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0월 30일 금요일

추계(秋季) 음식(饮食) 양생(养生)

추계(秋季) 음식(饮食) 양생(养生)



추​계(秋季)는 입추(立秋) 부터 입동(立冬) 까지 3 개월이며 추계의 특색은 "유열전한(由热转寒)양소음장(阳消阴长)" 이다. 다시 말하면 열이 한으로 바뀌고 양은 쇠하고 음이 성하는 계절이다.” 는 뜻이다. 


추계의 음식(饮食)윤조익기(润燥益气)을 위주로 섭취해야 한다즉 건비(健脾), 보간(补肝), 청폐(清肺)를 위주로 해야한다.
  추계(秋季)의  공기(空气)는 건조(乾燥)하고 기온(气温)은 점차 하강되어 가며 습도(湿度)는 점차 감소되어 가고  기온이 급변한다. 피부건열(皮肤乾裂)과 사화상침(邪火上侵)을 방지하고 대사(水代谢)의  평형(平衡)을 유지하기 위하여 추계에는 물을 많이 마셔야 한다 즉   과일과 채소를  다량 섭취하여  비타민과 광물질을 보충시켜 줌으로써   체내(体内)의 잉여 산성대사물질(酸性代谢物質)을 중화시켜 주고  청화해독(清火解毒)의 공효(功效)를  얻는다 두류(豆类) 제품 등 고단백(高蛋白) 식물성(植物性) 식물(食物)을 다량 섭취해 주고  유니(油腻)하고  후미(厚味))한 식물은 소량만 섭취해야 한다


추계엔 파(葱)와 생강(姜)과 마늘과  부추(韭)후추나 고추 등 신미(辛味 : 매운맛) 식물은 소량 섭취해야 한다. 왜냐하면 신미 식물은 추조증상(秋燥症状)을 가중시켜 주기 때문이다. 

   소신다산(少辛多酸)의 원칙(原则)을 준수해야 한다. 한의학 이론에 보면 "폐주신미(肺主辛味)간주산미(肝主酸味)신미능승산(辛味能胜酸)"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폐는 신미(매운맛)를 주관하고 간은 산미(신맛)를 주과하며 신미(매운맛)는 산미(신맛)를 이긴다.” 는 뜻이다. 그러므로 추계(秋季)  신미(辛味) 식물을 소량 섭취해야  폐기(肺气)가 평안해 진다.   산미(미) 식물을 섭취해 줄 경우 간기(肝气)를 돕는다.   이는 폐기(肺气)가 성하여 간(肝)을 이김(金克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가을철에 섭취해 주어야 할 식물은 지마(芝麻:참깨)、찹쌀(糯米)、꿀(蜂蜜)、발제(荸荠)、포도(葡萄)、무(萝卜)、배(梨)、감(柿)、연자(莲子)、백합(百合)、사탕수수바나나、은이(银耳 : 백목이)、유제품(乳製品) 등 유윤(柔润) 식물(食物)이다. 

 


또 추계(秋季)엔 위기(胃气)를 돕기 위하여 뜻한 식물을 다량 섭취하고  한량(寒凉) 식물은 소식少(食)해야 한다.  한량(寒凉) 식물과 생냉(生冷) 식물을 과량 섭취할 경우  복사(腹泻)와 이질(痢疾) 등이 발생한다


속언(俗言)에 추과괴두(秋瓜坏肚)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가을에 수박과 참외와 오이를 먹으면 위가 상한다.” 는 뜻이다그러므로 노인(老人)들과 아동들과 체약자(体弱者)들은 주의해야 한다. 


추계(秋季)는 가장 좋은 진보(进补)의 계절(季节)이다.  추계의 진보(进补)는 평보(平补)를 위주로 해야한다. 즉 음양(阴阳)의 평형(平衡)을 진보(进补)의 법칙(法则)으로 삼아야 한다추계(秋季)의 주기(主气)는 조(燥)이며 폐(肺)는 조(燥)로 인하여 쉽게 상한다.  그러므로 진보시(进补时)  윤보(润补)와 양음(养阴)과 생진(生津)과 윤폐(润肺)에 산경을 써야한다왜냐하면 윤보(润补)는 양음(养阴)과  윤폐(润肺)의 목적을 달성시켜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보폐윤조(补肺润燥) 식물은 지마(芝麻 : 참깨)와 꿀(蜂蜜)과 과일 등이 있는데 유연柔(软하)고 수분의 함량이 비교적 많은  감윤(甘润) 물(食物)들이다.   또 새벽에 담염수(淡盐水)를 마시고 저녁에 꿀물(蜂蜜水)을 마심으로써 수분(水分)을 보충시켜 주는 것은  변비(便秘)를 예방해 .줌과 동시에 항노쇠의 한 가지 방법이다. 추계(秋季)의 진보(进补)는 감윤온양(甘润温养)을 위주로 하되 과열(过热) 식물과 한냉 식물은 양(阳)을 상하게 하고 음을 소모한다.  


추계(秋季)의 음식보건(饮食保健) 중 주의할 점은 첫째 "정시(定时)"에 음식물을 섭취함므로써   위장(胃肠)의 생리기능(生理机能)을 정상으로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또 위장(胃肠)의 초과(超過) 부담(负擔)을 줄여주고 위공능(胃功能)의 손상을 방지해 주고  소화불량(消化不良)과 위병(胃病)을 방지해 주기 위하여 "정량(定量)"의 음식을 섭취해 주어야 한다. 특히 노인들과 소아들의 소화력(消化力)은 비교적 약하므로 정시정량(定时定量)의 음식섭취는 매우 중요하다

  


그외 추계(秋天)의 음식섭취에 있어서 한 끼에 너무 많은 종류의 음식을 섭취할 경우 인체(人体)의 양기(阳气)가 쇠약(衰弱)해 지고 위기(胃气) 역시 약(弱)해 지므로 주의를 요한다매끼 너무나 많은 종류의 음식물을 섭취할 경우 소화(消化) 불리해 지므로 인하여 위병(胃病)이 용이하게 발생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