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2월 13일 월요일

편지금전(遍地金錢)

편지금전(遍地金錢)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에 금전초를 편지금전(遍地金錢)이라고 기록해 놓았다.

편지금전이란?

땅에 널리 퍼져있는 금전(金錢)이란 뜻이다.

본초강목습유에 보면 위엽형원(謂葉形圓), 이판대생상뇨발(二瓣對生象铙钹), 우위여전발(又謂如錢), 약용전초(藥用全草), 고명금전초(故名金錢草)”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금전초의 잎의 모양은 원형이고 두 잎이 줄기의 한 곳에 붙어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모양은 바라(哱囉) 비슷하다. 또 이르기를 잎사귀의 모양이 동전 모양의 바라와 같다고 했다. 전초(全草)를 약용한다. 고로 금전초란 이름을 얻었다.” 는 뜻이다.

금전초의 약용가치는 우연히 발견되었다.

지금부터 250여 년전 강남(江南) 산촌(山村)에 남편은 밭에 나가 일하고 부인은 집안에서 베를 짜며 행복하게 살고 있는 부부가 있었다. 어느 날 남편이 병들어 눕게 되었다. 남편의 몸에서 열이 나기 시작하더니 눈의 흰자위가 누런색으로 변하고 온몸의 색깔은 누런빛으로 변했으며 오른쪽 상복부에 참을수 없는 통증이 있었다.

며칠 후 남편은 죽어버렸다. 부인은 남편의 시체를 붙들고 대성통곡하였다. 이웃 마을에 사는 낭중(郎中)이 이 집앞을 지나가다가 통곡소리를 듣고 집안으로 들어섰다. 부인에게 남편의 사인(死因)을 물었다.

낭중은 부인의 허락을 받고 죽은 남편의 오른쪽 상복부를 해부하여 보았다. 땅콩 만큼이나 큰 돌멩이들이 담낭속에서 나왔다. 돌멩이가 담도구(膽道口)를 막아 담즙이 뭉쳐 돌이 되었으며 결국 염증을 일으켜 남편이 사망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부인은 남편을 사모하는 마음으로 비단 주머니 속에 돌멩이를 간직하여 허리에 차고 다녔다. 어느 날 부인은 산에 올라가 돼지의 사료로 사용할 풀을 뜯어가지고 하산하였다.

부인은 무의식 중에 허리에 차고 다니던 돌멩이가 절반으로 줄어든 것을 보고 깜짝놀랐다. 부인은 낭중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낭중은 돌멩이의 사이즈가 절반으로 줄어든 이유를 부인에게 물었다. 낭중은 드디어 담석증도 초약으로 치료할 수 있겠다는 것을 알았다.

낭중은 돼지의 사료 중에서 담석을 녹힐수 있는 풀을 찾아내었다. 동전과 같이 생긴 금전초였다.

금전초의 약용 역사는 길지 않다.

() 나라 때 서기 1765 년에 조학민(趙學敏)이가 저술한 본초강목습유에 결석증(結石症) 특효약으로 금전초가 수록되어 있다.

현대 약리 실험 분석 결과 금전초는 탄닌Tannin) 성분과 휘발성유()와 고미질(古味質)과 담감( : Choline)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담(利膽) 작용과 간세포의 담즙(膽汁) 분비 촉진 작용과 간담관(肝膽管) 내에 유통하는 담즙량의 증가와 담관의 내압(內壓)을 높혀주는 작용이 있다.

또 담도(膽道)의 괄약근(括約筋)을 부드럽게 해줌으로써 답즙의 배설을 용이하게 해준다. 특별히 금전초는 소변을 산성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알칼리성 조건 속에서 생기는 결석(結石)을 용해시켜 주는데 한 몫을 해준다. 이뇨배석(利尿排石) 작용과 관상동맥과 신혈류량(腎血流量)을 증가시켜 주고 항균작용도 있다.

지난 250여 년 동안 한의학에서는 중노년인들의 결석증 치료에 금전초를 사용하여 괄목할 만한 성과를 올리고 있다. 간단한 처방은 다음과 같다. 조성(組成) : 금전초 50g, 시호(柴胡), 황금(黃芩), 반하(半夏), 지실(枳實), 빈랑(槟榔), 대황(大黃), 현명분(玄明粉), 인진(茵蔯). 물론 변증시치(辨證施治)가 필요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