계(魏晉風度及藥與酒的關係” 에 보면 다음과 같이 오석산(五石散)에 대하여 피력해 놓았다.

”오석산시일종독약(五石散是一種毒藥), 시하안흘개두적(是何晏吃開頭的). 한시(漢時), 대가환불감흘(大家還不敢吃), 하안혹자장약방약가개변(何晏或者將藥方略加改變), 변흘개두료(便吃開頭了). 오석산적기본(五石山的基本), 대개시오양약(大槪是五樣藥); 석종유(石鐘乳), 석유황(石硫黃), 백석영(白石英), 자석영(紫石英), 적석지(赤石脂); 령외파환배점별양적약(另外怕還配點別樣的藥).

다시 말하면 ”오석산(五石散)은 독약이다. 하안이 복용하기 시작하였다. () 나라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때 까지도 감히 오석산을 복용하지 못했었다. 하안과 다른 사람이 오석산(五石散)의 약방을 개량하여 처음 복용하였다. 오석산(五石散)은 종유석과 석유황과 백석영과 자석영과 적석지 등으로 조성되어 있는데 하안은 아마도 그외 몇가지의 다른 약도 가미했을 것이다." 는 뜻이다.

오석산(五石散)을 복용하면 맨 처음 신체가 차디 찼다가 열이 나기 시작한다. 학질에 걸린 사람과 비슷하며 한 자리에 가만히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없고 사방으로 돌아 다녀야 한다. 또 찬 음료를 계속 마셔야 하고 찬 음식을 먹어야 한다. 그래야 오석산(五石散)의 약력이 발산된다. 그래서 오석산(五石散) "행산(行散)" 이란 이름을 얻었다.

오석산 복용 후 밖앝을 돌아다니지 않으면 목숨을 잃을 것 같은 걱정이 생긴다. 동시에 장기간 오석산을 복용할 경우 피부가 민감해 짐은 물론 피부가 달아서 헤지기 쉽다. 그래서 서진(西晉)의 명사(名士)들이 크고 헐렁 헐렁한 긴 옷을 입고 다니기를 좋아 했으며 얼핏 보기에 둥둥 떠다니는 것 처럼 보였다.

다음과 같은 노신(魯迅)의 글에서 더욱 자세한 오석산의 일면목을 엿볼 수 있다.

”흘오석산지후(吃五石散之後), 인피부이어마파(因皮膚易於磨破), 천혜야불방편(穿鞋也不方便), 고불천혜말이천극(故不穿鞋而穿屐),소이아문간진인적화상혹나시적문장(所以我們看晉人的畵像或那時的文章), 견타의복관대(見他衣服寬大), 불혜이극(不鞋而屐),이위타일정시흔서복(以爲他一定是很舒服), 흔표일적료(很飄逸的了), 기실타심리도시흔고적(其實他心理都是很苦的).

다시 말하면 ”오석산(五石散) 복용 후 피부가 쉽게 망가지기 때문에 신발을 신으면 대단히 불편했다. 그래서 신발도 신지 못하고 양말도 갑갑해서 신지 못했으며 더욱이 나막신은 신을 수 없었다. () 나라 때 그린 그림들을 보면 더욱 자세히 볼수 있고 진 나라 때 글을 읽어 보면 잘 알수 있다. 크고 헐렁 거리는 의복을 입고 맨발로 걸어 다니는 것이 훨씬 편하나 한편으로는 고통 스럽다.” 는 뜻이다.

의복이 크고 헐렁거리는 것도 중요하였지만 새 의복이냐? 헌 의복이냐? 가 더욱 중요했다. 새 의복은 부자연스럽고 거북스러웠기 때문에 새 의복은 싫어했고 환영을 받지 못했다.

또 의복을 세탁해서 입는 것도 좋지 않았기 때문에 세탁하지 않은 헌 의복이 환영을 받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진 나라 때 오석산(五石散)을 복용하는 명사들은 지저분하고 칠칠치 못한 사람들이라는 평판을 얻었다.

오석산(五石散)을 복용하는 명사들의 의복과 신체가 불결하니 명사들의 몸은 이()들의 낙원(樂園)이었다.

()를 잡으며 태연하게 아무 꺼리낌없이 이야기하는 모습은 진 나라 때 오석산(五石散)을 복용 명사들의 모습의 일부분이었다.

진 나라 때 명의 황보밀(皇甫謐)의 고사전(高士傳)에 보면 오석산(五石散) 복용 후 자기 자신이 겪은 오석산(五石散)의 약성과 고통을 상세하게 다음과 같이 기록해놓았다.

”흘오석산지후(吃五石散之後), 혼신조열(渾身燥熱), 오내여분(五內如焚), 재융동계절(在隆冬季節), 광착신자흘빙(光着身子吃氷),  하천취경가난이인수(夏天就更加難以忍受),상득료학질상한일양(象得了疾傷寒一樣),신체부종(身體浮腫), 사지산통(四肢酸痛), 지능방성애호(只能放聲哀號).

다시 말하면 ”오석산(五石散) 복용 후 온 몸에서 조열이 나고 오장(五臟)에 불이 붙어 타고 있는 느낌이 들며 엄동설한에도 옷을 발가벗고 지내야 됨은 물론 얼음 물을 계속 마셔야했다. 여름철엔 더욱 견디기 힘들었고 학질에 걸린 사람과 똑 같은 증상이 나타났다. 온 몸이 붓고 사지산통이 생기며 때로는 슬피 통곡도하고 울부짖기도 한다.” 는 뜻이다.

황보밀(皇甫謐)은 오석산(五石散)을 복용한 후 고통을 참다 못하여 칼을 들고 자살하려 했으나 황보밀(皇甫謐)의 숙모가 사정하며 말리는 바람에 자살을 포기하였다.

황보밀(皇甫謐)은 또 오석산(五石散)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해 놓았다. ”허다인발산실오(許多人發散失誤), 사어비명(死於비명). 아적족제(我的族弟), 통고득설두도함입후롱지중(痛苦得舌頭都陷入喉之中). 동해인왕양부(東海人王良夫), 옹심심함입후배(癰深深陷入後背), 롱서신창서(西辛昌緖), 척육완전궤란(脊肉完全潰爛), 촉군적조공열(蜀郡的趙公烈), 중표친척리유육인인차이사(中表親戚里有六人因此而死). 저도시복용한식산조성적(這都是服用寒食散造成的), 아수연환활착(我雖然還活着), 단야시구연잔천(但也是苟延殘喘), 유인소병(遺人笑柄).”

다시 말하면 수 많은 사람들이 실수로 생명을 잃었다. 나의 집안 동생들은 오석산(五石散) 복용 후 혀가 꼬부라져 안으로 들어가 목구멍을 막아 숨을 제대로 쉴수 없었으며 동해(東海)에 사는 왕양부(王良夫)란 사람은 오석산(五石散)을 복용하고 나서 악창이 등에 생겨 깊이 살을 파고 들어가 푹 꺼져 있었고 롱서(西)에 거주하는 신창서(辛昌緖)는 오석산(五石散) 복용 후 등심살이 모두 썩어 문드러졌으며 촉군(蜀郡)에 사는 조공열(趙公烈)의 내종과 이종과 외종 형제들은 오석산(五石散) 복용 후 6 명이 죽고 말았다. 모두 한식산을 복용한 때문이다. 나는 숙모 덕분에 겨우 생명을 건져서 얼마 남지 않은 목숨을 부지해 나가지만 한낱 웃음거리로 남아있다.” 는 뜻이다.

오석산(五石散) 복용 후 받는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큰데  어찌하여 진() 나라 때의 명사(名士)들에게 오석산(五石散)의 인기가 떨어지지 않했을까? 또 어째서 오석산(五石散)을 앞을 다투어가며 복용했을까?

단 한 가지 이유는 장양(壯陽)해 보려는 욕심 때문이었다. 또 한 가지 이유는 진 나라 때 얼굴이 희고 팽팽한 얼굴을 지닌 남자들과 심성이 온순하고 부드럽고 성격과 행동이 얌전한 남성들이 여성들로 부터 존경을 받았었다. 요즘 처럼 남성들이 튼튼한 근육을 갖고 있는 남성들은 여성들로 부터 호평을 받지 못했었다. 오석산(五石散) 만이 이상에 열거한 남성들의 소원을 만족시켜 주는 약이었다. 즉 오석산(五石散)은 남성들의 장양과 미모를 모두 만족시켜주는 약이었다.

남북조시대 유송(劉宋)의 태의령(太醫令) 진승조(秦承祖)는 ”오석산시제박지영화(五石散是制作之英華), 군방지영수(群方之領袖)” 라고 말했다.

다시 말하면 ”오석산(五石散)은 훌륭하게 만들어 졌고 모든 약 처방 중 으뜸간다.” 는 뜻이다.

서진(西晉)의 저명한 의학가 송상심(宋尙甚)은 ”지단언설오석산보치백병(至斷言說五石山保治百病), 실재시선단일양적동서(實在是仙丹一樣的東西).”라고 말했다.

다시 말하면 ”오석산은 백 가지 병을 치료해 주고 실제로 선단과 같은 약이다.” 는 뜻이다.

오석산 중 주요 원료의 약효는 다음과 같다.

석유종 : 온폐기(溫肺氣), 장원양(壯元陽), 하유즙(下乳汁). 주치 : 허로로 인한 천해, 양위(陽痿), 요슬산통, 유즙불통

백석영 : 온폐신(溫肺腎), 안심신(安心神), 이소변. 주치 : 폐한으로 인한 해천(咳喘), 양위(陽痿), 경계, 기억력 감퇴, 소변불리.

석유황 : 장양살충 주치 : 양위(陽痿), 허한으로 인한 설사, 변비.

적석지 : 삽장(澁腸), 지혈(止血), 생기(生肌), 염창() 주치 : 유정(遺精), 구사(久瀉), 탈항, 붕루, 대하, 궤양.

자석영 : 진심(鎭心), 안신(安神), 강역기(降逆氣), 난자궁(暖子宮). 주치 : 허로로 인한 경계(驚悸), 해역(咳逆), 불잉(不孕), 부녀혈해허한(婦女血海虛寒).

이상 5 가지 약물 중에서 자석영 만 여성들의 자궁을 따뜻하게 해주고 나머지 4 가지 약물들은 한결같이 양기를 북돋아 주는 장양약(壯陽藥)들이다. 위진의 명사들이 오석산을 복용한 목적이 폭로된 셈이다.

오석산(五石散) 복용 후 사람을 고통스럽게 해주지만 사람을 황홀경과 무아경으로 진입시켜 주고 속세의 번뇌와 실망 등을 없애주며 하늘 끝 저멀리 둥둥 떠다니는 기분을 만들어 주고 일종의 탈속적(脫俗的) 감각을 일으키게 해주는 점은 오석산(五石散)의 장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위진(魏晉) 때 명사(名士)들이 복용한 오석산(五石散)은 일종의 정신아편이었다.

오석산(五石散)과 위진(魏晉) 명사(名士)들

오석산(五石散)과 위진(魏晉) 명사(名士)

일종의 약물이 한 시대를 풍미하던 때가 많이 있었다. 예를 들면 진시황(秦始皇)의 불로장생선단(不老長生仙丹)과 청 나라 후기의 아편과 서진(西晉 : 서기 265 년 – 서기 316 )의 명사(名士)들이 오석산에 매혹되었던 역사적 사실들이 있었다.

선단(仙丹)의 기원은 원래 최고 통치자들이 죽음의 공포에서 탈피해 보려는 노력의 결과이었고 아편은 백성들의 생활의 질을 떨어 뜨렸었다. 선단은 정신적으로 위안을 얻기 위해서 복용되었고 아편은 육체적인 향락을 위해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오석산(五石散)이 서진(西晉) 때 환영받았던 이유는 이해하기 어렵다.

노신(魯迅)의 ”위진풍도급약여주적관계(魏晉風度及藥與酒的關係” 에 보면 다음과 같이 오석산(五石散)에 대하여 피력해 놓았다.

”오석산시일종독약(五石散是一種毒藥), 시하안흘개두적(是何晏吃開頭的). 한시(漢時), 대가환불감흘(大家還不敢吃), 하안혹자장약방약가개변(何晏或者將藥方略加改變), 변흘개두료(便吃開頭了). 오석산적기본(五石山的基本), 대개시오양약(大槪是五樣藥); 석종유(石鐘乳), 석유황(石硫黃), 백석영(白石英), 자석영(紫石英), 적석지(赤石脂); 령외파환배점별양적약(另外怕還配點別樣的藥).

다시 말하면 ”오석산(五石散)은 독약이다. 하안이 복용하기 시작하였다. () 나라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때 까지도 감히 오석산을 복용하지 못했었다. 하안과 다른 사람이 오석산(五石散)의 약방을 개량하여 처음 복용하였다. 오석산(五石散)은 종유석과 석유황과 백석영과 자석영과 적석지 등으로 조성되어 있는데 하안은 아마도 그외 몇가지의 다른 약도 가미했을 것이다." 는 뜻이다.

오석산(五石散)을 복용하면 맨 처음 신체가 차디 찼다가 열이 나기 시작한다. 학질에 걸린 사람과 비슷하며 한 자리에 가만히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없고 사방으로 돌아 다녀야 한다. 또 찬 음료를 계속 마셔야 하고 찬 음식을 먹어야 한다. 그래야 오석산(五石散)의 약력이 발산된다. 그래서 오석산(五石散) "행산(行散)" 이란 이름을 얻었다.

오석산 복용 후 밖앝을 돌아다니지 않으면 목숨을 잃을 것 같은 걱정이 생긴다. 동시에 장기간 오석산을 복용할 경우 피부가 민감해 짐은 물론 피부가 달아서 헤지기 쉽다. 그래서 서진(西晉)의 명사(名士)들이 크고 헐렁 헐렁한 긴 옷을 입고 다니기를 좋아 했으며 얼핏 보기에 둥둥 떠다니는 것 처럼 보였다.

다음과 같은 노신(魯迅)의 글에서 더욱 자세한 오석산의 일면목을 엿볼 수 있다.

”흘오석산지후(吃五石散之後), 인피부이어마파(因皮膚易於磨破), 천혜야불방편(穿鞋也不方便), 고불천혜말이천극(故不穿鞋而穿屐),소이아문간진인적화상혹나시적문장(所以我們看晉人的畵像或那時的文章), 견타의복관대(見他衣服寬大), 불혜이극(不鞋而屐),이위타일정시흔서복(以爲他一定是很舒服), 흔표일적료(很飄逸的了), 기실타심리도시흔고적(其實他心理都是很苦的).

다시 말하면 ”오석산(五石散) 복용 후 피부가 쉽게 망가지기 때문에 신발을 신으면 대단히 불편했다. 그래서 신발도 신지 못하고 양말도 갑갑해서 신지 못했으며 더욱이 나막신은 신을 수 없었다. () 나라 때 그린 그림들을 보면 더욱 자세히 볼수 있고 진 나라 때 글을 읽어 보면 잘 알수 있다. 크고 헐렁 거리는 의복을 입고 맨발로 걸어 다니는 것이 훨씬 편하나 한편으로는 고통 스럽다.” 는 뜻이다.

의복이 크고 헐렁거리는 것도 중요하였지만 새 의복이냐? 헌 의복이냐? 가 더욱 중요했다. 새 의복은 부자연스럽고 거북스러웠기 때문에 새 의복은 싫어했고 환영을 받지 못했다.

또 의복을 세탁해서 입는 것도 좋지 않았기 때문에 세탁하지 않은 헌 의복이 환영을 받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진 나라 때 오석산(五石散)을 복용하는 명사들은 지저분하고 칠칠치 못한 사람들이라는 평판을 얻었다.

오석산(五石散)을 복용하는 명사들의 의복과 신체가 불결하니 명사들의 몸은 이()들의 낙원(樂園)이었다.

()를 잡으며 태연하게 아무 꺼리낌없이 이야기하는 모습은 진 나라 때 오석산(五石散)을 복용 명사들의 모습의 일부분이었다.

진 나라 때 명의 황보밀(皇甫謐)의 고사전(高士傳)에 보면 오석산(五石散) 복용 후 자기 자신이 겪은 오석산(五石散)의 약성과 고통을 상세하게 다음과 같이 기록해놓았다.

”흘오석산지후(吃五石散之後), 혼신조열(渾身燥熱), 오내여분(五內如焚), 재융동계절(在隆冬季節), 광착신자흘빙(光着身子吃氷),  하천취경가난이인수(夏天就更加難以忍受),상득료학질상한일양(象得了疾傷寒一樣),신체부종(身體浮腫), 사지산통(四肢酸痛), 지능방성애호(只能放聲哀號).

다시 말하면 ”오석산(五石散) 복용 후 온 몸에서 조열이 나고 오장(五臟)에 불이 붙어 타고 있는 느낌이 들며 엄동설한에도 옷을 발가벗고 지내야 됨은 물론 얼음 물을 계속 마셔야했다. 여름철엔 더욱 견디기 힘들었고 학질에 걸린 사람과 똑 같은 증상이 나타났다. 온 몸이 붓고 사지산통이 생기며 때로는 슬피 통곡도하고 울부짖기도 한다.” 는 뜻이다.

황보밀(皇甫謐)은 오석산(五石散)을 복용한 후 고통을 참다 못하여 칼을 들고 자살하려 했으나 황보밀(皇甫謐)의 숙모가 사정하며 말리는 바람에 자살을 포기하였다.

황보밀(皇甫謐)은 또 오석산(五石散)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해 놓았다. ”허다인발산실오(許多人發散失誤), 사어비명(死於비명). 아적족제(我的族弟), 통고득설두도함입후롱지중(痛苦得舌頭都陷入喉之中). 동해인왕양부(東海人王良夫), 옹심심함입후배(癰深深陷入後背), 롱서신창서(西辛昌緖), 척육완전궤란(脊肉完全潰爛), 촉군적조공열(蜀郡的趙公烈), 중표친척리유육인인차이사(中表親戚里有六人因此而死). 저도시복용한식산조성적(這都是服用寒食散造成的), 아수연환활착(我雖然還活着), 단야시구연잔천(但也是苟延殘喘), 유인소병(遺人笑柄).”

다시 말하면 수 많은 사람들이 실수로 생명을 잃었다. 나의 집안 동생들은 오석산(五石散) 복용 후 혀가 꼬부라져 안으로 들어가 목구멍을 막아 숨을 제대로 쉴수 없었으며 동해(東海)에 사는 왕양부(王良夫)란 사람은 오석산(五石散)을 복용하고 나서 악창이 등에 생겨 깊이 살을 파고 들어가 푹 꺼져 있었고 롱서(西)에 거주하는 신창서(辛昌緖)는 오석산(五石散) 복용 후 등심살이 모두 썩어 문드러졌으며 촉군(蜀郡)에 사는 조공열(趙公烈)의 내종과 이종과 외종 형제들은 오석산(五石散) 복용 후 6 명이 죽고 말았다. 모두 한식산을 복용한 때문이다. 나는 숙모 덕분에 겨우 생명을 건져서 얼마 남지 않은 목숨을 부지해 나가지만 한낱 웃음거리로 남아있다.” 는 뜻이다.

오석산(五石散) 복용 후 받는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큰데  어찌하여 진() 나라 때의 명사(名士)들에게 오석산(五石散)의 인기가 떨어지지 않했을까? 또 어째서 오석산(五石散)을 앞을 다투어가며 복용했을까?

단 한 가지 이유는 장양(壯陽)해 보려는 욕심 때문이었다. 또 한 가지 이유는 진 나라 때 얼굴이 희고 팽팽한 얼굴을 지닌 남자들과 심성이 온순하고 부드럽고 성격과 행동이 얌전한 남성들이 여성들로 부터 존경을 받았었다. 요즘 처럼 남성들이 튼튼한 근육을 갖고 있는 남성들은 여성들로 부터 호평을 받지 못했었다. 오석산(五石散) 만이 이상에 열거한 남성들의 소원을 만족시켜 주는 약이었다. 즉 오석산(五石散)은 남성들의 장양과 미모를 모두 만족시켜주는 약이었다.

남북조시대 유송(劉宋)의 태의령(太醫令) 진승조(秦承祖)는 ”오석산시제박지영화(五石散是制作之英華), 군방지영수(群方之領袖)” 라고 말했다.

다시 말하면 ”오석산(五石散)은 훌륭하게 만들어 졌고 모든 약 처방 중 으뜸간다.” 는 뜻이다.

서진(西晉)의 저명한 의학가 송상심(宋尙甚)은 ”지단언설오석산보치백병(至斷言說五石山保治百病), 실재시선단일양적동서(實在是仙丹一樣的東西).”라고 말했다.

다시 말하면 ”오석산은 백 가지 병을 치료해 주고 실제로 선단과 같은 약이다.” 는 뜻이다.

오석산 중 주요 원료의 약효는 다음과 같다.

석유종 : 온폐기(溫肺氣), 장원양(壯元陽), 하유즙(下乳汁). 주치 : 허로로 인한 천해, 양위(陽痿), 요슬산통, 유즙불통

백석영 : 온폐신(溫肺腎), 안심신(安心神), 이소변. 주치 : 폐한으로 인한 해천(咳喘), 양위(陽痿), 경계, 기억력 감퇴, 소변불리.

석유황 : 장양살충 주치 : 양위(陽痿), 허한으로 인한 설사, 변비.

적석지 : 삽장(澁腸), 지혈(止血), 생기(生肌), 염창() 주치 : 유정(遺精), 구사(久瀉), 탈항, 붕루, 대하, 궤양.

자석영 : 진심(鎭心), 안신(安神), 강역기(降逆氣), 난자궁(暖子宮). 주치 : 허로로 인한 경계(驚悸), 해역(咳逆), 불잉(不孕), 부녀혈해허한(婦女血海虛寒).

이상 5 가지 약물 중에서 자석영 만 여성들의 자궁을 따뜻하게 해주고 나머지 4 가지 약물들은 한결같이 양기를 북돋아 주는 장양약(壯陽藥)들이다. 위진의 명사들이 오석산을 복용한 목적이 폭로된 셈이다.

오석산(五石散) 복용 후 사람을 고통스럽게 해주지만 사람을 황홀경과 무아경으로 진입시켜 주고 속세의 번뇌와 실망 등을 없애주며 하늘 끝 저멀리 둥둥 떠다니는 기분을 만들어 주고 일종의 탈속적(脫俗的) 감각을 일으키게 해주는 점은 오석산(五石散)의 장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위진(魏晉) 때 명사(名士)들이 복용한 오석산(五石散)은 일종의 정신아편이었다.

2011년 7월 27일 수요일

낭독(狼毒)

낭독(狼毒)

낭독(狼毒)은 신농본초경에 최초로 속독(續毒)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서향과(瑞香科) 식물 서낭독(瑞狼毒) 대극과(大戟科) 식물 낭독대극(狼毒大戟)과 월선대극(月腺大戟)의 뿌리이다.

낭독(狼毒)이란 이름만 살펴봐도 그 독성을 짐작할 수 있다. 왜냐하면 낭()은 성질이 매우 사나운 동물 이리(Wolf)이기 때문이다. 집효방(集效方)에는 천낭독(川狼毒), 전남본초에는 산라복(山蘿蔔)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낭독(狼毒)의 성미(性味)는 고(), (), (), 유독(有毒)하며 폐(), (), ()으로 들어 간다. 거담축수(祛痰逐水) 작용이 있다.

낭독(狼毒)의 미()는 신(), ()임으로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으로 들어가고 매운 맛()은 선폐평천(宣肺平喘) 작용이 있고 쓴 맛()은 조습이수(燥濕利水)해 준다.

전남본초(南本草)에 보면 낭독(狼毒) : 이수도(利水道), 하기(下氣), 소수종(消水腫), 토담연(吐痰涎).”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담습옹성수액정취(痰濕甕盛水液停聚)로 인한 해천(咳喘)과 담음(痰飮)과 수음(水陰) 등을 치료해 준다.

낭독(狼毒)은 식창살충(蝕瘡殺蟲) 작용이 있으므로 서루(鼠瘻)와 주차비()와 개선(疥癬)과 치창(痔瘡)을 치료해 준다. 낭독(狼毒)과 대황(大黃)은 모두 공하지공(攻下之功)이 있다.

개보본초(開寶本草)에 보면 낭독엽사대황(狼毒葉似大黃), 경엽상유모(莖葉上有毛), 근피황(根皮黃), 육백(肉白).”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낭독의 잎은 대황의 잎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줄기와 잎에 털이 나 있고 뿌리의 색깔은 노랑색이며 살색은 희다.” 는 뜻이다.

낭독(狼毒)은 살충 작용과 요창(療瘡) 작용이 뛰어났고 대황은 사하해독(瀉下解毒) 작용이 뛰어났다.

낭독(狼毒)을 내복(內服)할 경우 0.9g 내지 2.4g 을 전탕해야 하며 외용(外用)할 경우 마즙(磨汁)을 환처에 바르거나 가루내어 환처에 뿌려 준다.

1.   다음은 집효방(集效方)에 수록되어 있는 장부내일체충병방(臟腑內一切蟲病方)이다.

천낭독(川狼毒)을 가루내어 3g 을 취하고 적당량의 설탕과 함께 저녁 식사를 건너뛰고 공복(空腹)에 복용한다. 그러면 다음 날 아침 뱃속에 들어있던 충()들이 대변과 함께 배설된다.

2.   음산방(陰疝方) : 고환이 뱃속으로 들어가 통증이 있는 증상의 치료방이다. 낭독 4 (), 방풍(防風) 2 (), 부자 3 ()을 적당량의 꿀과 배합하여 오동자(梧桐子) 만한 사이즈로 환()을 지어 하루 3 차례 매차 3 ()씩 복용한다.

3.   고환결핵방(睾丸結核方) : 동량의 낭독과 핵도(核桃)와 백반(白礬)을 가루내어 매일 한 차례 1.2 () 씩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4.   다음은 1980 3 월호 절강중의잡지(浙江中醫雜誌)에 수록되어 있는 간암(肝癌) 치료방이다.

낭독(狼毒), 별갑(鼈甲 : 자라의 등딱지), 단삼, 건섬피(乾蟾皮), 산사(山楂), 반지연(半枝蓮), 전갈(全蝎), 삼릉(), 아출(莪朮), 암자(庵子), 수질(水蛭)을 수전복(水煎服)한다.

5.   다음은 1971 3 월호 연태의약(烟台醫藥)에 수록되어 있는 위암(胃癌), 폐암(肺癌), 간암(肝癌)의 치료방이다.

낭독(狼毒) 3g 200cc 의 물속에 집어 넣어 끓인다. 끓은 후에 두개의 달걀을 깨뜨려 넣고 함께 삶는다. 달걀이 익은 후 흘단갈탕(吃蛋喝湯)한다.

6.   다음은 종류임증비요(腫瘤臨證備要)에 있는 유방암 치료방이다.

낭독(狼毒) 500g 과 대추 500g 을 함께 푹 삶은 후 낭독(狼毒)은 건져내고 하루 세 차례 매차 5개의 대추를 복용한다.

2011년 7월 26일 화요일

토고려삼(土高麗蔘)

토고려삼(土高麗蔘)

상육(商陸)의 뿌리는 인삼과 너무나 닮아서 사람들이 상육(商陸)토고려삼(土高麗蔘)이라고 속여 팔고 있다. 상육(商陸)인삼으로 잘못 알고 잘못 복용하고 나서 중독 증상이 나타난다. 주의를 요하는 한약이다.

상육(商陸)은 신농본초경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는 한약이다. 상육(商陸)은 상육과 다년생 초본 식물 백상육(白商陸)의 뿌리이다. 성미(性味)는 고(), (), 유독하며 폐()와 비()와 신경(腎經)으로 들어 간다.

축수소종(逐水消腫) 작용이 있으므로 편신수종(遍身水腫)과 흉복창만(胸腹脹滿)과 신성수종(腎性水腫)과 이변불리(二便不利)의 치료에 돼지고기와 함께 끓여 먹으면 효과가 있다.

또 간경화복수(肝硬化腹水)와 삼출성흉막염(渗出性胸膜炎)으로 인한 흉강적수(胸腔積水)에 상육 한 가지 만 끓여 복용해도 효과가 있다.

또 해독소종 작용이 있으므로 일체의 옹창수독종통의 치료에 소금과 상육을 짛이겨 환처에 발라주면 치유된다.

내복 할 경우 2g 내지 4.5g 을 수전복한다.

축수소종(逐水消腫)의 공효(功效)는 원화(芫花)와 감수(甘遂)와 대극(大戟) 다음 간다. 상육은 거담 평천 항균 항염 작용이 있으며 적백(赤白)의 두 종류가 있는데 하얀 색깔의 상육은 약으로 쓰지만 붉은 색깔의 상육은 독성이 심하여 내복(內服)하지는 못하지 만 외용(外用)한다.

상육(商陸)은 독성이 강하여 중추신경 마비와 호흡 장애와 운동 장애와 언어불청(言語不淸)과 조동(躁動)과 근육추축(筋肉抽)이 발생하고 엄중자는 심장마비로 사망할 수도 있다. 그외 상육은 농약(農藥)으로도 사용된다.

상육(商陸)의 꽃은 본초도경(本草圖經)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다.

상육화(商肉花)의 성미(性味)는 미고(微苦), (), ()이고 심()과 신()으로 들어 간다.

익심정지(益心定志) 작용이 있으므로 정지억욱(情志抑郁)과 분노로 인한 심신불안과 우욱번조(憂郁煩燥)와 건망증과 불면증을 치료해 준다.

3g 내지 6g 을 수전복한다.

본초도경에 보면 주인심혼색(主人心惛塞), 다망희와(多忘喜臥), 취화음건백일(取花陰乾百日), 도말(搗末), 일모주복방촌비(日暮酒服方寸匕).”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육의 꽃은 정신이 흐리고 아둔하며 흐리멍텅하고 쉽게 망각하고 드러눕기를 좋아하는 증상을 치료해 주는데 상육의 꽃을 따서 그늘에서 100 일 동안 말린 후 가루로 만들어 매일 저녁 큰 숟갈로 한 숟갈씩 술과 함께 복용한다.” 는 뜻이다.


섬여(蟾蜍)

섬여()

섬여()는 두꺼비(Toad)이다. 두꺼비라고 말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용모와 모양이 추하고 더럽게 생기고 전신에 독을 지니고 있는 청개구리 같이 생긴 괴물을 연상한다.

그런데 두꺼비는 한의학에서 귀중한 약재의 하나로 친다. 예를 들면 섬소(蟾酥)가 있다.

섬소(蟾酥)?

두꺼비의 이선(耳腺)에서 분비되는 점액을 말린 덩어리인데 강심제와 진통제와 지혈제로 쓰인다.

섬소는 흑광섬여( : Bufo melanos-tictus Schneider)나 중화대섬여(中華大蟾 : Bufo bufo gargarizans cantor)의 이후선(耳後腺)과 피부에서 분비되는 백색장액(白色漿液)을 일컫는데 가공 처리 후 건조시킨 것이다.

두꺼비의 생식 계절은 여름 부터 가을 사이인데 섬소(蟾酥)는 그때 채취해야 약효가 있다. 이때 물가에 가서 살아 있는 두꺼비를 잡아야 한다. 두꺼비를 잡자 마자 깨끗한 물로 여러 차례 씻은 후 몸둥이의 물기를 헝겁으로 깨끗이 닦아낸다.

그 다음 대나무 칼로 두꺼비의 이후선을 잘라 백장(白漿)을 취한다. 또는 마늘이나 매운 고추를 두꺼비의 입속에 집어 넣어 두면 두꺼비의 입속이 매워지기 시작하면서 두꺼비의 전체 피부에서 액즙을 분비한다.

본초강목에 보면 혹이산급호초등랄물납구중(或以蒜及胡椒等辣物納口中), 직섬신백즙출(則蟾身白汁出), 이죽비괄하(以竹篦刮下), 면화성괴(面和成塊), 건지(乾之).”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마늘이나 호초 등 매운 음식물을 두꺼비의 입속에 집어 넣어 두면 즉시 온 몸에서 하얀 색깔의 즙을 분비한다. 대나무 참빗으로 긁어 모아 말린다.” 는 뜻이다.

액즙은 자기 그릇 속에 채취해야 된다. 철기(鐵器)를 사용할 경우 액즙이 흑색으로 변해 버릴 경우 약효가 전무하다. 채취한 액즙을 가는 구리 철사로 만든 체에 걸러서 불순물을 제거 시킨다. 이 액즙을 넓은 유리판 위에 부어서 햇볕에 말리면 편소(片酥)가 된다. 피소(皮酥)라고도 부른다.

또는 액즙을 자기 그릇 속에 집어 넣어 햇볕에 쪼여 70% 내지 80% 정도 건조된 다음 꺼내어 손으로 주무르거나 만지작 거려 덩어리로 만들면 단소(團酥)가 된다.

편소는 얇은 종이 쪽과 같고 반투명이며 광택이 나고 표면은 미끄럽고 부서지기 쉽다. 그래서 소()  ()를 사용했다. ()? 바삭 바삭하고 부드러우며 부서지기 쉽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단소는 떡 덩어리와 같고 광택이 나며 표면은 미끄럽고 단단하며 부서지지 않는다.

편소나 단소는 물과 만나면 흰 거품이 일면서 유백색 액체로 변하고 술 속에 집어 넣으면 용해된다. 코로 냄새를 맡을 경우 눈물과 콧물이 나오려고 하며 재채기도 나온다. 혀끝에 대면 저린 감각이 든다.

섬소(蟾酥)는 점막 신경을 마비시키기 때문에 국부 마취와 지통 작용이 있는데 섬소(蟾酥)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가지 성분 중 섬여영(: Bufalin)이란 성분의 마취 작용이 가장 강하며 코카인(Cocaine) 보다 90 ()나 더 강하다고 한다.

섬소(蟾酥)는 약성론(藥性論)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으며 섬소(蟾酥)의 성미는 감(), (), ()이고 유독하며 위()와 심()과 신()으로 들어 간다.

강심(强心) 작용과 흥분 작용과 지통 작용과 소생 작용과 항독 작용과 소종 작용과 통규(通竅) 작용이 있으므로 각종 악창정종(惡瘡疔腫)과 위통(胃痛)과 복통(腹痛)과 소아감적(小兒疳積)과 인후종통(咽喉腫痛)과 우치아통(齲齒牙痛)과 만성 신장쇠약 등을 치료해 준다.

또 섬소는 항염(抗炎) 작용과 항종류(抗腫瘤) 작용과 항방사선(抗放射線) 작용도 있다. 단 음허화왕자는 단용(單用)을 피해야 된다. 그리고 섬소의 색깔은 담황색, 자홍색, 종흑색, 홍종색 등 다양하다.

흑광섬여는 랄합마()라고도 칭하며 광동과 광서 사람들은 금거(蠄蟝)라고도 칭하는데 길이가 7cm 내지 10cm 이고 등에 얕은 오렌지 색 반점 무늬가 있다. 복부의 색은 비교적 엷다. 등에는 사마귀 처럼 생긴 혹이 무수히 많다. 사마귀는 피부선(皮膚腺)이며 이 속에서 분비물을 배출하는데 체온을 조절하고 피부를 윤활하게 해주는 일종의 점액이며 백색장액이다.

두꺼비 머리의 양쪽에 있는 이후선에서 가장 많은 양의 장액이 분비된다. 이 장액이 눈속으로 들어가면 심한 종통(腫痛)이 생기며 심하면 눈이 멀기도 한다. 이미 눈속에 장액이 들어 갔을 경우엔 자초즙(紫草汁)으로 눈을 씻어내면 소종(消腫) 작용이 있어 치료된다. 그러나 장액이 인체의 피부에 접촉될 경우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고양이와 개와 여우의 혀끝과 두꺼비의 장액이 접촉될 경우 심한 통증을 느끼며 심한 경우 죽기까지 한다. 그러므로 두꺼비는 모든 동물 사이를 거드름을 피우며 느린 동작으로 어슬렁 어슬렁 기웃둥 거리며 걸어 간다.

독사도 감히 두꺼비를 건드리지 못하고 피해 간다. 왜냐하면 독사도 두꺼비를 잡아 먹으려다 자기가 먼저 두꺼비의 독으로 죽어 버리기 때문이다.

흑광섬여는 절강성과 강서성과 귀주성과 복건성과 광동성과 광서성과 대만 등지에 서식하는데 낮에는 주로 잠을 자고 밤이나 비가 오는 날엔 밖으로 나와서 땅강아지와 바구미와 금귀자(金龜子)와 와우(蝸牛)와 활유()와 마의(螞蟻)와 갑충(甲蟲)과 아류(蛾類) 등 곤충을 잡아 먹는다.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해충 만 잡아 먹기 때문에 두꺼비는 농부들에게 매우 유익한 없어서는 않될 동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