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3월 20일 일요일

유서(柳絮)

유서(柳絮)



유서(柳絮)는 신농보초경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다. 양류과 식물 수류(垂柳 : 수양버들)의 털이 달린 종자이다.



신농본초경에는 유실(柳實), 명의별록에는 유자(柳子)라고 각각 기록되어 있다.



유서(柳絮)의 성미(性味)는 고(苦), 양(凉)이고 심(心)과 간(肝)과 신(腎)으로 들어간다.



첫째 청열해독 작용이 있으므로 고름이 아직 터지지 않은 옹저창절을 치료해 준다.

둘째 거풍제습 작용이 있으므로 습비(濕痺)로 인한 사지구련(四肢拘攣)과 슬통(膝痛)을 치료해 준다.

셋째 금창(金瘡)으로 인한 출혈부지(出血不止)와 토혈(吐血) 등을 치료해 준다.



내복 : 가루내어 복용하거나 즙(汁)을 짜서 복용한다.

외용 : 가루를 환처에 발라 준다.



신농본초경에 보면 ”주궤옹(主潰癰), 축농혈(逐膿血)”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썩어 문드러진 악성 종기를 치료해 주고 고름을 제거시켜 준다.” 는 뜻이다.



명의별록에 보면 ”주가개(主痂疥), 악창(惡瘡), 금창(金瘡). 자(子) : 즙료갈(汁療渴).”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옴과 악창과 금창을 치료해 주며 즙은 갈증을 풀어 준다.” 는 뜻이다.



경효양방(經效良方)에 보면 ”치토혈(治吐血) : 유서(柳絮), 불구다소(不拘多少). 배건(焙乾), 연위세말(碾爲細末), 온미음하(溫米飮下).”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토혈의 치료 : 유서를 약한 불에 쬐어 말려 맷돌로 갈아서 가루를 만든다. 따뜻한 미음(米飮)으로 복용한다.” 는 뜻이다.



천금방(千金方)에 보면 ”치금창출혈부지(治金瘡出血不止) : 유서봉지(柳絮封之).”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금창으로 인하여 출혈이 그치지 않을 경우 유서로 환처를 봉해 준다.” 는 뜻이다.



외과촬요(外科撮要)에 보면 ”치일체악독(治一切惡毒), 농혈창통불궤화(膿血脹痛不潰化), 유서부상(柳絮敷上), 농설독감(膿泄毒減).”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고름이 속에 들어 있고 부풀어 올라 통증이 심한 일체의 독창 치료 : 유서(柳絮)를 환부에 부쳐두면 고름이 흘러 나오고 독기가 감소된다.” 는 뜻이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