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8월 7일 일요일

훈세요법(熏洗療法)

훈세요법(熏洗療法)

훈세요법(熏洗療法)이란?

한약을 끓일 때 나오는 증기를 이용하여 환처의 피부를 훈증하거나 약액으로 환처를 씻어 주는 일종의 치료 방법을 일컫는다.

훈세요법(熏洗療法)은 피부와 점막을 통하여 약력(藥力)과 열력(熱力)이 흡수됨으로써 기혈이 창통되고 경락이 조화를 이루어 질병을 치료해 주고 질병을 예방해 주는 공능을 갖고 있다.

현대 의학 실험에 의하여 훈세(熏洗)할 때 나오는 습윤(濕潤)한 열기(熱氣)는 피부로 하여금 약물의 흡수를 가속시켜 준다고 나타났다. 또 피부나 점막이 열을 받음으로써 국부의 체온이 상승되고 따라서 모세혈관이 확장됨으로 혈액 순환이 양호해 짐은 물론 임파액의 순환도 증진된다.

그 결과 수종(水腫)과 혈종(血腫)이 치료된다. 또 대식세포(Macrophage)의 식균작용(Phagocytosis)이 증강되며 세포막의 투과성이 증가됨으로 신진대사가 왕성해 진다. 그러므로 훈세요법(熏洗療法)은 각종 만성 염증성 질환을 치료해 주고 피부 표면에 상주하는 세균들을 제거시켜 준다.

훈세요법(熏洗療法) 역시 유구한 역사를 갖고 있다. 고인들은 한약을 내복함과 동시에 약물로 피부를 씻어 주기도 하였다.

마왕퇴(馬王堆) 한묘(漢墓)에서 출토된 오십이병방(五十二病方)에 보면 유좌어탕상천후의이훈증취한지법(有坐於湯上穿厚衣以薰蒸取汗之法)” 이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두꺼운 의복을 입고 탕액의 증기 위에 앉아서 훈증하여 땀을 내는 법이다는 뜻이다. 이는 가장 오래된 훈세요법(熏洗療法)의 하나이다.

또 황제내경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에 보면 기유사자(其有邪者), 지형이위한(漬形以爲汗).”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인체내로 사기(邪氣)가 침입했으면 탕액을 피부로 스며들게 하여 땀을 내면 사기를 구축할 수 있다.” 는 뜻이다.

이것 또한 가장 오래된 훈세요법(熏洗療法) 중 하나이다. 황제내경이 저술된 이후 훈세요법(熏洗療法)은 계속 발전되어 여러 가지 방법들을 발명해서 임상 각과에 응용되었다.

() 나라 때 장중경(張仲景)의 저서 금궤요약(金櫃要略)에 보면 식어하부직인건(蝕於下部則咽乾), 고삼탕세지(苦蔘湯洗之). 고삼탕방(苦蔘湯方) : 고삼일승(苦蔘一升), 이수일두(以水一斗), 전취칠승(煎取七升), 거재(去滓), 훈세(熏洗).”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음부에 적충(滴蟲 : Trichomonad)이 생기면 인후가 건조해 지는데 고삼탕으로 음부를 씻어 주면 치유된다. 고삼탕의 처방은 아래와 같다. 고삼 한 되()를 물 한 말()과 섞어 약물이 7 ()가 될때 까지 졸인다. 건더기는 건져내고 뜨거운 약물로 훈세해 준다.” 는 뜻이다 

() 나라 때 손사막(孫思邈)의 저서 천금익방(千金翼方)에 보면 훈세요법은 외과를 비롯하여 안과와 소아과와 부인과의 여러 가지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수 있다.

또 청() 나라 때 저서 이약병문(騈文)에 보면 진일보 발전된 훈세요법(熏洗療法)이 수록되어 있다. 훈세요법(熏洗療法)을 훈법(熏法), 임법(淋法), 증법(蒸法), 좌욕법(坐浴法) 등으로 분류해서 임상에 응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기록해 놓았다.

훈세요법(熏洗療法)은 조작이 간편하고 효과가 믿을 만 하여 민간에 널리 유전(流傳)되어 일반 가정에서도 쉽게 질병의 치료에 사용하고 있다.

훈세요법(熏洗療法)에는 훈법과 세법(洗法)과 증법(蒸法)과 기무(氣霧) 흡입법(吸入法) 등이 있다 

다음에 간단한 훈세요법(熏洗療法)을 소개한다.

1.   중풍구안와사 : 증법(蒸法) : 당귀 24g, 형개 15g, 방풍 9g, 천궁 12g, 혈여탄 3g, 포강(炮姜) 1.5g, 흑두(黑豆) 한 줌, 총백(蔥白) 3 . 하루 한 두 차례 얼굴에 훈증한다.

2.   중풍편탄(中風偏) : 당귀 180g, 단삼 60g, 계지 60g, 우슬 60g, 홍화 15g, 단향 30g, 총백 18g, 매일 한 차례 약물로 환측 지체를 먼저 훈증해 주고 나서 약물로 씻어 준다.

3.   수한증(手汗症) : 황기 30g, 갈근 20g, 백반 15g. 매일 3 차례 손바닥을 훈증한 후 씻어 준다.

4.   조설(早泄) : 오배자 30g 2 리터의 물 속에 집어 넣어 끓인 물로 15 분 동안 소복부(小腹部)와 음부(陰部)를 훈증해 주고 나서 씻어 준다.

5.   탈발(脫髮) :  생지황 30g, 생수오(生首烏) 30g, 흑지마경(黑芝麻梗) 50g, 유수지(柳樹枝) 50g 을 끓인 물로 매일 한 차례 머리를 씻어 준다.  15 일 동안 계속 실행한다  

6.   전음(前陰)과 후음(後陰) 소양증(瘙痒症) : 인진 10g, 고삼 10g 을 끓인 물로 잠자기 전에 매일 한 차례 먼저 훈증하고 나서 씻어 준다.

7.   유선염(乳腺炎) : 대파 50g 을 끓인 물로 매일 두 세 차례 매차 20 분 동안 유방을 훈증해 준다.

8.   대하(帶下) : 야국화 15g, 백부 15g, 고삼 15g, 고반 15g, 지부자 30g 을 함께 끓여서 매일 한 두 차례 먼저 훈증해 주고 나서 씻어 준다.

9.   여성외음습진 : 마치현(馬齒) 125g, 청대(靑黛) 30g. 먼저 훈증해 주고 나서 씻어 준다.

10.   여성 외음염(外陰炎) :

a. 사 상자 15g, 백부 15g, 고삼 15g, 황백 15g. 매일 아침 저녁으로 훈증해 주고 나서 씻어 준다. 잠자기 전에 매일 한 차례 15 일 동안 계속 실행한다.

b. 금은화 30g, 홍화 30g, 오배자 30g, 포공영 30g, 어성초 30g, 황백 15g, 황련 15g. 매일 두 차례 훈세(熏洗)해 준다.

11.   음도염(陰道炎) : 금은화 15g, 홍화 15g, 오배자 15g, 백부 15g, 황백 15g. 매일 두 세 차례 훈세(熏洗)해 준다.

12.   외음백반(外陰白斑) : 천남성 15g, 반하 15g, 황련 15g, 강황 15g, 금은화 30g, 오배자 30g, 홍화 30g. 아침 저녁으로 훈세(熏洗)해 준다.

13.   자궁경염 : 유기노(劉寄奴) 30g, 패장초(敗醬草) 15g, 산자고(山慈姑) 15g, 황백 15g, 고삼 15g, 금은화 15g, 포공영 15g, 백화사설초 50g 을 끓인 물로 아침 저녁으로 훈세(熏洗)해 준다.

14.   음도적충(陰道滴蟲) :

a. 백반 10g, 창출 10g, 황백 10g, 대풍자 10g, 사상자 10g, 지부자 10g, 오매 20g, 웅황 3g. 매일 한 두 차례 훈세(熏洗)해 준다.

b. 백부 15g, 고삼 15g, 사상자 15g, 지부자 15g, 백선피 15g, 감초 6g. 매일 아침 저녁으로 훈세(熏洗)해 준다.

15.   어린 아이들 감기 : 총백(蔥白) 10 , 생강 5 ()을 함께 끓인 물로 하루 두 세 차례 입과 코에 훈세(熏洗)해 준다.

16.   요충(蟯蟲) :

a. 식초 250cc 를 끓여 항문에 30 분 동안 훈증해 주면 요충들이 항문 밖으로 기어 나온다.

b. 애엽 30g, 천련자(川楝子) 60g. 매일 한 차례 항문에 훈세(熏洗)해 준다.

17.   소아들의 음낭(陰囊)과 음경(陰莖) 부종(浮腫) : 사상자 9g, 웅황 5g, 고반 5g. 매일 두 세 차례 훈세(熏洗)해 준다.

18.   사안(沙眼 : 트라코마) 급성 발작 : 상엽 9g, 국화 9g, 행인 9g, 연교(連翹) 9g, 길경(桔梗) 2g, 박하 2g, 감초 3g, 선로근(鮮蘆根) 30g. 매일 두 세 차례 훈세(熏洗)해 준다.

19.   맥립종(麥粒腫) : a. 상엽 15g, 국화 15g, 금은화 15g, 황련 9g, 방풍 9g, 당귀미 9g, 적작 9g. 매일 세 차례 훈세(熏洗)해 준다. b. 국화 15g, 금은화 15g. 매일 두 세 차례 훈세(熏洗)해 준다.

20.   설종(舌腫) : 선복화(旋覆花) 30g. 매일 20 분 동안 훈세(熏洗)해 준다.

21.   인후종통 : 현삼 20g, 대청엽 15g, 금은화 15g, 우방자 15g, 길경 6g, 박하 6g, 감초 6g 을 함께 끓여 김을 목구멍으로 들이 마신다. 매일 두 세 차례 실행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