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3월 31일 목요일

주양춘(朱良春)

주양춘(朱良春)



주양춘(朱良春 : 서기 1917 년 - 현재)은 강소성(江蘇省) 진강(鎭江) 단도현(丹徒縣))에서 태어났으며 후에 남통(南通)으로 옮겨 살았다.



주양춘(朱良春)은 남송(南宋)의 저명한 사상가(思想家) 주희(朱熹 : 서기 1130 년 – 서기 1200 년)의 28 세손(世孫)이다.



주양춘(朱良春)은 다년간 풍습골통(風濕骨痛)의 치료에 힘써 익신견비환(益腎蠲痺丸)을 창제(創製)한 현대 명의(名醫)로 소문이 나있다. 사람들은 주양춘(朱良春)을 “오독의사(五毒醫師)” 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수질(水蛭)과 전갈(全蝎)과 오공(蜈蚣)과 지별(地鱉)과 선의(蟬衣) 등을 비롯한 모든 충류약(蟲類藥)을 배합하여 흉비심통(胸痺心痛)과 관심병(冠心病)과 심교통(心絞痛) 등을 치료하기 때문이다.



다음은 주양춘(朱良春)이 70여 년 동안 매일 복용하고 있는 양생죽(養生粥) 처방인데 ”국의대사(國醫大師) 장수죽(長壽粥)” 이라고도 칭한다.



재료 : 녹두 50g, 의인(薏仁) 50g, 편두(扁豆) 50g, 연자(蓮子) 50g, 대추 30g, 구기자 10g, 황기(黃芪) 250g



1. 황기(黃芪) 250g 과 물을 섞어 20 분 동안 불린다. 그 다음 물 두 대접을 넣고 15 분 동안 끓인다. 건더기는 거져내고 다시 물 한 대접을 붓고 끓인다.

2. 이 물속에 녹두와 의인과 편두와 연자와 대추를 함께 넣고 센 불로 끓이다가 얕은 불로 40 분 동안 끓인다.

3. 마지막으로 구기자를 넣고 10 분 동안 끓인다.

4. 이상과 같이 만든 죽이 주양춘(朱良春)의 양생죽인데 5 일용(日用) 이다.



고미(苦味)의 연자는 청심양심(淸心養心) 해주고 녹두는 심경(心經)으로 들어가 심장의 기능을 돕고 청열제독 해주며 대추와 의인과 편두는 건비(健脾) 작용을 해주고 항병(抗病), 항암(抗癌)작용도 있다.



연자와 의인과 구기자는 신경(腎經)으로 들어가 신장의 기능을 돕고 의인은 보폐(補肺) 청열화담(淸熱化痰) 작용이 있고 황기(黃芪)는 대보원기(大補元氣) 해줌으로 인체의 면역기능을 증진시켜 준다.



이시진은 국약(國藥) 황기(黃芪)를 ”보제지장(補劑之長)” 이라고 말했다.



또 황궁수(黃宮繡)의 저서 본초구진(本草求眞)에 보면 ”황기(黃芪) : 보기제약지최(補氣諸藥之最)” 라고 기록되어 있다.



호적(胡適)이 중년 이후 피로할 때 황기(黃芪)를 물속에 담그어 두고 차(茶) 대신 마셨다. 강의를 시작하기 전 반드시 황기(黃芪) 물을 한 컵 마시고 나서 강의를 시작했다. 호적은 황기물을 마시고 나서 강의를 하면 정신이 맑아지고 기운이 생겨 음성이 커진다고 말했다.



호적(胡適 : 서기 1891 년 – 서기 1962 년)은 1939 년 노벨 문학상 후보자 명단에 올랐었다. 1938 년 중화민국 주미 대사를 역임했고 1944 년 하버드 대학에서 강의도 했으며 1946 년 북경 대학 총장을 역임했다.



현대 의학 실험 연구에 따르면 황기(黃芪)는 강장(强壯) 작용이 있고 동맥압을 내려주고 심장 근육의 수축력을 강하게 해준다고 나타났다.



녹두와 의인과 편두와 대추와 구기자는 5 장(臟)을 보해주고 황기의 보기(補氣) 작용을 더욱 증진시켜 준다. 그래서 정신력과 체력이 강해진다.



또 황기(黃芪) 속에 들어있는 셀레늄은 체력을 증강시켜 줄 뿐만 아니라 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줌으로 항암작용과 방암작용을 해준다.



주양춘(朱良春)은 충류약으로 의난잡증(疑難雜症) 예를 들면 유풍습(類風濕)과 강직성(强直性) 척주염(脊柱炎)과 각종 암증(癌症)을 치료하는 권위자로써 전 중국 30 명의 국의대사(國醫大師) 중 한 사람으로 선정되었다.



주양춘(朱良春)은 익신견비환(益腎蠲痺丸)을 창제(創製)하여 유풍습 관절염 치료에 공헌한 바가 크고 복간환(復肝丸)과 통풍충제(痛風沖劑) 등 중약(中藥) 신약(新藥)을 발명하여 공헌한 바가 크므로 국가중의약관리국(國家中醫藥管理局)에서 거행한 과학기술성과 발표회에서 동메달을 수상하였다.



주양춘(朱良春)은 충류약적응용(蟲類藥的應用)과 주양춘용약경험집(朱良春用藥經驗集)과 장차공의안(章次公醫案)과 의학미언(醫學微言)과 현대중의임상신선(現代中醫臨床新選) 등을 비롯하여 10 여 권(卷)의 저술과 17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한 명의이다.



주양춘(朱良春)의 양생철학(養生哲學)은 ”동가연년(動可延年), 락즉장수(樂則長壽)” 이다.



다시 말하면 ”적당한 운동은 연년익수 해주고 즐거운 마음을 갖고 살면 장수한다.” 는 뜻이다.



속설(俗說)에 ”요활취요동(要活就要動)” 이란 말이 있는데 똑 같은 의미이다.



익신견비환(益腎蠲痺丸)의 처방은 다음과 같다.



숙지, 당귀, 선령비, 녹함초(鹿銜草) 각각 120g, 자전갈(炙全蝎), 자오공(炙蜈蚣) 각각 25g, 자오초사(炙烏梢蛇), 자봉방(炙蜂房), 자지별충(炙地鱉蟲), 자강잠(炙僵蠶), 자강랑(炙蜣螂 : 말똥구리, 쇠똥구리) 각각 90g, 생지, 계혈등(鷄血藤), 노관초(老觀草), 심골풍(尋骨風), 호장(虎杖) 각각 120g 을 모두 삶아서 농즙(濃汁)을 만들어 녹두알 만한 사이즈로 환(丸)을 지어 하루에 두 차례 매차 6g 씩 식후에 복용한다.



단 부녀자들의 월경기간(月經期間)과 임신기간에는 기복(忌服)한다.



비증(痺證)의 본(本)은 신(腎)이고 풍한습열의 모든 사(邪)는 표(標)이다. 그런데 익신견비환은 익신장독(益腎壯督)해 줌으로 본(本)을 치료해 주고 견비통락((蠲痺通絡)해 줌으로 표(標)를 치료해 준다. 익신견비환(益腎蠲痺丸)은 척주만곡(脊柱彎曲)과 두향전경(頭向前傾 : 머리를 앞으로 숙으리고 다니는 증상)과 직립불능(直立不能)과 타배(駝背 : 곱사등이)와 양퇴동통(兩腿疼痛)과 보행불리(步行不利)와 수지관절(手指關節)이 변형된 유풍습성(類風濕性) 관절염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2011년 3월 30일 수요일

포보주(蒲輔周)

포보주(蒲輔周)



포보주(蒲輔周 : 서기 1888 년 – 서기 1975 년)의 원명(原名)은 계우(啓宇)이고 사천성(四川省) 재동현(梓潼縣) 장계향(長溪鄕) 태생이다.



조부(祖父) 포국정(蒲國楨)과 부친(父親) 포중사(蒲仲思)는 모두 의학에 정통한 한의사였다. 포보주(蒲輔周) 밑으로 여섯 명의 동생들이 있었으므로 아버지가 행의(行醫)하여 벌어 온 돈으로 아홉 식구가 먹고 살았기 때문에 매우 청빈한 생활을 하였다.



포보주(蒲輔周)는 7 살 때 서당(書堂)에 나가 글 공부를 시작했으며 11 살 때 부터 조부로 부터 의학수업을 하기 시작했고 15 살 때 부터 할아버지 밑에서 임상실습을 하였다. 포보주(蒲輔周)는 3 년 동안 밤에는 내경(內經)과 난경(難經)과 상한론과 금궤요약과 외대비요와 천금방 등을 열심히 탐독하였다.



포보주(蒲輔周)는 18 살 되던 해 부터 행의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때 ”보조빈약(輔助貧弱), 주제병인(周濟病人)” 이란 말의 뜻에서 “보(輔)” 자(字)와 “주(周)” 자(字)를 따서 이름을 보주(輔周)라고 바꿨다. 보조빈약이란? 가난하고 약한 사람들을 도와 준다는 뜻이고 주제병인이란? 환자들을 두루 구제하여 준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1917 년 성도(成都)에 개업하여 환자들을 돌봐 주었다. 1955 년 부터 북경으로 올라와 광안문(廣安門) 병원 내과주임과 중의 연구원 부원장을 역임하다가 1975 년 향년 88 세로 세상을 마쳤다.



포보주의안(蒲輔周醫案)과 포보주의료경험과 유행성을형뇌염과 중의대기종전염병적변증논치(中醫對幾種傳染病的辯證論治) 등 저서를 남겼다.



포보주(蒲輔周)는 일찍이 ”십팔반(十八反)” 에 대하여 의심을 품었었다. 반근(半斤)의 꿀과 4 냥(兩)의 총백(蔥白)을 함께 섞어 반 나절 동안 간직했다가 매 시간 마다 3 분의 1 씩 집에 기르고 있던 개에게 먹였다. 개에게 아무런 이상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래서 포보주는 자신이 스스로 복용해 보았다. 역시 아무런 이상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래서 포보주(蒲輔周)는 꿀과 총백은 ”반(反)” 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포보주(蒲輔周)는 또 해조(海藻)와 감초(甘草)를 함께 복용해 보았다. 누차 자신에게 실험해 본 결과 아무런 이상 반응을 경험하지 못했으며 오히려 연견소결(軟堅消結) 작용이 강력함을 발견하였다.



감수(甘遂)와 감초도 배합하여 스스로 실험해 봤더니 부작용이 강한 대신 거담축탁(祛痰逐濁)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포보주(蒲輔周)는 질병 치료에 있어서 ”주의시령기후(主意時令氣候)” 를 강조했다.



다시 말하면 ”여러가지 다른 기후의 변화가 발병의 원인이다. 고로 계절의 변화와 기후의 변화가 질병의 발생과 질병의 발전과 질병의 전귀(轉歸)에 영향을 미침으로 기후의 변화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된다.” 는 뜻이다.



포보주(蒲輔周)는 1955 년 석가장시(石家庄市)에 유행성을형뇌염(流行性乙型腦炎)이 유행했을 때 청열해독법과 양음법(養陰法)을 사용하여 90% 이상의 치료 유효율을 달성시켰다.



그 이듬해 8 월 북경에 유행성을형뇌염이 발생했는데 이때 역시 석가장시에서 사용했던 청열해독법과 양음법으로 치료했으나 효과가 없었다.



그 당시 북경엔 비가 많이 내려 습열(濕熱)이 교차되어 서습(暑濕)이 편성(偏盛)하였다. 그래서 포보주(蒲輔周)는 행인활석탕(杏仁滑石湯)과 삼인탕(三仁湯)등으로 통양이습(通陽利濕) 해주어 치료 효과를 올렸다.



포보주(蒲輔周)는 또 관심병 치료에 있어서도 동용고(冬用膏), 하용산(夏用散)을 택하여 치료 유효율을 높혔다. 다시 말하면 ”겨울철에는 고(膏)를 사용하고 여름철에는 산(散)을 사용한다.” 는 뜻이다.



포보주(蒲輔周)의 의덕(醫德)은 고상했으며 의술에 정통하여 수 많은 환자들을 병통(病痛)으로 부터 구제해 주었다.



그리하여 주은래(周恩來)는 포보주(蒲輔周)에 대하여 ”고명적의생(高明的醫生), 우동변증법(又懂辯證法)” 이라고 칭찬했다. 다시 말하면 ”포보주(蒲輔周)는 변증법을 정확하게 이해한 훌륭한 의사이다.” 는 뜻이다.



포보주(蒲輔周)는 질병 치료에 있어서 ”필선세기(必先歲氣), 무범천화(毋犯天和).” 의 원칙을 따랐다.



다시 말하면 ”질병 치료에 있어서 오운육기(五運六氣) 학설에 입각한 당년의 기후 환경 인소(因素)를 먼저 고려하고 날씨와 조화를 이루는 치료를 하여라.” 는 뜻이다.

2011년 3월 29일 화요일

지통(止痛)의 신약(神藥) 전갈(全蝎 : SCORPIO)

지통(止痛)의 신약(神藥) – 전갈(全蝎 : Scorpio)



전갈의 성미(性味)는 신(辛), 평(平)이고 유독(有毒)하며 간경(肝經)으로 들어 간다.



본초서(本草書)에 보면 전갈은 식풍진경(熄風鎭痙) 작용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전갈은 반신불수(半身不遂)와 구안와사(口眼喎斜)와 소아경간(小兒驚癎)과 추축(抽搐)과 파상풍(破傷風)과 피부병과 심혈관병과 염증과 B 형 간염과 종류(腫瘤)와 모든 창종독(瘡腫毒)을 치료해 준다.



그러나 전갈이 지통 효과가 있다는 것에 관한 기록은 그리 많지 않다. 실제로 전갈은 지통의 신약(神藥)이다. 그래서 각종 완고성(頑固性) 동통(疼痛)의 지통제로 사용된다.



근대 피부과 명의 주인강(朱仁康 : 서기 1908 년 – 서기 2000 년)은 대상포진(帶狀疱疹)의 치료에 전갈을 사용했다. 노인 일수록 대상포진의 통증은 더욱 심하다. 주인강은 대상포진에 걸린 7 순(旬) 노인에게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을 복용시켜 습진은 가라앉혔는데 통증은 송곳으로 찌르는 것 처럼 여전하였다. 그리하여 주인강은 전갈 30g 을 가루내어 한 봉지(封紙)에 3g 씩 10 봉지를 만들어 아침 저녁으로 한 봉지 씩 복용시켰다. 통증은 점점 경감되었으며 다시 60g 의 전갈을 가루내어 한 봉지에 3g 씩 20 봉지를 만들어 복용시켰다. 7 순 노인의 대상포진은 완전히 치유되었다.



주인강은 ”전요화독내습열독사위환(纏腰火毒乃濕熱毒邪爲患), 열편성자투용담사간탕(熱偏盛者投龍膽瀉肝湯), 습편성자용제습위령탕(濕偏盛者用除濕胃苓湯), 대다획효(大多獲效). 연이(然而), 왕왕유어습열미진(往往由於濕熱未盡), 여독미해(餘毒未解), 체류경락(滯留經絡), 유통부지(遺痛不止). 금취전갈이척해독사(今取全蝎以剔解毒邪), 독해락통(毒解絡通), 고능지통의(故能止痛矣).” 라고 설명했다.



다시 말하면 ”대상포진은 습열독사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열이 성한 사람에겐 용담사간탕을 사용하고 습이 성한 사람에겐 제습위령탕을 사용하면 대부분의 경우 치료된다. 때때로 습열이 완전히 가시지 않고 독이 경락에 머물러 있을 경우 통증이 계속되는데 이때 전갈로 독사를 제거시키고 경락을 통해주면 쉽게 지통이 된다.” 는 뜻이다.



주인강은 임상 경험을 통하여 전갈분(全蝎粉)으로 대상포진의 후유(後遺) 통증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스스로 발견하였다. 주인강은 살아 생전에 50여 가지의 경험방을 스스로 창제(創製)한 명의이다.



또 2009 년 까지 170여 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한 “국의대사(國醫大師)”란 칭호를 갖고 있는 근대 충류약(蟲類藥) 전문 의사로 명성을 떨친 주양춘(朱良春 : 서기 1917 년 - )은 전갈을 편두통의 치료에 사용했다.



주양춘의 임상 경험에 의하면 일반약으로 편두통을 치료하여 효과가 없을 경우 자기 스스로 발명한 “구갈산(鉤蝎散)” 을 사용하면 탁월한 효과를 볼수 있다고 한다.



구갈산 처방은 다음과 같다.



재료 : 전갈 9g, 구등(鉤藤) 9g, 자하거(紫河車) 9g 을 모두 가루내어 한 봉지에 2.7g 씩 모두 10 봉지를 만든다. 아침 저녁으로 하루에 두 차례 매차 한 봉지 씩 복용한다. 하루 이틀 만 복용해도 치유된다. 편두통이 가라앉은 후에라도 하루에 한 봉 또는 이틀에 한 봉씩 복용하면 완치된다.



또는 전갈 가루를 태양혈(太陽穴) 위에 조금 놓고 반창고로 발라 둔다. 이틀에 한 번씩 교환해 준다. 이 방법은 뇌종류(腦腫瘤)로 인한 두통도 경감시켜 준다.



근대 북경 명의 포보주(蒲輔周 : 서기 1888 년 – 서기 1975 년)의 편두통 치료방은 다음과 같다.



전갈 21 마리, 지룡(地龍 : 지렁이) 6 마리, 토구(土狗 : 땅강아지) 3 마리, 오배자(五倍子) 5 전(錢)을 모두 가루내어 술과 함께 섞어 태양혈(太陽穴)에 조금씩 놓고 반창고를 부쳐 둔다.



고방(古方)과 민간방(民間方)에 보면 비통(痺痛)의 치료에도 전갈을 사용하였다.



비통(痺痛) 치료의 전갈 연분(硏粉) 복용법은 다음과 같다. 매일 새벽에 일어나자 마자 전갈분 1.2g 을 복용한다.



고대 명의와 현대 명의들의 임상 경험에 의하면 갈미(蝎尾 : 전갈의 꼬리)의 효과가 전갈의 효과 보다 더 양호하다고 한다. 또 가루가 전제(煎劑) 보다 효력이 강하다고 한다. 갈미(蝎尾)는 하루에 1 개 내지 3 개 전갈은 하루에 1g 내지 2g 을 아침 저녁으로 나누어 하루에 두 차례 복용한다. 장기 복용할 경우에도 독성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한다.



산동성(山東省) 기몽산(沂蒙山)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갈을 기몽전갈(沂蒙全蝎)이라고 부른다. 기원현(沂源縣 : 泰山의 동쪽 100km 지점)은 겸갈(钳蝎)의 생산량이 높기로 이름이 나 있으며 중국 과학원(科學院)에서 검증한 결과 독성(毒性)이 가장 높다고 한다.

2011년 3월 28일 월요일

육종용(肉苁蓉)의 연년익수(延年益壽) 효과

육종용(肉苁蓉)의 연년익수(延年益壽) 효과



한의학에서는 신장(腎臟)의 작용을 매우 중요시한다.



”신장정(腎藏精), 주이음(主二陰), 사이변(司二便), 주수(主水), 주골(主骨), 주납기(主納氣), 기화재발(其華在髮), 개규어이(開竅於耳), 동인속신(瞳仁屬腎), 요위신지외부(腰爲腎之外府).”



다시 말하면 ”신장(腎臟)은 오장육부의 정을 장하고 생식 방면의 정도 장한다. 신장(腎臟)은 전음과 후음을 주관하고 대변과 소변을 관장한다. 신장(腎臟)은 전신의 수액(水液)을 관할한다. 신장(腎臟)은 이빨과 뼈와 골수(骨髓)의 생장 발육을 관할한다. 신양(腎陽)은 폐(肺)에서 흡입한 기를 하달하는 작용을 한다. 신양기가 충족해야 폐에서 흡입한 기가 신장(腎臟)에 하달된다. 신기(腎氣)가 부족할 경우 호흡이 짧아지고 기침 증상이 나타난다. 이를 신납기라고 칭한다. 머리카락의 생장의 근원은 신기에 근원을 두고 있다. 머리카락의 영양분은 피에 의하여 공급되고 정이 족하면 혈도 왕성하다.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은 신기의 성쇠와 관계가 깊다. 신장(腎臟)의 꽃은 머리카락이고 귀에 개공(開孔)한다. 동공은 신(腎)에 속하고 허리는 신(腎)을 간직하고 있는 집이다.” 는 뜻이다.



또 황제내경 – 소문 – 오장생성편(五臟生成篇)에 보면 ”신지합골야(腎之合骨也), 기영발야(其榮髮也), 기주비야(其主脾也).”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신장(腎臟)은 뼈를 관할하고 신장(腎臟)의 꽃은 머리카락이며 신장(腎臟)은 비(脾)의 제약(制約)을 받는다.” 는 뜻이다.



그러므로 나이가 들면 귀가 어두어 지고 눈이 흐려지며 이빨이 빠지고 머리카락과 수염이 희어지고 허리가 아프며 등이 휘어진다. 그리고 대변과 소변이 순조롭지 못한데 이는 모두 신허(腎虛)의 증상이다.



사람의 노쇠(老衰) 과정은 본질적으로 신기(腎氣)가 점점 쇠약해져 가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적시에 보신(補腎)해 줌으로써 노쇠를 지연시켜 연년익수 할수 있다.



육종용은 노쇠를 지연시켜 주고 연년익수 해주는 묘약(妙藥)이다.



본초학에 보면 육종용(肉苁蓉)은 보신장양(補腎壯陽) 해주고 전정익수(塡精益髓) 해주며 양혈윤조(養血潤燥) 해주고 열색연년(悅色延年) 해주며 구복경신(久服輕身) 해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육종용(肉苁蓉)은 보신(補腎) 해주고 노쇠를 방지해 주는 양약임에 틀림없다.



현대 약리 실험 결과 육종용(肉苁蓉)은 글리코시드(Glycoside) 화합물과 생물감(生物碱 : 알칼로이드(Alkaloid))와 결정성(結晶性) 중성물질과 기타 영양분을 포함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수전제(水煎劑)나 술속에 담그어 우러난 주정(酒精) 침출액(浸出液)은 비장(脾臟)과 흉선(胸腺)의 중량을 증가시켜 주고 면역기능을 증강시켜 준다고 한다. 양허(陽虛)로 인하여 추위를 잘 타는 사람들에게 강장(强壯) 작용과 치료작용이 있다고 증명되었다.



또 육종용 속에 포함되어 있는 번병기당대류(苯丙基糖甙類) 화합물은 남성들의 성기능을 증강시켜 주고 기억력을 증진시켜 주며 리비도(Libido)를 높여 준다고 나타났다.



또 육종용(肉苁蓉)은 여성들의 시상하부(Hypothalamus) – 뇌하수체(PituitaryGland) – 난소(Ovary) 축(軸 : Axis)의 작용을 증강시켜 황체(黃體 : Corpus Luteum)의 기능을 촉진시켜 준다. 또 뇌하수체 전엽에서 황체화호르몬(Luteinizing Hormone)의 분비를 촉진시켜 줌과 동시에 난소(卵巢)에서 Progesterone 의 생성을 촉진시켜 여성들의 성기능을 촉진시켜 준다고 나타났다. Progesterone 은 뇌하수체 전엽 내에 있는 Gonadotrophin(성선자극 호르몬)에 의하여 난소에서 생성된다.



최근 일본의 과학자들은 육종용(肉苁蓉) 속에 들어 있는 글리코시드 화합물은 성기능 장애와 건망증을 치료해 줌과 동시에 기타 질병의 예방작용도 있다고 발표했다.



본초회언(本草匯言)에 보면 ”육종용(肉苁蓉), 양명문(養命門), 자신기(滋腎氣), 보정혈(補精血), 온이불열(溫而不熱), 난이부조(暖而不燥), 보이불준(補而不峻), 활이불설(滑而不泄).”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래서 육종용(肉苁蓉)은 신체가 허약한 중노년인들에게 노쇠를 지연시켜 연년익수해 주는 묘약이다.



일화자본초(日華子本草)에 보면 ”육종용(육종용), 주남자절양불흥(主男子絶陽不興), 여자절음불산(女子絶陰不産).”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육종용은 남성들의 양위(陽痿)와 여성들의 불임(不妊)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음허화왕자(陰虛火旺者)와 대변설사자는 신용(愼用)해야 하며 장위실열(腸胃實熱)로 인한 대변 비결자(秘結者)도 신용(愼用)해야 한다.



내복(內服) : 6g 내지 9g 을 전탕(煎湯) 복용한다. 육종용은 동기(銅器)와 철기(鐵器)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 보면 ”육종용배양육(肉苁蓉配羊肉), 강음(强陰), 익정수(益精髓).”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양고기와 육종용(肉苁蓉)을 배합하여 복용하면 정수(精髓)를 더해 주고 정력을 증강시켜 준다.” 는 뜻이다.



육종용(肉苁蓉)의 수침제(水浸劑)와 주정(酒精) 침출액(浸出液)을 개와 고양이와 토끼 등에 실험한 결과 강혈압(降血壓) 작용과 마취 작용과 타액분비 작용과 호흡 마비 작용이 있다고 나타났다.

2011년 3월 26일 토요일

강유(姜維)와 당귀(當歸)

강유(姜維)와 당귀(當歸)



동한(東漢) 왕조가 멸망한 후 위(魏), 촉(蜀), 오(吳) 삼국(三國)이 정립되었는데 삼국 중 촉(蜀)이 가장약한 나라였다.



서기 234 년(建興 12 년) 제갈량(諸葛亮)의 군대가 오대원(五大原 : 현재 陝西省 郿縣)에 주둔하고 있을 때 제갈량은 병사(病死)하고 말았다. 제갈량 사후(死後) 촉군(蜀軍)은 강유(姜維 : 서기 202 년 – 서기 264 년)의 통수(統帥)하에 있었고 11 차례 위(魏)를 공격했으나 공적을이루지 못했다.



서기 263 년(景耀 6 년) 사마소(司馬昭 : 서기 211 년 - 서기 265 년 : 司馬炎의 아버지)는 종회(鍾會)와 등애(鄧艾)를 파견하여 촉(蜀)을 침공하였다.



종회(鍾會)는 10 만 군대를 거느리고 등애(鄧艾)는 3 만 군사를 거느리고 음평도(陰平道 : 현재 甘肅省 文縣)을 출발하여 면죽(綿竹 : 현재 四川省 德陽)에서 제갈량의 아들 제갈첨(諸葛瞻)을 살해하고 성도(成都)를 공격 촉(蜀)의 후주(後主) 유선(劉禪 : 서기 223 년 – 서기 263 년)을 투항시켰다. 이로써 촉(蜀)은 위(魏)에 의하여 멸망하고 말았다.



이때 촉(蜀)의 강유(姜維)는 투항하기 싫고 전쟁을 하여 이길 능력도 없었다. 어찌할 도리가 없는 강유(姜維)는 종회(鍾會)에게 붙잡혔고 거짓으로 투항하였다. 그리고 강유는 종회(鍾會)와 등애(鄧艾)와 사마소(司馬昭) 간의 모순을 지켜보며 촉국(蜀國) 재건을 노리고 있었다. 그 이듬 해 서기 264 년 종회(鍾會)는 위를 모반할 계획을 세웠다. 강유(姜維)는 거짓으로 종회(鍾會)와 결합하고 기회를 틈타 촉국(蜀國)을 재건하려 했으나 계획이 수포로 돌아가 강유는 살해 당하였다. 이때 강유(姜維)의 나이 62 세 였다.



강유가 검각(劍閣 : 현재 四川省 劍閣 : 성도 북쪽 190km)을 수호하고 있을 때 강유(姜維)의 어머니는 남몰래 편지를 써서 강유(姜維)의 불충(不忠)과 불효(不孝)와 불의(不義)를 꾸짖었다.



강유(姜維)는 모친의 편지를 읽어보고 나서 마음이 불안하고 안절부절못했다. 이리 저리 궁리한 끝에 강유(姜維)는 절묘한 방법을 찾아냈다.



한약의 이름 속에 자신의 포부를 담았다. 강유(姜維)는 두 가지 한약을 선택했다. 한 꾸러미의 원지(遠志)와 또 한 꾸러미의 당귀(當歸)를 어머니에게 보냈다.



강유(姜維)의 어머니는 아들이 보낸 두 개의 한약 꾸러미를 보자 마자 아들의 뜻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었다. 촉국(蜀國)을 재건해 보겠다는 결심이 아들의 가슴속에 있다는 것을 알았다. 즉 강유(姜維)의 어머니는 자기 아들 강유(姜維)가 걱정하고 있는 것은 나라를 다시 되찾아야겠다는 구국(救國)의 일념(一念) 뿐이다는 것을 알아 차렸다.



이상은 한약을 편지 대신 모친에게 부쳐 자신의 뜻을 표현한 유명한 강유(姜維)의 고사(故事)이다.



또 최표(崔豹)의 저서 고금주(古今注)에 보면 ”고인상리이작약(古人相離以芍藥), 상초이문무(相招以文無). 문무일명당귀(文無一名當歸), 작약일명장리고야(芍藥一名將離故也). 유차가견(由此可見), 재고대(在古代), 이별시(離別時), 증지이작약(贈之以芍藥); 상초시(相招時), 기지이당귀(寄之以當歸); 거반시(拒返時), 회지이원지(回之以遠志), 사호이성습관용사(似乎已成習慣用辭).”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고인들은 이별 할 때 작약을 선물로 증여하고 부를 때 문무를 보냈다. 문무는 일명 당귀라고 칭하며 반드시 돌아간다는 뜻이 담겨있고 작약은 이별을 뜻했다. 그래서 고인들은 이별 할 때 작약을 선물하고 부를 때 당귀를 보내고 돌아가기를 거부할 때는 원지로 답했다. 이것은 습관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 는 뜻이다.

신기한 고금방(古今方)

신기한 고금방(古今方)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구인(蚯蚓 : 지렁이)이 약으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구인(蚯蚓)이 약으로 사용된지는 약 2 천여 년이나 된다.

14 세기에 저술된 유럽의 백과사전에도 지렁이를 가루내어 빵속에 집어 넣어 먹으면 담석(膽石)과 황달(黃疸)이 치료되고 지렁이를 태운 재와 장미유(薔薇油)를 함께 잘 이겨서 머리카락이 빠진 곳에 발라주면 대머리가 치료된다.” 고 기록되어 있다.

또 고인들의 경험방에 보면 수취백경(須取白頸), 시기노자(是其老者), 혹노상답사자(或路上踏死者), 명천인답(名千人踏), 경량(更良).”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지렁이의 목이 하얀 놈은 늙은 지렁이인데 약효가 좋고 길가에서 수 많은 사람들의 발에 짓밟혀 죽은 놈도 약효가 매우 양호하다.” 는 뜻이다.

고대 의가에서는 지렁이가 청열(淸熱) 작용과 평간(平肝) 작용과 통락(通絡) 작용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현대 의가에서는 지렁이가 평청(平喘) 작용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 나라 때 어느 도사(道士)는 목이 하얀 늙은 지렁이 열 마리와 형개수(荊芥穗)를 함께 짛이겨 즙()을 만들어 복용하고 열병발풍(熱病發)을 치료했다.

열병발풍(熱病發)이란?

열병으로 인하여 정신이 나간 사람 처럼 행동하는 증상을 일컫는다.

강소성(江蘇省) 남통(南通 : 上海 북쪽 100km 지점) 명의(名醫) 주양춘(朱良春 : 서기 1917 - ) 역시 각종 열병으로 인한 고열(高熱)과 근육경련과 경풍(驚風) 등을 지렁이로 치료했다.

주양춘(朱良春)은 위급한 상황에 처해 있는 열병경궐(熱病驚厥) 환자의 치료에 식풍정경(熄風定驚) 작용이 있는 전갈(全蝎)을 지렁이와 함께 사용하였다.

지렁이의 한성(寒性)과 함미(鹹味)는 청열 작용이 있으므로 열병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열병이 없는 사람도 예방 시켜주는 작용이 있다.

주양춘(朱良春)은 강소성 남통 명의로써 남주북초(南朱北焦)” 란 말이 나올 정도로 소문이 나 있는 현대명의이다.

남주북초(南朱北焦)?

"강소성 남통의 주양춘(朱良春) 명의와  북경(北京)의 초수덕(焦樹德) 명의" 란 뜻이다.

근대 명의 장진하(張震夏) 역시 지렁이와 해표소()를 배합하여 효천(哮喘) 환자들을 치료해 주고 지렁이와 자하거(紫河車)를 가루내어 배합하거나 기타 한약들과 배합하여 수 십 가지 질병을 치료해 주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장진하를 지렁이 의사라고 칭했다.

장진하의 효천(哮喘) 치료 처방은 다음과 같다.

지룡(地龍 : 지렁이)과 자하거(紫河車 : 胎盤)와 해표소()를 모두 가루내어 지룡 : 자하거 : 해표소 = 3 : 4 : 5 의 비율로 배합하여 매일 아침, 저녁으로 두 차례 매차 3g 씩 복용한다.

또는 지렁이 단방(單方)으로써 지렁이를 가루내어 하루에 두 차례 매차 5g 씩 복용한다. 지렁이는 효천과 열병경궐(熱病驚厥)의 치료 뿐만 아니라 대상포진(帶狀疱疹)도 치료해 준다.

다음은 신기한 고방(古方) 몇 가지이다.

1. 소아아구창(小兒鵝口瘡) :  

지렁이 30 마리를 깨끗이 씻은 후 소독된 그릇 속에 설탕 50g 과 함께 섞어 집어 넣는다. 대략 30 분 정도 지나면 설탕이 녹으면서 지렁이 속에서 맑은 물이 쏟아져 나온다. 그 국물을 면사포에 걸러서 병속에 저장해 둔다. 소아아구창의 치료에 지렁이 백당액(白糖液)을 발라준다. 5 분이 경과한 후 입안과 혓바닥을 소금물에 적신 면봉(綿棒)으로 닦아준다. 이와 같이 하루에 세 차례 치료해 주면 며칠 후 깨끗이 치유된다.

소아아구창(小兒鵝口瘡)이란?

어린애의 입속이 헐어서 썩는 병인데 혀와 안쪽 볼에서 크림과 같은 하얀 점막이 떨어져 나오는 병이다. 성인들에겐 AIDS 의 맨 처음 증상으로써 아구창이 나타난다.

2. 화농성(化膿性) 중이염(中耳炎) :

먼저 3% 과산화수소로 귓속의 고름을 깨끗이 청소한 후 마른 면봉으로 귓속을 한번 더 깨끗이 닦아낸다. 그 다음 세 방울 내지 5 방울의 지룡백당액을 귓속에 떨어 뜨린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루에 세 차례 치료해 주면 일 주일 내에 중이염이 깨끗이 치유된다.

3. 유행성 시선염(腺炎) :

살아있는 지렁이 30g 과 설탕 30g 을 함께 섞어 짛이겨 죽을 만든다. 환처에 하루 한 차례 발라준다.

4. 탕상() :

지룡백당액(地龍白糖液)을 하루에 5 차례 환부에 발라 준다. 하루나 이틀 후에 환처에 딱지가 생기는데 딱지를 떼어내지 말고 계속 딱지 위에 발라준다. 일 주일 동안 치료해 주면 깨끗이 치유된다.

탕상이란?

끓는 물이나 불에 덴 상처를 일컫는다.

5. 하지(下肢) 궤양(潰瘍) :

살아있는 지렁이 40g 과 설탕 20g 을 함께 섞어 잘이겨 죽을 만들어 환처에 발라준다.

6. 고혈압 :

살아있는 지렁이 세 마리 내지 다섯 마리를 그릇 속에 담아두면 흙탕물을 토해낸다. 그 다음 지렁이를 깨끗이 씻어 잘게 토막낸다. 달걀 2 개 내지 3 개와 함께 후라이를 하여 이틀에 한 번씩 복용한다. 혈압이 정상으로 내려가면 복용중지한다.

7. 탈항(脫肛) :

살아있는 지렁이 30 마리와 설탕 세 숟갈을 함께 섞어 그릇 속에 담아두면 물로 변한다. 매일 세 차례 내지 네 차례 항문에 발라준다.

8. 단독(丹毒) :

살아있는 지렁이와 설탕을 5:1 로 혼합하여 두면 지렁이가 녹아서 물로 변한다. 환처에 매일 두 세 차례 발라주면 2 일 내지 3 일이 지나면 깨끗이 치유된다.


2011년 3월 24일 목요일

남성 갱년기 증상 스스로 진단 해보기

남성 갱년기 증상 스스로 진단해 보기



남성들이 중년으로 접어들면 내분비 기능이 문란되어 고환(睾丸)의 기능이 감퇴고 여성들의 갱년기 증상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남성들의 갱년기는 여성들의 갱년기에 비하여 3 년 내지 5 년 정도 늦게 찾아온다.



다음 12 가지 증상은 남성들 자신이 스스로 갱년기를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1. 시력이 노화되어 종전에 사용하던 근시안경으로 신문이나 잡지를 보기 어렵다.

2. 눈이 쉽게 피로해 지고 독서 후 두통과 두혼(頭昏) 증상이 나타난다.

3. 수면 시간이 종전과 비교하여 짧아지고 일찍 자고 일찍 깬다.

4. 음주량이 종전과 비교하여 증가된다.

5. 청력이 감퇴된다.

6. 이빨이 흔들리기 시작하고 의치를 다시 바꾸어야 한다.

7. 미각(味覺)이 감퇴되어 음식맛이 변한다. 종전 보다 더 달게 더 짜게 더 시게 더 매웁게 먹는다.

8. 간식(間食)을 하기 좋아하고 꿀이나 설탕에 잰 과일을 좋아한다.

9. 성욕이 감퇴된다.

10. 기억력이 감퇴된다.

11. 어렸을 때 일이나 과거의 일들을 그리워하고 생각한다.

12. 학습능력과 작업능율이 종전에 비하여 떨어진다.

이상 12 가지 중 4 가지 이상이 해당되는 사람은 갱년기로 접어 들어가고 있다는 증거이다.

2011년 3월 23일 수요일

율초(葎草 : 한삼덩굴)

율초( : 한삼덩굴)

서기 659 년에 저술된 당본초(唐本草)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다.

상과(桑科) 식물 율초()의 전초(全草)를 일컫는다. 줄기에 작은 가시가 돋아 있어 스치면 피부에 상처가 난다. 그래서 륵초(勒草)란 이름을 얻었는데 후에 륵( : lei)이 율( : lu)로 와전(訛傳)되어 율초()가 되었다.

명의별록에는 륵초(勒草), 당본초에는 갈율만()으로 수록되어 있다. 덩굴이 칡 처럼 길게 뻗어 길이가 4 미터나 된다.

율초()의 성미(性味)는 감(), (), ()이고 폐와 신장과 대장으로 들어간다.

첫째 청열해독 작용이 있어 학질(虐疾)과 복사(腹瀉)와 이질(痢疾)과 폐농양(肺膿瘍)과 사충교상(蛇蟲咬傷)과 정옹(/)을 치료해 준다.

서기 1549 년에 왕륜(王綸)이 저술한 명의잡저(名醫雜著)에 보면 남자이십전후(男子二十前後), 색욕과도(色慾過度), 모상정혈(耗傷精血), 필생음허지동지병(必生陰虛之動之病). 기증해창기급(其症咳氣急), 담소질점(痰少質粘), 혹토조황다량지담(或吐稠黃多量之痰), 시시객혈(時時喀血), 혈색선홍(血色鮮紅), 오후조열(午後潮熱), 골증(骨蒸), 오심번열(五心煩熱), 관홍(觀紅), 도한양다(盜汗量多), 구갈(口渴), 심번(心煩), 실면(失眠). 성급선노(性急善怒), 흉협제통(胸脇), 남자가견유정(男子可見遺精), 여자월경부조(女子月經不調), 형체일점소수(形體日漸消瘦), 설홍강이건(舌紅絳而乾), 태범황(苔泛黃), 맥세삭(脈細數). 치의자음강화(治宜滋陰降火), 요효현저(療效顯著).”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남자 나이 이십 전후에 색욕이 과도하여 성생활을 지나치게 많이 하면 정혈이 소모되어 음허(陰虛)로 인한 질병이 발생한다. 그 증상은 다음과 같다. 기침을 자주하고 숨이 짧아지며 끈적 끈적하고 누런 색깔의 담이 생기며 때로는 선홍색 객혈도 하고 오후에 미열이 생기며 골증과 오심번열과 불면증이 생긴다. 또 성질이 급해져서 화를 잘 내고 갈비 뼈 밑이 아프고 남자의 경우 유정이 생기고 여자의 경우 월경불순이 생기며 날이 갈수록 수척해 지고 혀는 빨갛고 건조하며 설태는 누렇고 맥은 가늘고 빠르다. 율초()는 자음강화 해줌으로 탁월한 치료 효과가 있다.” 는 뜻이다.

둘째 이뇨소종(利尿消腫) 작용이 있다. 율초()의 성미(性味)는 고(), ()이고 신경(腎經)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청열강화, 이뇨작용을 해준다. 고로 소변불리와 습진 등을 치료해 준다.

셋째 소어산결(消瘀散結) 작용이 있으므로 치창(痔瘡)과 나력( : 경부 임파선 결핵)의 치료에 사용된다.

내복(內服) : 9g 내지 18g 전탕복(煎湯服) 또는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外用) : 갈아서 환처에 부치거나 전수훈세(煎水熏洗) 해준다.

기침의 치료에 백합(百合)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소변불리에는 편축(萹蓄)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비주화(비/酒花)

2011년 3월 22일 화요일

콜레스테롤 낮추어 주는 시트리놀(SYTRINOL)

콜레스테롤 낮추어 주는 시트리놀(Sytrinol)



시트리놀(Sytrinol)은 심장마비의 위험을 줄여주고 혈중콜레스테롤의 양을 낮추어 주는 깞싸고 안전한 천연약물이다.



미국에서 심장병으로 매 35 초 마다 한 사람씩 죽어간다. 지난 80 년 동안 심장병의 사망율은 매년 일 등을 빼앗겨 본 일이 없었다. 그리고 미국내에서 매년 평균 1 천 5 백 억불의 경비가 관상동맥 질환의 치료에 들어 간다.



혈중 콜레스테롤의 양이 높아지면 심장병의 위험은 따라서 높아진다.



시트리놀(Sytrinol)은 개인회사(KGK Synergize Inc. Tel : 519-438-9374)의 특허품인데 밀감류(오렌지와 탠저린 등)와 야자과(Palm) 식물 속에서 성분을 추출하여 만들었으며 Polymethoxylated Flavones(PMFs)와 Delta Tocotrinol 과 Gamma Tocotrienol 과 Alpha Tocotrienol 과 그외 몇가지 비밀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KGK Synergize Inc. 은 캐나다의 런던(London) 시(市)에 자리잡고 있는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내(內)에 있는 The Centre for Human Nutrition 에 근무하고 있는 3 명의 과학자들에 의하여 1997 년에 설립된 회사이다.



혈중 콜레스테롤의 양을 낮추어 주는 약물은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줌으로 관상동맥으로 인한 질병으로 부터 근심을 덜어 준다.



그러나 많은 부작용을 지니고 있다. 콜레스테롤의 양을 낮추어 주는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들은 심장병으로 죽을 확률이 22% 낮은 반면에 암에 걸릴 확률은 24% 가 높다고 하니 거의 서로 맞비긴다.



몇 년 전에 University of Denmark 의 과학자들이 실험 연구한 결과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50 세 이상된 성인 100 명 중 15 명은 신경손상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Dr. Duane Graveline 이라는 미국의 우주비행사(Astronaut)는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 Liptor 를 복용하면서 부터 일시적인 기억상실증에 걸렸는데 집안 식구들도 모르고 있었다.



그는 Liptor 의 복용을 중지해봤다. 그의 건망증은 점차적으로 사라졌다. 이상하게 생각한 NASA 의사들은 Dr. Duane 에게 종전에 처방했던 Liptor 의 일일 복용량을 절반으로 줄여서 복용시켰다. Dr. Duane 의 건망증은 다시 재발하였다.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물의 부작용에 관한 또 다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University of Switzerland 의 Annette Draeger 란 의사는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 중에서 근육통이 있다고 호소하는 44 명의 환자들의 근육 조직 검사를 해봤다. 44 명 중 25 명의 근육에 손상이 생겼음을 발견하였다. 소수의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들 중에는 근육 조직에 손상을 입고 신부전증(腎不全症 : Kidney Failure) 까지 발생시키는 골격근융해증(Rhabdmyolosis)에 걸린 사람들도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모종의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물이미국 시장에서 이미 회수되었다.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물을 장기간 복용할 경우 인체내에서 필요한 콜레스테롤을 생산해내는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피속의 콜레스테롤의 양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콜레스테롤을 만들어 주는 효소는 콜레스테롤 뿐만 아니라 인체에 필요한 Coenzyme Q10(Co-Q10)도 같이 만들어 준다는 사실을 의사들은 환자들에게 말해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들은 Co-Q10 이 부족함으로 매일 자신들이 알아서 적당량의 Co-Q10 을 별도로 복용해 주어야 한다.



자동차는 맨 처음 스파크플러그(Spark Plug)에서 불똥이 튀어나와 휘발유에 불을 붙여야 시동이 걸린다. 자동차와 인체를 비교해 볼때 Co-Q10 은 자동차의 스파크플러그(Spark Plug)와 마찬가지로 중요한 영양소이며 인체라는 모터(Motor)의 스파크플러그(Spark Plug)에 해당된다.



Co-Q10 은 심장근육에 에너지를 생산시켜 준다. 우리는 자동차의 스파크플러그(Spark Plug)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가 잘 알고 있다.



과학자들의 실험 연구 결과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물은 Co-Q10 의 생산을 40% 까지 경감시킨다고 발표되었다.



다시 말하면 자동차의 휘발유통에 구멍이 뚫려있는 것과 똑같다.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물을 다량 섭취하면 할 수록 심장 근육속에서 Co-Q10 을 더많이 앗아간다. 계속적으로 심장 근육속에서 Co-Q10 을 앗아갈 경우 마지막으로 심장마비가 찾아오는 것은 필연적이다.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기존의 약물들은 효과가 아주 강한 약물이다.



과학자들의 실험 연구에 의하면 시트리놀(Sytrinol)은 전체 콜레스테롤을 30% 감소시켜 주고 LDL(나쁜 콜레스테롤)은 27% 감소시켜 주며 중성지방(Triglyceride)은 34% 감소시켜 준다고 나타났다. 한편 좋은 콜레스테롤(HDL)은 4% 증가되었다고 한다.



또 시트리놀은 LDL 의 산화를 경감시켜 주고 관상동맥의 협착을 예방해 주며 관상동맥순환쇠갈(Coronary Circulatory Failure)을 예방해주고 관상동맥속에 혈병(Blood Clot)의 생성을 예방해 준다.



그뿐만 아니라 시트리놀(Sytrinol)은 항산화제로써 동맥반(動脈斑 : Artrial Plaque)의 형성을 경감시켜 주고 혈소판 응집을 경감시켜 주며 당(糖)도 조절해 준다. 하루에 시트리놀 300mg 만 복용하면 된다. 시트리놀(Sytrinol)에 관한 더욱 자세한 정보는 www.sytrinol.net 에서 얻을 수 있다.

2011년 3월 21일 월요일

관절염 치료제 - Hydraflexin

관절염 치료제 - Hydraflexin



인체의 통증을 제거시켜 주는 비싼 진통제는 효과는 있지만 부작용이 심하여 복용을 꺼려하는 사람들이 서양사람들 중에 많이 있다.



진통제의 부작용 중에는 골격근융해증(Rhabdomyolysis : Muscle – Waisting Syndrome)을 비롯하여 심장마비와 신부전증 등이 있다. 우리가 쉽게 약방에 가서 의사의 처방 없이도 살수 있는 Aleve 와 Advil 등은 심장마비와 뇌졸중의 위험도를 증가시켜 주고 있다.



근년(近年)에 새로 나온 Hydraflexin 은 기능성식품(Nutraceutical)이다. 1 년에 5 천개 이상의 새로운 의학 용어들이 나오는데 Nutraceutical 역시 그 중 하나이다. Nutrition 과 Pharmaceutical 의 합성어이다.



기능성 식품은 건강을 증진시켜 주고 질병을 예방해 주고 질병을 치료해 주는데 물론 한약도 기능성 식품(Nutraceutical)에 속한다.



Hydraflexin 은 Practin 과 Hyaluronic Acid(HA) 라고 불리는 두 가지 기능성 식품으로 만들어졌다. 다른 어느 기능성 식품 보다 더 빨리 통증을 제거시켜 준다.



현재 관절통의 치료에 사용되는 MSM 과 Glucosamine 과 Chodroitin 은 사람들의 귀에 익숙한 기능성 식품들이다.



그런데 Hydraflexin 속에 포함되어 있는 Practin 은 칠레(Chile)의 생화학자(Biochemist) Dr. Juan Hancke 가 15 년 동안 한약의 하나인 천심련(穿心蓮)을 가지고 감기약을 만들어 보려고 연구하던 중 우연히 발견된 성분이다. Dr. Juan Hancke 은 미국과 유럽에서 공부한 학자이다.



원래 천심련(穿心蓮)은 수 천년 전 부터 한의학에서 사용해 왔다.



첫째 청열해독 작용과 항감염(抗感染) 작용이 있으므로 폐열해수(肺熱咳嗽)와 기관지염과 편도선염과 폐염(肺炎)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둘째 청장지리(淸腸止痢) 작용이 있으므로 열성이질(熱性痢疾)의 치료에 사용한다.

그외 요로감염(尿路感染)과 소변 적삽열통(赤澁熱痛)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서양 의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진통제들은 위장(胃腸)의 건강을 서서히 해치는데 비하여 동양 의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천심련(穿心蓮)은 오히려 위장의 조직을 더 튼튼하게 해주는데 Dr. Juan Hancke 는 착안하였다.



드디어 15 년 동안 끈질긴 연구 끝에 Dr. Juan Hancke 는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와 Fitoterapia(Phytotherapy) 라고 불리는 의학잡지에 논문을 발표하였다.



Practin 은 관절과 인대와 근육의 염증을 경감시켜 줌과 동시에 위장에는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발표하였다. Dr. Juan Hancke 의 Practin 은 미국내에서 특허를 받았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Glucosamine 은 손상된 관절의 회복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이론은 있지만 미국의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에서 연구한 바에 의하여 Glucosamine 은 이론을 뒷받침 할 만큼 큰 효과는 없다고 발표했다.



Practin 은 통증의 제일 원인이되는 관절내의 염증과 통증을 다른 어떤 관절 치료약 보다 속히 경감시켜 준다는 것이다. 관절에 있는 연골은 쿠션(충격완충 작용) 역할을 해준다. 그러나 관절에 염증이 생기면 연골의 쿠션 작용이 약해져서 결국 뼈와 뼈가 마주치게 된다. 손가락 관절과 무릎 관절과 고관절을 비롯하여 어느 관절을 막론하고 통증이 생기면 움직이는 행동 범위도 따라서 경감된다. 그래서 움직일때 조심하게 되고 운동도 덜하게 되며 그 결과 더욱 더 통증은 심해지고 행동 범위는 더욱 줄어든다.



그런데 Practin 은 우선적으로 인체내의 염증을 경감시켜 주기 때문에 부자유스러웠던 행동이 정상적으로 되어간다. Dr. Juan Hancke 의 연구에 의하면 Practin 은 Nuclear Factor kappa B(NFkB) 라고 불리는 생화학물질의 작용을 억제시켜 준다고 한다.



Nuclear Factor kappa B(NFkB) 는 우리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상처를 입을 경우 활성화되어 Cytokine 이라는 전투병을 과잉 생산한다. 여기서 우리가 받는 스트레스란? 영양부족과 면역력 하강과 독성 물질과 급격한 감정의 변동과 직장해고 등등을 일컫는다. Cytokine 은 최전방을 수호해 주는 면역계의 전투병이다. 그런데 문제는 인체가 Cytokine 을 과다 방출할 경우 연골과 관절등을 공격하여 염증과 통증을 발생시킨다. 그런데 Practin 은 Nuclear Factor kappa B(NFkB) 의 작용을 억제시켜 Cytokine 의 방출을 지연시켜 준다. 그러므로 염증의 발생을 막아 준다.



Practin 은 2005 년도 Consumer Health Digest 에서 선정한 Top-10 천연 진통제에 들어갔다.



Hydraflexin 은 또 하나의 기능성 식품 Hyaluronic Acid(HA) 를 포함하고 있다. Hyaluronic Acid(HA) 는 관절과 근육과 인대의 윤활유 역할을 한다.



Synovial Fluid 는 관절의 윤활 작용을하는 윤활액(潤滑液)으로써 관절과 관절 사이에 들어있는 윤활유이다.



그런데 나이를 더해 감에 따라 Synovial Fluid 의 레벨이 경감되어 50 세 쯤이면 Synovial Fluid 의 양이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젊었을 때 처럼 관절이 부드럽게 움직이지 못하고 삐걱거려 움직이는데 불편을 초래한다.



사람의 관절도 기계의 움직이는 부속과 마찬가지이다. 기계의 움직이는 부분에 적당한 윤활유가 들어 있어야 기계가 정상적으로 움직인다.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또 염증이 발생함에 따라 관절의 쿠션은 경감되고 Synovial Fluid 의 양은 경감되어 관절이 경직되고 근육이 땅기며 통증도 생긴다.



치료 방법은 Synovial Fluid 를 생산케 해주는 것이다.



그런데 Hydraflexin 속에 들어있는 Hyaluronic Acid(HA) 가 Synovial Fluid 의 양을 정상적인 레벨로 증가시켜 준다.



지난 수 년간 의사들은 무릎 관절이나 손가락 관절에 관절염이 생겨 통증이 있는 환자들에게 직접 관계된 관절에 HA 를 주사하여 통증을 경감시켜 주고있다. 의사들은 HA 를 관절염 환자들에게 복용시켜 봤는데 효과가 주사 만 못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왜냐하면 HA 는 세포막을 투과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최근에 Neil Ross 박사가 나타나서 아시아 의사들과 유럽 의사들과 공동으로 연구하여 먹을 수 있는 HA 를 발명하였다. 그래서 제약회사에서는 Ross 박사의 HA 처방을 Practin 과 함께 배합하여 Hyraflexin 을 만들게 되었다.



그리하여 Hydraflexin 속에 들어있는 Practin 은 관절의 염증과 통증을 없애주고 HA 는 Synovial Fluid 를 생성시켜 관절을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그러므로 Hyraflexin 은 관절염을 치료해 주는 강력한 One-Two-Knockout-Punch 나 다름없다.



Hyaluronic Acid(HA) 는 특수 단백질로써 Synovial Fluid 의 주요 성분이며 눈(眼)의 수상액(水狀液 : Vitreous Humor)과 피부에 들어 있다.



나이를 더해감에 따라 HA 의 양은 줄어들어 관절이 뻣뻣해 져서 계단을 오르 내릴 때 통증이 따르고 피부는 건조해 지고 줄음살이 생긴다.



Chodroitin 도 인체내의 HA 생산을 증가시켜 준다. HA 는 닭의 연골조직(軟骨組織 : Cartilage)에서 추출한다.



일본 동경에서 60km 떨어진 야마나시 지역 산중에 위치한 유주리하라(Yuzurihara) 촌민(村民)들 중 85 세 이상된 노인이 10% 에 달한다. 다시 말하면 유주리하라(Yuzurihara) 촌민(村民)들 100 명 중 10 명은 85 세 이상이다는 뜻이다. 이 지방 촌민들은 고구마와 신선한 채소를 즐겨 먹는데 HA 합성을 돕는다고 한다. 그래서 현재 서양의 식품점에 가보면 고구마를 사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는 것을 알수 있다. Dr. Neil Rosss 는 현재 미국 뉴저지주의 Livingston 에 있는 마취과 의사(Anesthesiologist)이다.

2011년 3월 20일 일요일

유서(柳絮)

유서(柳絮)



유서(柳絮)는 신농보초경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다. 양류과(楊柳科) 식물 수류(垂柳)의 털이 달린 종자이다. 신농본초경에는 유실(柳實), 명의별록에는 유자(柳子)라고 각각 기록되어 있다. 유서(柳絮)의 성미(性味)는 고(苦), 양(凉)이고 심(心)과 간(肝)과 신(腎)으로 들어간다. 첫째 청열해독 작용이 있으므로 고름이 아직 터지지 않은 옹저창절을 치료해 준다. 둘째 거풍제습 작용이 있으므로 습비(濕痺)로 인한 사지구련(四肢拘攣)과 슬통(膝痛)을 치료해 준다. 셋째 금창(金瘡)으로 인한 출혈부지(出血不止)와 토혈(吐血) 등을 치료해 준다. 내복 : 가루내어 복용하거나 즙(汁)을 짜서 복용한다. 외용 : 가루를 환처에 발라 준다. 신농본초경에 보면 ”주궤옹(主潰癰), 축농혈(逐膿血)”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썩어 문드러진 악성 종기를 치료해 주고 고름을 제거시켜 준다.” 는 뜻이다. 명의별록에 보면 ”주가개(主痂疥), 악창(惡瘡), 금창(金瘡). 자(子) : 즙료갈(汁療渴).”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옴과 악창과 금창을 치료해 주며 즙은 갈증을 풀어 준다.” 는 뜻이다. 경효양방(經效良方)에 보면 ”치토혈(治吐血) : 유서(柳絮), 불구다소(不拘多少). 배건(焙乾), 연위세말(碾爲細末), 온미음하(溫米飮下).”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토혈의 치료 : 유서를 약한 불에 쬐어 말려 맷돌로 갈아서 가루를 만든다. 따뜻한 미음(米飮)으로 복용한다.” 는 뜻이다. 천금방(千金方)에 보면 ”치금창출혈부지(治金瘡出血不止) : 유서봉지(柳絮封之).”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금창으로 인하여 출혈이 그치지 않을 경우 유서로 환처를 봉해 준다.” 는 뜻이다. 외과촬요(外科撮要)에 보면 ”치일체악독(治一切惡毒), 농혈창통불궤화(膿血脹痛不潰化), 유서부상(柳絮敷上), 농설독감(膿泄毒減).”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고름이 속에 들어 있고 부풀어 올라 통증이 심한 일체의 독창 치료 : 유서(柳絮)를 환부에 부쳐두면 고름이 흘러 나오고 독기가 감소된다.” 는 뜻이다.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에 보면 ”유눈아가작음탕(柳嫩芽可作飮湯)”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유아(柳芽 : 버들 눈)는 끓여 마실 수 있다.” 는 뜻이다. 유아(柳芽 : 버들 눈)는 차(茶)로 끓여 마셔도 된다. 매년 유아(柳芽 : 버들 눈)가 돋아나기 시작할 때 유아(柳芽 : 버들 눈)를 채취하여 끓는 물속에 집어 넣었다 꺼내어 그늘에서 말린다. 유아(柳芽 : 버들 눈)와 식용유와 식염과 마늘과 파와 설탕과 식초와 조미료를 섞어 익은 고기와 함께 무쳐서 차게 먹어도 좋다. 유아(柳芽 : 버들 눈)를 햇볕에 말려 먹을 때 마다 뜨거운 물속에 담그어 불린 후 볶아서 나물을 해 먹거나 국을 끓여 먹어도 좋다. 또 유아(柳芽 : 버들 눈)와 일반 차엽(茶葉)을 함께 섞어 차를 끌여 먹으면 짙은 청록 색깔은 보기도 좋을 뿐만 아니라 향기도 좋고 맛도 향긋하며 병을 예방해 주고 치료해 주니 일거양득이다. 그래서 유아(柳芽 : 버들 눈)는 식용 뿐만 아니라 차(茶)로 대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신선한 어린 유아(柳芽 : 버들 눈)를 채취해야 만 한다. 왜냐하면 일단 꽃이 핀 후엔 식용하거나 차(茶)를 끓여 마셔도 맛이 별로 없으며 꽃이 피지 않을 때 보다 향기도 다르다.

유백피(柳白皮)

유설(柳屑)

유설(柳屑)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에 보면 “유설시수유주공중적주설(柳屑是垂柳蛀孔中的蛀屑).” 이라고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유설은 벌레가 먹어 속이 텅빈 수류 나무의 구멍 속에서 생기는 부스러기를 일컫는다.



성혜방(聖惠方)에는 유중설(柳蚛屑), 성제총록(聖濟總錄)에는 유주분(柳蛀糞)이라고 각각 기록되어 있다.



유설의 성미(性味)는 신(辛), 평(平)이고 심(心), 폐(肺), 간(肝)으로 들어 간다.

첫째 거풍지양(祛風止痒) 작용이 있으므로 풍은진(風瘾疹) 때문에 생기는 소양을 치료해 주고 종창(腫脹)을 치료해 준다.

둘째 제습정통(除濕定痛) 작용이 있으므로 풍한습비(風寒濕痺)로 인한 근골동통(筋骨疼痛)과 수각권련(手脚拳攣)을 치료해 준다.



외용(外用) : 전수세욕(煎水洗浴) 또는 초열울부(炒熱熨敷)해 준다.



당본초(唐本草)에 보면 ”주풍소종양은진(主風瘙腫痒瘾疹)”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유설은 바람에 의한 피부소양증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유서(柳絮)

유서(柳絮)



유서(柳絮)는 신농보초경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다. 양류과 식물 수류(垂柳 : 수양버들)의 털이 달린 종자이다.



신농본초경에는 유실(柳實), 명의별록에는 유자(柳子)라고 각각 기록되어 있다.



유서(柳絮)의 성미(性味)는 고(苦), 양(凉)이고 심(心)과 간(肝)과 신(腎)으로 들어간다.



첫째 청열해독 작용이 있으므로 고름이 아직 터지지 않은 옹저창절을 치료해 준다.

둘째 거풍제습 작용이 있으므로 습비(濕痺)로 인한 사지구련(四肢拘攣)과 슬통(膝痛)을 치료해 준다.

셋째 금창(金瘡)으로 인한 출혈부지(出血不止)와 토혈(吐血) 등을 치료해 준다.



내복 : 가루내어 복용하거나 즙(汁)을 짜서 복용한다.

외용 : 가루를 환처에 발라 준다.



신농본초경에 보면 ”주궤옹(主潰癰), 축농혈(逐膿血)”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썩어 문드러진 악성 종기를 치료해 주고 고름을 제거시켜 준다.” 는 뜻이다.



명의별록에 보면 ”주가개(主痂疥), 악창(惡瘡), 금창(金瘡). 자(子) : 즙료갈(汁療渴).”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옴과 악창과 금창을 치료해 주며 즙은 갈증을 풀어 준다.” 는 뜻이다.



경효양방(經效良方)에 보면 ”치토혈(治吐血) : 유서(柳絮), 불구다소(不拘多少). 배건(焙乾), 연위세말(碾爲細末), 온미음하(溫米飮下).”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토혈의 치료 : 유서를 약한 불에 쬐어 말려 맷돌로 갈아서 가루를 만든다. 따뜻한 미음(米飮)으로 복용한다.” 는 뜻이다.



천금방(千金方)에 보면 ”치금창출혈부지(治金瘡出血不止) : 유서봉지(柳絮封之).”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금창으로 인하여 출혈이 그치지 않을 경우 유서로 환처를 봉해 준다.” 는 뜻이다.



외과촬요(外科撮要)에 보면 ”치일체악독(治一切惡毒), 농혈창통불궤화(膿血脹痛不潰化), 유서부상(柳絮敷上), 농설독감(膿泄毒減).”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고름이 속에 들어 있고 부풀어 올라 통증이 심한 일체의 독창 치료 : 유서(柳絮)를 환부에 부쳐두면 고름이 흘러 나오고 독기가 감소된다.” 는 뜻이다.

.

유백피(柳白皮)

유백피(柳白皮)



유백피(柳白皮)는 증류본초(證類本草)에 처음으로 기재되어 있다.



양류과(楊柳科) 식물 수유(垂柳 : 수양버드나무) 중 수지(樹枝)의 인피(靭皮) 또는 근부(根部)의 인피를 일컫는다. 목질부(木質部)와 전피(栓皮)는 제거시키고 인피(靭皮) 만 약용(藥用)한다.



유백피(柳白皮)의 성미(性味)는 고(苦), 한(寒)이고 간경과 비경과 신경으로 들어 간다.



첫째 거풍제습 작용이 있으므로 풍습골통과 풍종소양(風腫瘙痒) 등증을 치료해 준다.

둘째 청열이습 작용이 있으므로 황달을 치료해 준다.

셋째 이뇨통림 (利尿通淋)작용이 있으므로 임탁(淋濁)을 치료해 준다.

넷째 해독요창(解毒療瘡) 작용이 있으므로 유옹(乳癰)과 탕상(湯傷)을 치료해 준다.

다섯째 지통소종 작용이 있으므로 아종동통(牙腫疼痛)을 치료해 준다.



내복 : 30g 내지 60g

외용 : 전수세(煎水洗 : 삶은 물로 씻어줌)



당본초(唐本草)에 보면 ”수피미고(樹皮味苦), 한(寒), 무독(無毒). 지피주담열임질(枝皮主痰熱淋疾); 가위욕탕(可爲浴湯), 세풍종소양(洗風腫瘙痒); 주자함(酒煮含), 주치통(主齒痛).”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수피의 미(味)는 고한(苦寒)이고 무독하다. 지피는 주로 담열과 임질을 치료해 준다. 지피를 끓인 물로 목욕을 하면 풍종소양이 치료된다. 지피를 술과 함께 삶은 물을 입속에 머금고 있으면 치통이 멈춘다.” 는 뜻이다.



본초강목에 보면 ”전복(煎服), 치황달백탁(治黃疸白濁); 주자(酒煮), 울제통종(熨諸痛腫), 거풍(去風), 지통소종(止痛消腫).”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지피를 끓인 물을 마시면 황달과 백탁이 치료된다. 지피와 술을 함께 삶은 물로 환처를 씻어주면 모든 종통이 사라지며 바람을 몰아내 주고 지통 작용과 소종 작용이 있다.” 는 뜻이다.



주후방(肘后方)에 보면 ”치부녀유옹(治婦女乳癰) : 삭유근피(削柳根皮), 숙도(熟搗), 화온(火溫), 백낭저(帛囊貯), 울지(熨之), 냉경역(冷更易).”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부녀들의 화농성(化膿性) 유선염(乳腺炎)의 치료 : 유근피(柳根皮)를 깍아내어 삶아서 절굿 공이로 찧어 명주로 만든 주머니 속에 집어 넣어 따뜻할 때 유방을 문질러 준다. 식으면 다시 덥혀서 재 사용한다.” 는 뜻이다.



고금록험방(古今錄驗方)에 보면 ”치풍충아통(治風蟲牙痛) : 양류백피(楊柳白皮), 권여지대(卷如指大), 함저(含咀), 이즙지치근(以汁漬齒根), 수과(數過).”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풍치와 충치로 인한 치통의 치료 : 버드나무 가지의 수피를 손가락 사이즈로 말아서 입속에 머금고 씹어 즙이 이빨의 뿌리에 적시도록 여러차례 해 준다.” 는 뜻이다.



또 주후방(肘后方)에 보면 ”치탕화소작(治湯火所灼), 미성창자(未成瘡者) : 유백피세절(柳白皮細切), 이저고전이도지(以猪膏煎以涂之). 치탕화작성창(治湯火灼成瘡) : 유피소회(柳皮燒灰), 이분도지(以粉涂之).”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끓는 물이나 불에 데였음에도 불구하고 피부궤양이 아직 생기지 않은 경우의 치료 : 유백피(柳白皮)를 잘게 썰어 돼지 기름에 지진 후 환처에 발라 준다. 끓는 물이나 불에 데어 화상을 입은 자리에 이미 피부궤양이 생긴 경우의 치료 : 유피(柳皮)를 불에 태워서 재를 만들어 환처에 발라 준다.” 는 뜻이다.



유피(柳皮) 속에는 Salicin 과 타닌산(Tannin)이 포함되어 있으며 Salicin 은 퇴열(退熱) 작용을 해준다.

2011년 3월 19일 토요일

유백피(柳白皮)

유백피(柳白皮)



유백피는 증류본초(證類本草)에 처음으로 기재되어 있다.



양류과 식물 수유(垂柳 : 수양버드나무) 중 수지(樹枝)의 인피(靭皮) 또는 근부(根部)의 인피를 일컫는다. 목질부(木質部)와 전피(栓皮)는 제거시키고 인피(靭皮) 만 약용(藥用)한다.



유백피의 성미(性味)는 고(苦), 한(寒)이고 간경과 비경과 신경으로 들어 간다.



첫째 거풍제습 작용이 있으므로 풍습골통과 풍종소양 등증을 치료해 준다.

둘째 청열이습 작용이 있으므로 황달을 치료해 준다.

셋째 이뇨통림 작용이 있으므로 임탁(淋濁)을 치료해 준다.

넷째 해독요창(解毒療瘡) 작용이 있으므로 유옹(乳癰)과 탕상(湯傷)을 치료해 준다.

다섯째 지통소종 작용이 있으므로 아종동통(牙腫疼痛)을 치료해 준다.



내복(內服) : 30g 내지 60g

외용(外用) : 전수세(煎水洗 : 삶은 물로 씻어줌)



당본초(唐本草)에 보면 ”수피미고(樹皮味苦), 한(寒), 무독(無毒). 지피주담열임질(枝皮主痰熱淋疾); 가위욕탕(可爲浴湯), 세풍종소양(洗風腫瘙痒); 주자함(酒煮含), 주치통(主齒痛).”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수피의 미(味)는 고한(苦寒)이고 무독하다. 지피는 주로 담열과 임질을 치료해 준다. 지피를 끓인 물로 목욕을 하면 풍종소양이 치료된다. 지피를 술과 함께 삶은 물을 입속에 머금고 있으면 치통이 멈춘다.” 는 뜻이다.



본초강목에 보면 ”전복(煎服), 치황달백탁(治黃疸白濁); 주자(酒煮), 울제통종(熨諸痛腫), 거풍(去風), 지통소종(止痛消腫).”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지피를 끓인 물을 마시면 황달과 백탁이 치료된다. 지피와 술을 함께 삶은 물로 환처를 씻어주면 모든 종통이 사라지며 바람을 몰아내 주고 지통 작용과 소종 작용이 있다.” 는 뜻이다.



주후방(肘后方)에 보면 ”치부녀유옹(治婦女乳癰) : 삭유근피(削柳根皮), 숙도(熟搗), 화온(火溫), 백낭저(帛囊貯), 울지(熨之), 냉경역(冷更易).”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부녀들의 화농성 유선염의 치료 : 유근피를 깍아내어 삶아서 절굿 공이로 찧어 명주로 만든 주머니 속에 집어 넣어 따뜻할 때 유방을 문질러 준다. 식으면 다시 덥혀서 재 사용한다.” 는 뜻이다.



고금록험방(古今錄驗方)에 보면 ”치풍충아통(治風蟲牙痛) : 양류백피(楊柳白皮), 권여지대(卷如指大), 함저(含咀), 이즙지치근(以汁漬齒根), 수과(數過).”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풍치와 충치로 인한 치통의 치료 : 버드나무 가지의 수피를 손가락 사이즈로 말아서 입속에 머금고 씹어 즙이 이빨의 뿌리에 적시도록 여러차례 해 준다.” 는 뜻이다.



또 주후방(肘后方)에 보면 ”치탕화소작(治湯火所灼), 미성창자(未成瘡者) : 유백피세절(柳白皮細切), 이저고전이도지(以猪膏煎以涂之). 치탕화작성창(治湯火灼成瘡) : 유피소회(柳皮燒灰), 이분도지(以粉涂之).”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끓는 물이나 불에 데였음에도 불구하고 피부궤양이 아직 생기지 않은 경우의 치료 : 유백피를 잘게 썰어 돼지 기름에 지진 후 환처에 발라 준다. 끓는 물이나 불에 데어 화상을 입은 자리에 이미 피부궤양이 생긴 경우의 치료 : 유피를 불에 태워서 재를 만들어 환처에 발라 준다.” 는 뜻이다.



유피 속에는 Salicin 과 타닌산(Tannin)이 포함되어 있으며 Salicin 은 퇴열(退熱) 작용을 해준다.

유근(柳根 : 버드나무의 뿌리)

유근(柳根 : 버드나무의 뿌리)



유근(柳根 : 버드나무의 뿌리)은 송(宋) 나라 때 당신미(唐愼微 : 서기 1056 년 – 서기 1093 년)의 저서 증류본초(證類本草)에 처음 기재되어 있다.



양류과(楊柳科) 식물 수류(垂柳 : 수양버들)의 뿌리와 뿌리털을 일컫는다. 양류수(楊柳須), 수류수(垂柳須), 홍룡수(紅龍鬚), 청룡수(靑龍鬚) 등의 별명을 갖고 있다.



유근(柳根 : 버드나무의 뿌리)의 성미(性味)는 고(苦), 한(寒)이고 간경(肝經)과 신경(腎經)과 방광경(膀胱經)과 대장경(大腸經)으로 들어 간다.



첫째 이수통림(利水通淋) 작용이 있으므로 임증(淋症)과 백탁(白濁)과 수종을 치료해 준다.

둘째 청열제습(淸熱除濕) 작용이 있으므로 황달과 황수습창(黃水濕瘡) 등을 치료해 준다.

셋째 거풍지통(祛風止痛) 작용이 있으므로 풍습동통(風濕疼痛)과 사지구련(四肢拘攣) 등을 치료해 준다.

넷째 해독지리(解毒止痢) 작용이 있기 때문에 습열이질(濕熱痢疾)을 치료해 준다.

다섯째 요치지혈(療痔止血) 작용이 있기 때문에 치창(痔瘡)과 대장하혈(大腸下血) 등을 치료해 준다.



내복(內服) : 30g 내지 60g 을 전탕하여 복용한다. 외용(外用) : 전수훈(煎水熏)해 주거나 술에 타서 발라 준다.



전남본초(滇南本草)에 보면 ”미고(味苦), 한(寒). 치오림(治五淋), 백탁(白濁), 대장하혈(大腸下血).”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유근의 성미(性味)는 쓰고 차며 오림과 백탁과 대장하혈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본초강목에 보면 ”전복(煎服), 치황달(治黃疸), 백탁(白濁); 주자(酒煮), 울제통종(熨諸痛腫), 거풍(祛風), 지통소종(止痛消腫).”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유근을 끓여 복용하면 황달과 백탁을 치료해 준다. 또 술과 함께 끓인 물을 헝겁에 묻혀 환부를 닦아주면 모든 종통이 사라지고 인체내의 바람을 몰아내 주며 지통 작용은 물론 소종(消腫)해 준다.” 는 뜻이다.



또 초목편방(草木便方)에 보면 ”거풍제습(祛風除濕), 요열리(療熱痢), 붕(崩), 대(帶), 사지구련(四肢拘攣), 근통(筋痛), 탕화(湯火), 아통(牙痛).”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버드나무의 뿌리는 풍(風)과 습(濕)을 제거시켜 주고 열리(熱痢 : Disentery)와 붕루(崩漏)와 대하(帶下)와 사지경련과 근육통과 탕상(湯傷)과 치통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에 보면 ”치수종(治水腫)”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버드나무의 뿌리는 수종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중의약실험연구(中醫藥實驗硏究)에 보면 ”치치창(治痔瘡) : 수류수이삼냥(垂柳須二三兩). 수전곤(水煎滾), 가입피초삼전(加入皮硝三錢), 재전수곤(再煎水滾), 경입관혹분내(傾入罐或盆內); 영용원통일지(另用圓桶一只), 장관방통중(將罐放桶中), 좌통상(坐桶上), 사약기훈입항내(使藥氣熏入肛內), 수냉위지(水冷爲止), 사재전(渣再煎), 일훈이차(日熏二次).” “치풍화아통(治風火牙痛) : 수류수오전지칠전수(水柳須五錢至七錢). 저정육이삼냥돈탕(猪精肉二三兩燉湯), 이탕전약복(以湯錢藥服).”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치질 치료 :



먼저 수류수(버드나무의 뿌리) 두 냥(兩) 내지 세 냥(兩)을 펄펄 끓는 물속에 집어 넣어 박초(朴硝) 3 전(錢)과 함께 끓인다. 화분 처럼 생긴 항아리나 단지 속에 끓는 물을 모두 들어 붓고 그 위에 올라타고 앉아 뜨거운 김을 항문에 쏘인다. 물이 식을 때 까지 기다렸다가 재탕하여 다시 사용한다. 하루에 두 차례 실행한다.



다음은 풍화(風火)로 인한 치통의 치료법이다.



수류수(水柳須) 5 전(錢) 내지 7 전(錢)과 돼지 정육(精肉) 2 냥(兩) 내지 3 냥(兩)을 함께 섞어 물을 적당히 붓고 오랫 동안 얕은 불로 푹 삶는다. 돼지 고기와 국물을 복용한다.”



는 뜻이다.



또 요승원(姚僧垣)의 집험방(集驗方)에 보면 ”치영병(治瘿病) : 유근삼십근(柳根三十斤). 이수일곡(以水一斛), 자득오두(煮得五斗), 동미삼두양지(同米三斗釀之), 주성(酒成), 선식복일승(先食服一升), 일삼(日三).”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갑상선종(甲狀腺腫 : Goiter) 치료법 : 물 열 말(十斗) 속에 유근(버드나무의 뿌리) 30 근(斤)을 집어 넣고 물이 5 말(斗)로 줄어 뜰때 까지 푹 삶는다. 쌀 서 말(三斗)을 그 물속에 집어 넣어 술을 빚는다. 하루에 세 차례 매차 한 되(一升) 씩 마신다.” 는 뜻이다.



또 귀주중의험방비방(貴州中醫驗方秘方)에 보면 ”치혈붕(治血崩) : 홍룡수오전(紅龍須五錢). 첨주일배자복(甜酒一杯煮服).”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혈붕(血崩 : 자궁 출혈의 일종)의 치료법 : 홍룡수(버드나무의 뿌리) 5 전(錢)과 첨주(甜酒 : 단술) 한 컵을 섞어 끓여 마신다.” 는 뜻이다.

유화(柳花 : 버드나무의 꽃)

2011년 3월 18일 금요일

버드나무잎(柳葉)

버드나무잎(柳葉)



유엽(柳葉)은 신농본초경에 처음 기재되어 있는 한약이다. 성미(性味)는 고(苦), 한(寒)이고 심경과 비경과 간경으로 들어간다.



청열해독 작용이 있으므로 정창절종(疔瘡癤腫)과 단독(丹毒)과 무명종독(無名腫毒) 및 이질을 치료해 준다.



해독투진(解毒透疹) 작용이 있으며 이뇨작용이 있어 소변백탁(小便白濁)을 치료해 준다.



내복(內服)할 경우 신선한 잎 30g 내지 60g 을 전탕(煎湯)하여 마시고 외용(外用)할 경우 전수세(煎水洗)해 주거나 가루를 환처에 골고루 발라준다.



본초재신(本草再新)에 보면 ”유두(지초눈엽)고미(柳頭(枝梢嫩葉)味苦, 성양(性凉), 무독(無毒). 유두평간(柳頭平肝), 발산열(發散熱), 능탁능승(能托能升), 패독(敗毒), 치소아사두등증(治小兒痧痘等證).”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유두는 버드나무 가지 끝에 달린 어린 잎이고 맛은 쓰며 성(性)은 양(凉)이고 무독하다. 유두는 간(肝)을 진정시켜 주고 열을 발산시켜 주며 독을 제거시켜 주고 소아마진(痲疹)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최근 유엽에서 추출한 물질을 사용하여 상호흡도 감염과 기관지염과 폐염과 방광염과 화농성 시선염(腮腺炎)과 유선염(乳腺炎)과 인후염(咽喉炎)과 고혈압과 전염성 간염 등을 치료하고 있다.



1000g 의 유엽 속에 10000 마이크로그램(microgram)의 옥소(沃素 : Iodine)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일반 식물의 1000배에 가깝다. 고로 갑상선종(甲狀腺腫)의 치료에 해대(海帶)와 황약자(黃藥子)와 백약자(白藥子) 등 약물을 배합하여 사용하여 현저한 치료효과를 나타냈다.



성혜방(聖惠方)에 보면 ”치미모양락(治眉毛痒落) : 수유엽(垂柳葉), 음건(陰乾), 도라위말(搗羅爲末), 매이생강즙(每以生薑汁), 어생철기중조(於生鐵器中調). 야간도지(夜間涂之), 점이수마영열위묘(漸以手摩令熱爲妙).”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눈썹이 빠지고 가려운 증상의 치료 : 수양 버드나무 잎을 음건하여 가루로 만들어 체에 쳐서 무쇠 그릇에 담아 생강즙과 함께 골고루 잘 섞는다. 밤에 눈썹에 발라주고 손으로 열이 날 때 까지 문질러 주면 효과가 탁월하다.” 는 뜻이다.



또 도홍경(陶弘景)의 명의별록(名醫別錄)에 보면 ”요심복내혈(療心腹內血), 지통(止痛), 요칠창(療漆瘡).”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버드나무 잎은 심복의 내혈을 치료해 주고 통증을 멎게 해주며 칠창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버드나무(WILLOW)

버드나무(WILLOW)



어느 날 어떤 산부(産婦)가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 BC 460 년 – BC 375 년)를 방문했다. 산부(産婦)는 통증이 심하여 아프다고 히포크라테스 앞에서 고래 고래 소리를 질렀다. 뚜렸한 진통약이 없던 시절이라 히포크라테스 역시 어떻게 해야될지 몰라서 쩔쩔 매고 있었다.



이때 산부(産婦)의 시어머니가 호주머니 속에서 유수피(柳樹皮)를 한 주먹 꺼내더니 산부(産婦)의 입속에 집어넣어 주며 ”얘야! 정신차리고 꼭꼭 씹어라” 고 소리쳤다.



산부(産婦)가 유지피(柳枝皮 : 버드나무 가지의 껍질)를 꼭꼭 씹어 삼킨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통증도 없어지고 옥동자를 순산하였다.



누가 유지피가 진통도 시켜주고 분만을 수월하게 해줄 줄을 알았겠는가?



히포크라테스는 평상시 유수(柳樹)가 이처럼 큰 진통 효과가 있다는 것을 전혀 알지 못했었다.



이때 부터 히포크라테스는 유수를 사용하여 수 많은 환자들의 여러 종류의 통증을 해소시켜 주기 시작하여 큰 효과를 보았다.



서기 1763 년에 영국 옥스포드주에 살고있는 Edward Stone 목사는 영국황가학회(英國皇家學會 : British Royal Society)에서 이와 같은 유수의 치료법을 설명하면서 유피를 사용하여 학질(虐疾 : Ague)을 치료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1763 년도 판 Philosophical Transactions 에 ”An Account of the success of the Bark of Willow in cure of Agues” 라는 타이틀로 기재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버드나무 껍질을 사용하여 학질을 성공적으로 치료한 보고서" 란 뜻이다.



그후 과학자들은 유피 속에서 일종의 산성 물질을 추출하여 유산(柳酸 : Salicylic Acid)이라고 명명하였다. 유산은 후에 아스피린의 주요 성분이 되었다.



쉽게 말하여 버드나무 가지는 아스피린(Aspirin)이다. 과학자들의 실험 분석 결과 버드나무는 유산과 타닌산과 배당체(Glycoside) 등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다음에 유엽(柳葉)과 유화(柳花)와 유근(柳根)과 유설(柳屑)과 유서(柳絮)와 유백피(柳白皮)를 분류하여 별도로 기재한다.

2011년 3월 17일 목요일

당귀저경골탕(當歸猪脛骨湯)

당귀저경골탕(當歸猪脛骨湯)



원료 : 당귀 15g, 저경골(猪脛骨 : 돼지의 정강이 뼈) 500g



제법 : 솥 안에 물을 충분히 붓고 깨끗이씻은 돼지의 정강이뼈와 당귀를 넣고 센불로 끓인 후 얕은 불로 1 시간 동안 더 끓인다. 마지막으로 식용유와 식염과 황주와 생강과 파를 넣고 끓인다.



응용 : 간신허(肝腎虛)로 인한 근골산연(筋骨酸軟)과 지체마목(肢體麻木)과 음혈(陰血) 부족으로 인한 월경량 감소와 월경기 지연과 폐경(閉經)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복법(服法) : 감자탕 처럼 반찬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당귀는 윤장(潤腸) 효과가 있으므로 비기(脾氣)가 허약하여 수습(水濕)을 전화 시키지 못하여 대변이 무른 사람은 신용(愼用)해야 한다. 또 음허화왕(陰虛火旺)인 사람도 기용(忌用)해야 한다.

메추라기(암순(鹌鹑))

메추라기(암순(鹌鹑)) 메추라기는 최우석(崔禹錫)의 식경(食經)에 처음 기재되어 있다.

메추라기는 치과(雉科 : 꿩과) 동물 암순(鹌鹑 : 메추라기)의 고기 또는 전체(全體)를 일컫는다. 길이는 16cm 정도 이고 모양은 큰 병아리와 같고 머리는 작고 꼬리털은 없으며 부리는 짧고 털은 흑갈색이다. 머리는 검은색이나 밤색의 작은 반점이 많이 있다.

성미(性味)는 감(), ()이고 심(), (), (), (), (), 대장(大腸) 6 ()으로 들어간다.

1. 익기보허(益氣補虛) 작용이 있다. 식료본초(食療本草)에 보면 보오장(補五臟), 익중기(益中氣), 실근골(實筋骨), 내한서(耐寒暑).”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메추라기는 5 ()을 보해 주고 중기를 더해 주며 근골을 튼튼하게 해주고 추위와 더위를 이기게 해준다.” 는 뜻이다.

2. 후장지리(厚腸止痢) 작용이 있으므로 구리(久痢)와 허리(虛痢)를 치료해 준다. 의학입문(醫學入門)에 보면 허리곤권(虛痢困倦), 곡식난화(穀食難化), 복미통혹대통(腹微痛或大痛), 병무노책(幷無努責), 본품주구리허리(本品主久痢虛痢).”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질로 인하여 피곤하고 졸리며 음식물을 소화시키지 못하고 배가 살살 아프기도 하고 복통이 심하기도 할때 메추라기는 구리와 허리를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3. 거습통비(祛濕通痺) 작용이 있다. 식료본초에 보면 풍한습삼기잡지(風寒濕三氣雜至), 합이위비(合而爲痺), 습편승자위수비(濕偏勝者爲首痺), 일명습비(一名濕痺), 관절통이중침(關節痛而重沈), 용본품유거습통비지효(用本品有祛濕通痺之效).”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과 한()과 습()의 세 가지 사기(邪氣)가 뒤 섞이고 합해서 비()를 발생시킨다. 습이 편중된 경우 비중에서 우두머리 비이며 습비라고 칭하는데 관절통이 가장 심하다. 메추라기는 인체내에서 습을 제거시켜 줌으로 비증(痺症)의 치료에 유효하다.” 는 뜻이다. ()? 바람과 습기와 추위로 인하여 기혈(氣血)이 폐색(閉塞)되어 지체에 통증이 오거나 마비됨을 일컫는다.

4. 선폐이습(宣肺利濕) 작용이 있다. 메추라기는 습체수종(濕滯水腫)을 소종(消腫)시켜 준다.

5. 소적제감(消積除疳) 작용이 있다. 소아(小兒) 감리(疳痢)에 유효하다. 유문사친(儒門事親)에 보면 부병감리(夫病疳痢), 미곡불화(米穀不化), 일야무도(日夜無度), 복중뇌명(腹中雷鳴), 하리완곡출(下痢完穀出), 겸견형체소수(兼見形體消瘦), 태소맥약(苔少脈弱), 치이본품(治以本品), 보중익기(補中益氣), 기리점지(其痢漸止).”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감리에 걸리면 음식물을 소화시키지 못함으로 항상 뱃속에서 우뢰 소리가 나고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이 설사와 함께 나온다. 겸하여 몸이 수척해지고 설태는 적고 맥은 약한데 메추라기를 복용하면 치료된다. 메추라기는 보중익기 해줌으로 설사를 멈추게 해준다.” 는 뜻이다.

용법과 용량은 내복(內服)의 경우 50g 내지 100g 인데 삶아서 먹거나 끓여서 탕을 만들어 복용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 보면 (), 대여계추(大如鷄雛), 두세이무미(頭細而無尾), 모유반점(毛有斑點), 심비(甚肥), 웅자족고(雄者足高), 자자족비(雌者足卑), 기성외한(其性畏寒), 기재전야(其在田野), 야즉군비(夜則群飛), 주즉초복(晝則草伏), 인능이서오취지(人能以聲呼取之), 축령투박(畜令鬪搏).”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메추라기는 큰 병아리와 같고 머리는 작으며 꼬리는 없다. 털에 반점이 섞여있고 살이 통통 쪄있으며 수놈의 다리는 길고 암놈의 다리는 짧다. 메추라기는 추위를 싫어한다. 전야(田野)에 살고 밤에는 모여서 날아 다니고 낮에는 숲속에 숨어 있다. 사람들이 메추라기를 소리쳐 불러내어 붙잡을 수 있으며 집에서 길러 메추라기 끼리 싸우게 하여 승부를 결정하는 투계(鬪鷄)와 비슷한 놀이에 사용한다.” 는 뜻이다.

()이란? 소화불량과 기생충에 의하여 생기는 소아 영양불량증이다. 청색증(靑色症)과 얼굴이 창백하기도 하고 누르스름 한 혈색이 나쁜 색깔도 나타낸다. 신체는 여위고 올챙이 배를 형성하며 만성 설사를 한다.

메추라기는 동물 인삼(動物人蔘)” 이란 미칭(美稱)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보양지상품(補養之上品)이다.

북송(北宋)의 시인 장래(張來)비토화분순(肥兎和奔), 일석현포옥(日夕懸庖屋).” 이라고 시()를 읊었다. 다시 말하면 살이 찐 토끼와 빠릇 빠릇한 메추라기들! 항상 부엌의 선반 위에 걸려 있구나!” 는 뜻이다.

또 민간에 전해 내려 오는 속어(俗語)요흘비금환수암순(要吃飛禽還數鹌鹑).” 이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날짐승을 먹되 몇 마리의 메추라기는 반드시 먹을 지어라.” 는 뜻이다.

장래(張來 : 서기 1046 서기 1106 )의 자()는 문잠(文潛)이고 호()는 가산(柯山)이며 회음(淮陰 : 현재 江蘇省 淸江) 사람이다. 북송(北宋)의 문학가로써 방안시(龐安時)와 절친한 친구이며 소동파(蘇東坡)의 제자들 중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 : 張來, 黃庭堅, 秦觀, 晁補之)의 한 사람이다. 장래는 문학가로써 의학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치풍방(治風方)과 죽기(粥記) 등 의서(醫書)를 저술하였다.

암순구기두중탕(鹌鹑枸杞杜仲湯)

암순구기두중탕(鹌鹑枸杞杜仲湯)



원료 : 암순(鹌鹑 : 메추라기) 한 마리, 구기자 30g , 두중(杜仲) 10g



제법 :

1. 메추라기의 머리를 물속에 2, 3 분 동안 집어 넣어 죽인 다음 털을 벗기고 창자를 끄집어 내어 버리고 깨끗이 씻어 잘게 썬다.

2. 구기자와 두중은 명주로 만든 주머니 속에 집어 넣어 메추라기 고기와 함께 솥안에 넣고 처음엔 센불로 끓이다가 얕은 불로 30 분 동안 끓인다.

3. 약주머니는 꺼내고 식염과 황주와 생강과 파와 양념을 집어 넣고 다시 한번 끓인 후 복용한다.



공효 : 보익간신(補益肝腎), 강근장골(强筋壯骨)



응용 : 간신허(肝腎虛)로 인한 요슬산연(腰膝酸軟)과 경골무력(脛骨無力 : 정강이에 힘이 없는 증상), 두훈(頭暈)과 안화(眼花) 등을 치료해 준다. 중노년인들의 강근건골(强筋健骨)에 유익한 약선(藥膳)이다.



복법 : 반찬으로 먹어도 좋으며 고기도 먹고 국물을 모두 마신다.

수오흑두탕(首烏黑豆湯)

수오흑두탕(首烏黑豆湯)



원료 : 수오(首烏) 6g, 흑두(黑豆 : 검정콩) 30g



제법 :

1. 수오를 30 분 동안 수침포(水浸泡)하고 난 후 센불로 끓이기 시작하여 펄펄 끓으면 바로 얕은 불로 1 시간 동안 더 끓인다. 수오의 찌꺼기는 건져낸다.

2. 검정콩은 별도로 물에 불린 후 한 시간 동안 삶는다.

3. 하수오 삶은 물속에 검정콩을 다시 집어 넣어 30 분 동안 끓인다. 소금을 약간 가미한다.



공효 : 자음양혈(滋陰養血), 보신강력(補腎强力)



응용 : 신기허약(腎氣虛弱)으로 인하여 허리에 힘이 없고 자주 아픈 사람, 체질이 허약하고 음혈이 부족하며 두훈(頭暈)과 안화(眼花)와 순갑창백(脣甲蒼白 : 입술과 손톱이 창백함)인 사람에게 적합하며수발조백(鬚髮早白)을 예방해 준다.



복법 : 밥 반찬이나 안주로 사용해도 좋다.

2011년 3월 16일 수요일

삼조탕(蔘棗湯)

삼조탕(蔘棗湯)



원료 : 인삼(人蔘) 6g, 대추 10 개



제법 : 인삼은 잘게 썬다. 물 700 cc 에 인삼과 대추를 1 시간 동안 담그어 불린다. 처음 센불로 끓인 다음 얕은 불로 1 시간 동안 끓인다. 설탕을 약간 가미한다.



공효 : 보익비폐(補益脾肺), 영신익지(寧神益智)



응용 : 비폐기허(脾肺氣虛)로 인한 피로감, 소기나언(少氣懶言 : 기운이 없어 말하기 싫어함), 언어저미(言語低微 : 말소리가 나즈막함), 불사음식(不思飮食 : 음식 먹고 싶은 생각이 전혀 없음) 등에 적합하다. 양생보건 음식이다.



복법 : 아침 저녁으로 하루 두 차례 매차 50cc 씩 복용한다. 인삼 찌꺼기와 대추 찌거기도 씹어 먹여야 한다.



대추 속에는 풍부한 비타민이 들어 있기 때문에 간장(肝臟)을 보호해 주고 근력을 튼튼하게 해주며 연년익수 해주고 노쇠를 방지해 준다.



옛날 부터 전해 내려 오는 민간 속어(俗語)에 ”일천흘삼조(一天吃三棗), 일배자불현노(一輩子不顯老)” 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하루에 대추 3 개 씩만 먹으면 일평생 늙어 보이지 않는다.” 는 뜻이다.



삼조탕(蔘棗湯)을 복용할 때 무(蘿蔔)을 같이 먹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비허(脾虛) 겸 기체곤습(氣滯困濕)한 사람은 삼조탕(蔘棗湯)을 기용(忌用)해야 한다.

용안조인검실탕(龍眼棗仁芡實湯)

용안조인검실탕(龍眼棗仁芡實湯)

원료 : 용안육 12g, 초산조인(炒酸棗仁) 12g ,검실(芡實) 12g

제법 :500cc 속에 이상 세 가지 약물을 집어 넣고 30 분 동안 침포(浸泡)하여 불린 다음 30 분 동안 끓인다. 100cc 의 약물을 다른 그릇 속에 따른다. 다시 약찌꺼기 속에 새물 300cc 를 섞어 얕은 불로 20 분 동안 끓인다. 100cc 의 약물 만 다른 그릇에 따른다. 먼저 따른 100cc 와 후에 따른 100cc 를 합친다.

공효 : 보익심비(補益心脾), 안신삽정(安神澁精)

응용 : 중노년인들이 근심과 걱정으로 인하여 피곤해 지침과 장기간 정신 긴장으로 인한 심비기허(心脾氣虛)와 심계(心悸)와 기단(氣短)과 야간중 불안감과 건망증과 심신불교(心腎不交)와 유정(遺精)과 허번(虛煩) 등을 치료해 준다.

복법 : 잠자기 전에 200cc 를 모두 마신다.


장양구육탕(壯陽狗肉湯)

장양구육탕(壯陽狗肉湯)



원료 : 구육(狗肉) 200g, 토사자 3g, 제부자(制附子) 1.5g 제법 : 개고기를 물속에 넣어 끓인 후 꺼내어 찬 물속에 넣어 피국물을 빼낸다. 토사자와 부자는 명주로 만든 주머니 속에 집어 넣어 개고기와 함께 파와 식염을 넣고 2 시간 끓인다. 개고기가 푹 익었으면 약주머니와 파와 생강을 건져내고 양념을 하여 먹는다.



공효 : 온신난비(溫腎暖脾), 조양익기(助陽益氣)



응용 : 중노년인들의 비신양허로 인한 양위(陽痿 : Impotence)와 조설(早泄)과 정신부진과 식욕부진과 요슬산연과 피로감과 성기능 저하를 치료해 준다.



복법 : 개고기는 양념을 하여 먹고 국물도 마신다.



구육(狗肉)의 성(性)은 온열(溫熱)이고 동계(冬季)에 복용하는 것이 좋다. 정신병에 걸린 개고기는 먹지 못하며 개고기와 마늘과 마름(菱)은 함께 먹지 못한다.

강장주(康壯酒)

강장주(康壯酒)



원료 : 구기자 45g, 진곡(陳曲) 45g, 국화 45g, 숙지 45g, 육계 20g, 육종용 20g, 백주 1500g



제법 : 모두 가루내어 명주로 만든 주머니 속에 집어 넣어 병속에 술과 함께 집어 넣어 밀봉해서 봄과 여름철에는 15 일간, 가을과 겨울철에는 20 일 동안 저장해 두고 하루에 한 번씩 흔들어 준다.



공효 : 익간신(益肝腎), 오수발(烏鬚髮)



응용 : 간신(肝腎) 부족으로 인한 수발조백(鬚髮早白), 피로감, 요슬연약(腰膝軟弱)에 유익하다. 중노년인들이 구복(久服)하면 신체가 건강해 지고 두발이 검어지고 광택이 난다.



복법 : 하루 두 차례 공복에 15g 씩 따뜻하게 데워서 마신다.

오수주(烏鬚酒)

오수주(烏鬚酒)



원료 : 생지 20g, 숙지 20g, 하수오 20g, 구기자 20g, 백국화 20g, 당귀 10g, 감초3g, 백주 2000g



제법 : 이상 7 가지 한약을 잘게 썰어서 명주로 만든 주머니 속에 집어 넣어 자기병이나 유리병 속에 술과 함께 집어 넣어 30 일 동안 보관해 두고 하루에 한 번씩 흔들어 준다.



공효 : 자보간신(滋補肝腎), 오수흑발(烏鬚黑髮)



응용 : 간신정휴(肝腎精虧)로 인한 수발조백(鬚髮早白)과 두훈(頭暈)과 안화(眼花) 등을 치료해 준다.



복법 : 아침과 저녁 하루 두 차례 매차 30g 씩 마신다.

구기석결명주(枸杞石決明酒)

구기석결명주(枸杞石決明酒)



원료 : 석결명(石決明) 30g, 구기자 30g, 백주 500g



제법 : 석결명과 구기자를 잘게 부순다. 명주로 만든 주머니 속에 집어 넣어 백주와 함께 유리병 속에 집어 넣어 봄과 여름철에는 15 일 동안, 가을과 겨울철에는 20 일 동안 밀봉해 두고 하루에 한 번씩 흔들어 준다.



공효 : 보신명목(補腎明目)



응용 : 신허간왕(腎虛肝旺)으로 인한 안목건삽(眼目乾澁 : 눈이 건조하고 까끌거림)과 시물불명(視物不明 : 물건이 흐릿하게 보임)과 백내장과 영풍유루(迎風流淚 :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흐름) 등을 치료해 준다.



복법 : 하루 두 차례 매차 15g 씩 마신다.

자오가주(刺五加酒)

자오가주(刺五加酒)



원료 : 자오가 30g, 백주 500g



제법 : 자오가를 가루내어 술과 함께 병속에 집어넣어 15 일 동안 밀봉해 두고 하루에 한 차례 씩 흔들어 준다.



공효 : 익기건비(益氣健脾), 온보심신(溫補心腎)



응용 : 심비신허(心脾腎虛)로 인한 불면증과 다몽증(多夢症)과 심계(心悸)와 건망증과 피로감과 식욕부진과 다뇨증(多尿症)과 사지냉증에 유효하다.



복법 : 하루 두 차례 매차 15g 씩 마신다.



”영득일파오가(寧得一把五加), 불용금옥만차(不用金玉滿車)” 란 말이 전해 내려 오고 있을 정도로 자오가는 고대로 부터 사용해 온 보익약(補益藥)이다.



다시 말하면 ”자오가를 한 웅큼 만 갖고 있으면 금(金)과 옥(玉)을 한 마차 갖고 있는 것 보다 낫다.” 는 뜻이다.



또 계향실잡기(桂香室雜記)에 보면 다음과 같은 시(詩)가 한 수(首) 적혀 있다.



”백발동안수(白髮童顔叟), 산전축류화(山前逐骝驊).

문옹하소득(問翁何所得), 상복오가주(常服五加酒)”



다시 말하면 ”검은 갈기를 가진 붉은 말을 쫓아 앞산 까지 달려가는 동안의 백발 노인을 보고 “그러한 정력이 어디서 나오십니까?”고 물으니 “오가주(五加酒)를 상복했노라.” 고 대답 하더라” 는 뜻이다.



현대 약리 실험 결과 자오가는 인체의 면역기능을 증진시켜 주고 항피로(抗疲勞)와 항암(抗癌) 작용이 있다고 나타났다.

황기주(黃芪酒)

황기주(黃芪酒)



원료 : 황기(黃芪) 60g , 미주(米酒) 500g



제법 : 황기를 거칠게 부수어 병속에 술과 함께 집어넣어 25 일 동안 밀봉해 두고 하루에 한 번씩 흔들어 준다.



공효 : 익기건비(益氣健脾), 보폐고표(補肺固表)



응용 : 비폐기허(脾肺氣虛)로 인한 심계(心悸)와 피로감과 식욕부진과 기단(氣短)과 다한(多汗)과 감기에 쉽게 걸리는 사람들에게 유익하다.



복법 : 하루에 두 차례 매차 20g 씩 복용한다.

숙지구기주(熟地枸杞酒)

녹용산약주(鹿茸山藥酒)

녹용산약주(鹿茸山藥酒)



재료 : 녹용 15g, 회산약(淮山藥:마) 30g, 백주(白酒) 500g



제법(制法) : 녹용과 산약을 불에 쬐어 말린 후 가루로 만들어 명주로 만든 주머니 속에 집어 넣어 술과 함께 병속에 20 일 동안 침포(浸泡)해 두고 하루에 한 번 흔들어 준다.



공효 : 보익신양(補益腎陽), 고섭방광(固攝膀胱)



응용 : 신양허약(腎陽虛弱)으로 인한 야뇨빈다(夜尿頻多)와 근골연약과 소복냉통과 양위(陽痿 : Impotence)와 활정(滑精) 등을 치료해 준다.



복법(服法) : 하루 두 차례 매차 20g 씩 마신다.

희춘주(熙春酒)

희춘주(熙春酒)



원료 : 구기자 30g ,용안육 30g ,여정자 30g ,생지 30g ,선령비 30g, 녹두 30g, 시병(枾餠 : 곶감) 50g, 백주 2000g



제법 : 선령비와 여정자와 생지와 녹두는 불에 말린 후 가루낸다. 구기자와 곶감과 용안육은 잘게 부순다. 이상 7 가지 한약을 명주로 만든 주머니 속에 집어 넣어 술과 함께 자기병이나 유리병 속에 집어 넣어 30 일 동안 밀봉해 두고 하루에 한 번씩 흔들어 준다.



공효 : 온신보폐(溫腎補肺)해 줌으로 피부가 아름다워 지고 모발이 튼튼해 진다.



응용 : 얼굴과 모발이 윤택해 지고 연년익수 해주며 노인들의 오래된 기침을 치료해 준다.



복법 : 하루 두 차례 매차 20g 씩 마신다.

산약유육주(山藥萸肉酒)

산약유육주(山藥萸肉酒)



원료 : 영지(靈芝) 15g, 산약 15g, 산유육 15g, 오미자 15g, 미주 1000g



제법(制法) : 이상 네 가지 한약을 잘 말린 후 가루내어 자기병이나 유리병 속에 술과 함께 집어넣어 30 일 동안 밀봉해 두고 하루 한 차례 씩 흔들어 준다.



공효 : 자신윤폐(滋腎潤肺), 익정(益精)



응용 : 폐신음허(肺腎陰虛)로 인한 허로해수(虛勞咳嗽), 구건진소(口乾津少), 요슬산연(腰膝酸軟), 유정(遺精), 도한(盜汗), 골증조열(骨蒸潮熱 : 소모성 질환으로 인하여 얼굴에 홍조를 띠고 오후열과 도한이 발생함) 등을 치료해 준다.



복법 : 하루 두 차례 매차 30g 씩 마신다.

선령비주(仙靈脾酒)

선령비주(仙靈脾酒)



원료 : 선령비 100g, 미주(米酒) 500g



제법(制法) : 선령비를 그늘에서 말려 잘게 썰어 명주로 만든 주머니 속에 넣어 자기병이나 유리병 속에 술과 함께 집어넣어 30 일 동안 밀봉해 두고 매일 한 번씩 흔들어 준다.



공효 : 보신장양(補腎壯陽), 거풍제습(祛風除濕)



응용(應用) : 신양허약으로 인한 양위(陽痿 : Impotence)와 조설(早泄)과 여성 불임과 풍습비통(風濕痺痛)과 사지경련(쥐)과 몸이 마비되어 감각이 없는 증상을 치료해 준다.



복법 : 하루 두 차례 공복에 30g 씩 마신다.



선령비는 술과 함께 복용하면 효과가 더 있다. 선령비는 장양조화(壯陽助火) 작용이 있음으로 유정자(遺精者)나 양강이거자(陽强易擧者)는 기용(忌用)해야 한다.

2011년 3월 15일 화요일

번목별

번목별(蕃木鱉)



마전자(馬錢子)는 본초강목(本草綱目)에 번목별(蕃木鱉)이라고 처음 기재되었다.



마전과 식물 마전의 성숙한 종자인데 모양이 둥글고 납작하여 흡사 말의 장식품(馬之連錢) 처럼 생겼기 때문에 마전자란 이름을 얻었다. 미(味)는 고(苦)이고 성(性)은 한(寒)이며 유독(有毒)하고 간경(肝經)과 심경(心經)으로 들어간다.



마전자는 번목별감(蕃木鼈碱 : Strychnine : C21H22O2N2)과 마전자감(馬錢子碱 : Brucine : C23H26O4N2) 등 여러 종류의 생물감(生物碱 : 알칼로이드)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중 약 45% 는 Strychnine(스트리키닌)이며 가장 중요한 성분이다.



대뇌피질의 흥분작용과 억제작용을 조절해 주고 소화액을 분비시켜 주며 호흡계통에 작용하여 진해(鎭咳) 작용을 해주고 횡문근(橫紋筋)과 평활근(平滑筋)과 심장근육의 장력(張力)을 높여주며 피부 진균(眞菌) 억제작용이 있고 소종이인(消腫利咽) 작용이 있어 인후홍종통과 후비(喉痺)를 치료해 준다.



임상 보도에 의하면 위암과 식도암과 자궁경암의 치료에 제마전자(制馬錢子) 15g, 계내금(鷄內金) 15g, 단삼 15g, 전갈(全蝎) 15g, 오공(蜈蚣) 9g, 웅황(雄黃) 30g 을 가루내어 꿀과 배합해서 오동자(梧桐子) 크기의 환(丸)을 지어 매차 1g 내지 3g 씩 하루 세 차례 황주나 온수로 복용한다.



또 마전자와 은화(銀花)와 하고초(夏枯草)와 생감초를 배합하여 암 치료에 사용하고 있다.



완고성(頑固性) 풍습비통(風濕痺痛)의 치료는 다음과 같다.



마전자 1 냥(兩)과 마황(麻黃) 1 냥(兩)을 함께 섞어 끓인 후 마황은 건져 내어 버리고 마전자 만 깨끗이 씻은 모래 속에 넣고 볶은 다음 건져내어 가루로 만든다. 매차 2 푼(分 : 약 1g) 씩 복용한다. 점차 복용량을 늘려 5 푼(分 : 약 2.5g) 까지 황주(黃酒) 한 숟갈로 넘기거나 온수로 넘긴다. 처음엔 약간의 두훈 반응dl 있는데 치료되고 있다는 증거이다. 마전자의 독성은 강함으로 다복(多服), 구복(久服), 오복(誤服)은 금물이다.



고서(古書)에 보면 ”약약불명현(若藥不瞑眩), 궐질불추(厥疾不瘳)”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약을 복용한 후 명현 현상이 없으면 그 사람의 병은 낫지 않는다.” 는 뜻이다.



이 말은 고질병에 준열약(峻烈藥)을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경미한 두훈 현상은 두려워 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마전자는 이러한 약 종류에 속한다.



마전자 중독시 향유(香油 : 참기름) 30g을 설탕물에 타서 마시거나 육계(肉桂) 6g 을 끓인 물을 복용시켜야 한다.



제마전자(制馬錢子) 만드는 법은 다음과 같다.



마전자 한 근(斤)에 깨끗한 모래 3 근(斤)을 함께 섞어 볶아서 사용해야 된다. 마전자의 표면에 붙어있는 용모(茸毛 : 여리고 부드러운 털)은 창백색(蒼白色)인데 종갈색(棕褐色)으로 변할 때 까지 볶아야 된다.



의방적요(醫方摘要)에 보면 ”치후비작통(治喉痺作痛), 이지배오산두근청목향연말취후(以之配伍山豆根靑木香硏末吹喉).”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후비동통의 치료에는 마전자와 산두근과 청목향을 모두 가루내어 목구멍 속으로 훅! 불어 넣으면 치료된다.” 는 뜻이다.



또 본초경소(本草經疏)에 보면 ”기혈허약(氣血虛弱), 비위불실자(脾胃不實者), 신물용지(愼勿用之).”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기혈이 허약한 사람과 비위가 약한 사람은 마전자를 삼가 사용해야 한다.” 는 뜻이다.



마전자는 간증(癎症 : 간질병)의 치료에도 사용된다. 마전자 씨 속에는 1.853% 의 Strychnine 이 포함되어 있고 마전자의 피모(皮毛) 속에는 0.793% 의 Strychnine 이 포함되어 있다.

2011년 3월 14일 월요일

홍안주(紅顔酒)

홍안주(紅顔酒)



원료 : 핵도인(核桃仁) 60g, 홍조(紅棗) 60g, 백밀(白蜜) 60g, 행인(杏仁) 30g, 소유(酥油 : 버터) 30g, 백주(白酒) 1500g



제법(制法) : 핵도인과 홍조(씨는 제거)와 행인은 잘 말린 후 잘게 부순 다음 술속에 집어넣고 백밀과 소유는 가열하여 녹힌 다음 술 속에 집어넣어서 밀봉한다. 21 일 동안 매일 한 차례 흔들어 준다.



공효 : 보비익신(補脾益腎), 주안(駐顔 : 얼굴을 늙지않게 해줌), 연년익수(延年益壽)



응용 : 비신(脾腎)부족으로 인하여 얼굴색이 정상이 아닌 사람에게 적합하다. 두훈(頭暈)과 목화(目花)와 요슬산연(腰膝酸軟) 등을 치료해 준다. 장기 복용할 경우 얼굴 색깔이 붉그스레 해지고 윤기가 나며 허리가 튼튼해 지고 젊어 진다.



복법(服法) : 하루에 두 차례 매차 15g 씩 복용한다.



행인(杏仁)은 고행인대(苦行仁甙 : Amygdalin)란 유독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용하기 전에 껕껍질을 벗긴 다음 맑은 물속에 이틀 동안 담그어 두고 물을 새물로 갈아 준다. 비허습성(脾虛濕盛)으로 인하여 대변이 무른 사람은 기복(忌服)한다.

회춘주(回春酒)

회춘주(回春酒)



원료 : 인삼(人蔘) 10g, 여지육(荔枝肉) 50g, 백주(白酒) 500g



제법(制法) : 인삼은잘게 썰고 여지의 씨는 제거시킨 다음 잘게 썬다. 이상 두 가지 한약을 명주로 만든 주머니 속에 넣고 백주와 함께 섞어 병속에 넣고 밀봉해 둔다. 20 일 동안 하루 한 차례 흔들어 준다.



공효 : 조양도(助陽道), 익정신(益精神)



응용 : 중노년인들의 양위(陽痿)와 조설(早泄)을 치료해 준다.



복법(服法) : 하루 두 차례 아침과 저녁으로 30g 씩 복용한다.

해마주(海馬酒)

해마주(海馬酒)



원료 : 해마(海馬) 30g, 백주(白酒) 500g



제법(制法) : 해마와 백주를 함께 섞어 병속에 집어넣고 밀봉한다. 15 일 간 매일 한 차례 흔들어 준다.



공효 : 보신조양(補腎助陽)



응용 : 신양허약(腎陽虛弱)으로 인한 양위(陽痿)와 조설(早泄)과 요슬산연(腰膝酸軟) 등에 적합하다.



복법(服法) : 하루 두 차례 매차 10g 씩 복용한다.



해마의 성(性)은 온(溫)이고 기혈(氣血)을 조절해 주기 때문에 음허내열자(陰虛內熱者)와 양강이거자(陽强易擧者)는 기용(忌用)해야 한다.

녹용충초주(鹿茸蟲草酒)

녹용충초주(鹿茸蟲草酒)



원료 : 녹용 20g, 동충하초(冬蟲夏草) 90g, 백주(白酒) 1500g



제법(制法) : 녹용편(鹿茸片)과 동충하초(冬蟲夏草)와 백주를 함께 섞어 병속에 집어넣고 밀봉한다. 매일 한 차례 흔들어 준다. 7 일 후 부터는 3 일 마다 한번 씩만 흔들어 준다. 20 일 후 부터 마시기 시작한다.



공효 : 익정혈(益精血), 온신양(溫腎陽)



응용 : 신양허약(腎陽虛弱)으로 인한 양위(陽痿)와 정소(精少)와 불임(不姙)과 성욕냉담증(性慾冷淡症)에 적합하다.



복법(服法) : 매일 잠자기 전에 30g 씩 복용한다.



녹용은 웅성(雄性) 매화록(梅花鹿)의 유각(幼角)이나 마록(馬鹿)의 아직 골화(骨化)되지 않은 유각(幼角)이 생정익수(生精益壽)의 명귀(名貴) 보품(補品)이다. 녹용은 방병(防病) 효과와 치병(治病) 효과가 있으며 연년익수 해준다. 녹용의 성(性)은 온(溫)이기 때문에 음허양항자(陰虛陽亢者)와 평소 내열(內熱)이 있는 자와 토혈(吐血)이나 뉵혈(衄血)이 있는 자는 기용(忌用)해야 한다.

창포주(蒼蒲酒)

창포주(菖蒲酒)



원료 : 창포(菖蒲) 60g, 찹쌀로 빚은 미주(米酒) 500g



제법(制法) : 창포를 잘게 썰어 명주로 만든 주머니 속에 집어 넣어 술과 함께 병속에 집어넣고 밀봉한다. 40 일 동안 매일 한 번씩 흔들어 준 후에 마시기 시작한다.



공효 : 통이규(通耳竅), 조심신(調心神)



응용 : 신허(腎虛)로 인한 이명(耳鳴)과 청력감퇴자에게 적합한 술이다. 건강한 사람도 창포주를 상음하면 귀와 눈이 밝아지고 흰 머리카락이 검어지며 피부 색깔이 윤택해 진다.



복법(服法) : 하루에 두 차례 매차 30g 씩 온복(溫服)한다.

상심주(桑椹酒)

상심주(桑椹酒)



원료 : 신선한 상심자(桑椹子 : 오디) 100g, 백주(白酒) 500g



제법(制法) : 신선한상심을 갈아서 명주로 만든 주머니 속에 집어넣고 백주와 함께 병속에 담그어 밀봉해 둔다. 15 일 간 매일 한 차례 흔들어 준다.



공효 : 자보간신(滋補肝腎), 양혈윤조(養血潤燥)



응용 : 간신부족으로 인한 두훈(頭暈)과 이명(耳鳴)과 시력감퇴와 수발조백(鬚髮早白)와 혈허장조(血虛臟燥)로 인한 변비에 적합하다.



복법(服法) : 하루에 두 차례 매차 20g 씩 복용한다.



상심자(桑椹酒)의 성미(性味)는 감(甘), 한(寒)이고 활장(滑腸)해 주는 작용이 있음으로 비위허한(脾胃虛寒)으로 인한 대변희박자(大便稀薄者)들에게 부적합하다.

구기주(枸杞酒)

구기주(枸杞酒)



원료 : 구기자(枸杞子) 200g, 백주(白酒) 300g



제법(制法) : 구기자를 잘게 부수어 술과 함께 병속에 집어넣어 밀봉해 둔다. 매일 한 차례 씩 15 일 동안 흔들어 준 후 마시기 시작한다. 모두 마시고 난 후 다시 백주 300g 을 섞어 마시고 마지막으로 남은 찌꺼지는 설탕에 재워 두었다가 먹는다.



응용 : 간신음허(肝腎陰虛)로 인한 목암(目暗)과 목삽(目澁 : 눈이 뻑뻑함)과 약시(弱視)와 영풍유루(迎風流淚 :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나오는 증상) 등을 치료해 준다.



복법(服法) : 매일 20g 씩 수면전에 복용한다.



구기자의 미(味)는 감(甘), 산(酸)이다. 살이 찐 것이 좋고 색깔이 빨간 것이 좋으며 부드러운 것이 좋다.



유송석(劉松石)의 보수당방(保壽堂方)에 보면 ”유괴인물장모(有怪人物張某), 인칭적각장(人稱赤脚張), 향의씨현일위노인전수료식용구기자적방법(向猗氏縣一位老人傳受了食用枸杞子的方法), 노인견지식용(老人堅持食用), 복지수백여(服之壽百餘), 행주여비(行走如飛), 발백변흑(髮白變黑), 치락경신(齒落更新), 양사강건(陽事强健).”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적각장(맨발의 장씨)이라고 불리는 이인(異人) 장모씨(張某氏)는 의씨현(猗氏縣 : 현재 山西省 臨猗縣)에 살고 있는 한 노인에게 구기자 복용법을 알려 주었다. 의씨현 노인은 계속 구기자를 복용하여 일 백여 세 까지 수(壽)를 누리었고 날아가듯 빨리 걸었으며 흰 머리카락이 검게 변하였고 빠진 이빨이 다시 돋아났으며 성생활도 잘 할수 있었다.” 는 뜻이다.



또 당(唐) 나라 때 유우석(劉禹錫 : 서기 772 년 – 서기 842 년)의 “구기정(枸杞井)”이란 시(詩)를 보면 ”승방약수의한정(僧房藥樹依寒井), 정유천천약유령(井有淸泉藥有靈). 취대엽생롱석추(翠黛葉生籠石甃), 은홍자숙조동병(殷紅子熟照銅甁). 지번본시선인장(枝繁本是仙人杖), 근노능성서견형(根老能成瑞犬形), 상품공능감로미(上品功能甘露味), 환지일작가연령(還知一勺可延齡).”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절간의 깨끗하고 차가운 우 물 곁에 자라는 약 나무 그 우물 물속에는 신령이 깃들어 있다네! 미인의 눈썹과 같은 구기의 잎사귀는 우물가 돌벽을 에워싸 대바구니를 만들고, 빨갛게 진홍색으로 익은 구기자 열매는 구리로 만든 병에 비취이누나! 가지가 많고 잎이 무성한 구기나무의 뿌리는 선인(仙人)들의 지팡이로 사용한다네! 오래 묵은 구기 나무의 뿌리는 상서로운 개의 모양을 하고 있네! 상품 구기자의 맛은 달콤하고 한 주걱 만 먹어도 장수한다는 것을 알았다네!” 라는 뜻이다.

황정주(黃精酒)

황정주(黃精酒)



원료 : 황정(黃精 : 둥굴레) 20g, 미주(米酒) 500g



제법(制法) : 황정을 가루내어 병속에 술과 함께 집어넣어 밀봉해 두고 매일 한 차례 흔들어 준다. 그리고 14 일 후부터는 일 주일에 한 번만 흔들어 준다. 30 일 후 부터 마시면 된다.



공효 : 보비윤폐(補脾潤肺), 오수흑발(烏須黑髮)



응용 : 신허정휴(腎虛精虧)로 인한 두발조백(頭髮早白 : 머리카락이 나이에 비하여 일찍 희어짐)과 피부가 건조하여 생기는 가려움증과 심번(心煩)과 불면증을 치료해 준다. 복법(服法) : 아침, 저녁으로 하루에 두 차례 매차 15g 씩 복용한다. 황정은 자니조담품(滋腻助痰之品)임으로 체내에 습사(濕邪)를 쉽게 조성시킨다. 그러므로 담습옹체(痰濕壅滯)로 인한 소화불량자와 위완창만(胃脘脹滿)과 식욕부진이 있는 사람은 기용해야 한다. 그리고 비위허약으로 인하여 설사가 있는 사람도 신용(愼用)해야 된다.

영지주(靈芝酒)

영지주(靈芝酒)



원료 : 영지(靈芝) 30g, 황주(黃酒) 500g



제법(制法) : 영지를 잘게 부수어 황주와 함께 병속에 집어넣어 20 일 이상 보관해 두고 하루에 한 번씩 흔들어 준다.



공효 : 양심안신(養心安神), 보폐건비(補肺健脾)



용용 : 심기혈허(心氣血虛)로 인한 심계(心悸), 불면증, 건망증, 식욕부진,식후복창만(食後腹脹滿), 신경쇠약, 신체허약한 중노년인들에게 적합한 술이다.



복법(服法) : 하루에 두 차례 매차 20g 씩 복용한다.



영지의 성미(性味)는 감(甘), 평(平)이다. 전통적으로 자보강장(滋補强壯)과 부정고본(扶正固本) 해주는데 사용하는 진귀한 약물이다. 그러나 외감(外感)으로 인한 발열증상과 담열해수(痰熱咳嗽)가 있을 때는 신용(愼用)한다.

음양곽계혈등주(淫羊藿鷄血藤酒)

음양곽계혈등주(淫羊藿鷄血藤酒)



원료 : 음양곽(淫羊藿) 50g, 계혈등(鷄血藤) 50g, 미주(米酒) 500g



제법(制法) : 음양곽과 계혈등을 그늘진 곳에서 말려서 잘게 부수어 명주로 만든 주머니 속에 집어넣어 자기 그릇이나 유리병 속에 술과 함께 섞어 밀봉해서 30 일 동안 보관해 두고 하루에 한 번씩 흔들어 준다.



공효 : 온신통락(溫腎通絡), 양근건골(養筋健骨) 응용 : 신양허약(腎陽虛弱)으로 인한 요슬냉통(腰膝冷痛)과 근골동통(筋骨疼痛)에 적합하다.



복법(服法) : 하루에 두 차례 매차 20g 씩 복용한다.



음양곽은 선령비(仙靈脾)라고도 부른다. 성(性)은 온열(溫熱)이며 신양(腎陽)을 보(補)해 주는 한약이다. 술과 함께 복용할 경우 효과가 더욱 좋다. 음양곽은 장양조화(壯陽助火) 해주는 작용이 있으므로 급성열병이나 음허화왕(陰虛火旺)으로 인한 강양이거(强陽易擧)와 유정(遺精)이 있는 사람들은 기용(忌用)해야 된다. 또 양기(陽氣)가 허(虛)하지 않은 사람에게도 부적합하다.

창출주(蒼朮酒)

창출주(蒼朮酒)



원료 : 창출(蒼朮) 60g, 백주(白酒 : 배갈) 500g



제법(制法) : 창출을 불에 말린 후가루내어 명주로 만든 주머니 속에 집어넣어 술과 함께 섞어 병속에 20 일 이상 담그어 둔다. 그리고 하루에 한 차례 흔들어 준다.



공효 : 강근골(强筋骨 :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해준다), 증기력(增氣力 : 체력과 정력을 증강시켜 준다)



응용 : 풍한습비(風寒濕痺)로 인한 신중동통(身重疼痛)과 사지무력(四肢無力)과 관절통으로 걷기가 불편한 사람들에게 유익한 약주이다.



복법(服法) : 하루 두 차례 매차 20g 씩 온복(溫服)한다.



창출의 성미(性味)는 신(辛), 고(苦), 온(溫)이며 건비조습(健脾燥濕) 작용이 있고 오래 복용하면 연년익수(延年益壽)한다.



신선전(神仙傳)에 보면 ”진자황득이출요방(陳子皇得餌朮要方), 기처강씨득피병(其妻姜氏得疲病), 복지자유(服之自愈), 안색기력여이십시야(顔色氣力如二十時也).”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진씨라고 불리는 사람이 선대로 부터 물려 받은 창출 요방을 갖고 있다. 진씨의 부인 강씨(姜氏)는 피로에 지쳐 병이 들었다. 창출로 조방한 약을 복용하고 나서 병이 치유되었으며 얼굴 색깔과 정력이 이십대와 똑 같았다.” 는 뜻이다.



또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시대 의학가 갈홍(葛洪 : 서기 281 년 – 서기 341 년)의 저서 포박자(抱朴子)에 보면 ”남양문씨(南陽文氏), 한말도난호산중(漢末逃難壺山中), 기곤욕사(飢困欲死), 유인교이식출(有人敎以食朮), 수불기(遂不飢), 수십년내환향리(數十年乃還鄕里), 안색경소(顔色更少), 기력전승(氣力轉勝). 고창출일명산정(故蒼朮一名山精), 신농약경소위필욕장생(神農藥經所謂必欲長生), 상복산정시야(常服山精是也).”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남양 문씨라는 사람은 한(漢) 나라 말기에 깊은 산중으로 피난을 갔다. 먹을 것이 없어 굶주려 기아선상에 있었다. 어떤 사람이 창출 먹는법을 가르쳐 주었다. 그대로 따라서 창출을 먹고 굶주림을 면할 수 있었다. 수 십년이 지난 후 산중 생활을 청산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옛날 보다 훨씬 더 젊어지고 정력이 왕성해졌다. 그래서 창출은 산정(山精)이란 이름을 얻었다. 신농본초경에 ”장수하고 싶으면 산정을 상복해라.” 고 기록되어 있다.” 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