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2월 1일 금요일

한의사들은 한약을 처방해서 환자들에게 주며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이러 저러한 음식물을 함께 먹지 마십시요라고 말한다. 즉 음식 가리기인데 전문용어로 기구(忌口)라고 한다.
  속설(俗话)吃药不忌口,坏了大夫手." 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한약을 복용하며 가려야 할 음식을 가리지 않을 경우 한의사의 명성을 떨어뜨린다.” 는 뜻이다. 기구(忌口)질병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한 분야이다. 역대(历来) 의가(医家)들은 기구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기구에 관하여 내경《内经》과 상한론《伤寒论》과 금궤요약《金匮要略》 등 의적(医籍) 안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한약을 복용할 때 기구해야 되는 이유 :

첫째 복약(服药) 할 때 어떤 음식물을 함께 먹으면 치료효과(治疗效果)가 떨어지고 병정(病情)이 가중된다. 예를 들면 인체내에 열(熱)이 있을 때 청열시켜 주는 한약을 복용할 경우 파(葱)와 마늘(蒜)과 호초(胡椒)와 양고기(羊肉)와 개고기(狗肉) 등 열성(热性) 음식물(飮食物)을 피해야 한다. 한증(寒证)을 치료할 때 복용(服用)하는 한약과 생냉(生冷) 음식물(飮食物)을 함께 먹지 못한다. 만일 금기식물(禁忌的食物)을 함께 먹으면 약효(藥效)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상반(相反) 작용(作用)이 발생한다.
둘째 복약(服中)하는 동안 농차(浓茶)를 마시면 않된다. 찻잎(茶叶) 속에 유산(鞣酸)이 포함되어 있으며 농차(浓茶) 속에는 더 많은 유산(鞣酸 : 타닌산(Tannin))이 들어있기 때문에 한약과 합쳐질 경우 한약 속의 유효성분(有效成分)을 흡수하는데 지장을 초래하여 치료효과를 떨어 뜨린다. 그외 커피와 코카콜라 등 카페인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음료도 피해야한다.

-

셋째 상풍감기(伤风感氣)에 걸린 사람도 생냉(生冷) 음식과 산삽(酸涩)하거나 유니(油腻)한 음식물(飮食物)을 먹지 못한다. 기체(气滞)로 인하여 흉민(胸闷)과 복창(腹胀) 증상이 있을 때 두류(豆类) 제품과 감자(白薯)를 먹으면 창기(胀气)를 더욱 북돋아 준다. 수종(水肿) 증상이 있는 환자들은 소금(食盐)의 섭취를 줄여야 한다. 간염(肝炎) 환자들은 신랄(辛辣: 매웁고)한 음식과 유니(油腻 : 기름진)한
음식을 피해야 한다.
  


넷째 효천(哮喘 : 천식)과 과민성(过敏性) 피염(皮炎) 환자들은 닭고기(鸡)와 양고기(羊)와 돼지고기(猪肉)와 생선(鱼)과 새우(虾)와 게(蟹) 등을 피해야 한다. 효천(哮喘) 발작(发作) 기간(期间)에는 달걀(蛋)과 우유(牛乳)와 새우(鱼虾) 등고단백(高蛋白) 음식물(飮食物)은 병정(病情)을 가중시키는 발물(发物)이다. 일반적으로 질병(疾病)을 치료하기 위해서 한약을 복용할 때는 대개 생냉(生冷)한 식물과 유니(油腻 : 기름기가 많은)한 음식물과 성취(腥臭: 비린내 나는)한 음식물 등은 소화(消化)를 방해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자극성(刺激性)이 특별히 강한 음식물도 피해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