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내금(雞內金)으로 아이들의 영양(營養) 보충
계내금(雞內金)은 보위(補胃) 작용과 소식건위(消食健胃)의 공효(功效)가 있으며 삽정지유(澀精止遺) 작용도 있다. 전남본초《滇南本草》에 보면 ”雞內金可「寬中健脾,消食磨胃。治小兒乳食結滯,肚大筋青,痞積疳積」。"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계내금은 건비 작용과 소식 작용이 있으므로 소아들의 유식결체와 두대근청(肚大筋青: 배가 볼록하고 정맥이 드러나 보이는 증상)과 비적(痞積)과 감적(疳積) 등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고인들의 속어에 「흘사보사(吃啥補啥)」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동기상구와 같은 의미로써 같은 기관은 서로 돕는다.” 는 뜻이다. 예를 들면 「위통료흘증저두(胃痛了吃蒸豬肚)」、「심장병인의흘저심(心臟病人宜吃豬心)」、「빈혈료다흘간(貧血了多吃肝)」 등이 있다. 다시 말하면 ”위병에는 돼지의 위를 삶아서 먹고 심장병이 있는 사람은 돼지의 심장을 먹고 빈혈증이 있는 사람은 동물의 간을 먹으면 치료된다.” 는 뜻이다.
한의학 이론에도 「이장보장(以髒補髒)」이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장에 병이 있을 경우 동물의 해당 장을 복용하면 치료된다.” 는 뜻이다.
당(唐) 나라 때 명의(名醫) 손사막(孫思邈: 581 - 682)은「이장보장(以髒補髒)」과 「이장치장(以髒治髒)」의 이론(理論)을 창립한 사람이다.
신장(腎臟)은 골(骨)을 주관한다. 그러므로 양골죽(羊骨粥)은 신허증(腎虛證)으로 인하여 발생한 요슬산연(腰膝酸軟)을 치료해 준다. 또 간개규어목(肝開竅於目)의 원리에 의하여 양간(羊肝)은 야맹증(夜盲症)을 치료해 준다. 또 남자(男子)들의 명문화쇠(命門火衰)와 신양부족(腎陽不足)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남자들의 양위(陽痿)는 녹신(鹿腎: 사슴의 성기)로 치유된다.
고대(古代) 의학(醫學) 서적에 이장보장법(以髒補髒法)이 수록되어 있다. 송(宋) 나라 때 저술된 관방의서(官方醫書) 성제총록《聖濟總錄》에 보면 ”용양척갱(用羊脊羹來治療下元虛冷,(多為腎陽不足、腎虛寒)”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양의 등뼈를 삶은 국은 신양부족과 신허냉으로 인한 하원허냉증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또 송(宋) 나라 때 왕회은(王懷隱) 등이 저술한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에 보면 ”用羊肺藻治療消渴(糖尿病)”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양(羊)의 폐(肺)는 소갈병(당뇨병)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또 원(元) 나라 때 홀사혜(忽思慧)의 저서 음선정요(飲膳正要)에 보면 ”用牛肉脯治療脾胃久冷、不愛吃東西.”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쇠고기포는 비위구냉과 식욕부진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쇠고기포는 비위구냉과 식욕부진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계내금(雞內金)은 닭의 위(胃)의 외면(外面)에 있는 황금색(金黃色) 각질(角質) 내벽(內壁)이다. 《요약분제(要藥分劑)》에 보면 :「小兒疳積病,乃肝脾二經受傷,以致積熱為患。雞肫皮能入肝而除肝熱,入脾而消脾積,故後世以此治疳病也。」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소아들의 감적병은 간경과 비경이 손상을 입어 열(熱)이 적체되어 발생하는데 계내금은 간열을 제거시켜 주고 비적을 제거시켜 준다. 고로 후세 사람들은 계내금을 감적병의 치료에 사용했다.” 는 뜻이다.
계내금(雞內金)은 비린내가 남으로 인하여 아이들이 먹기 싫어한다. 그러므로 계내금을 가루내어 죽 속에 집어넣거나 빵속에 집어 넣어 먹이면 된다. 매차(每次) 3g 내지 5g 씩 복용시킨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