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2월 13일 월요일

중국 사람들의 식물(植物) 금기(禁忌)

중국 사람들의 식물(植物) 금기(禁忌)

중원(中原)이란?

중국의 한족(漢族)이 일어 난 황하의 중류(中流)와 하류(下流)에 걸친 땅으로써 하남성 대부분과 산동성 서부와 하북성과 산서성의 남부를 포함한 지역을 일컫는데 고대로 부터 각 민족들이 서로 빼앗으려고 다투던 각축장(角逐場)이었다.

왜냐하면 중원(中原) 만 차지하면 전 중국을 통치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중원(中原) 일대의 백성들은 초목(草木) 속에 귀신이 숨어 산다고 생각했었다.

그래서 조상들의 무덤위에 자라고 있는 풀을 베지 않는 풍속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남들이 얼핏 보기에 무덤의 주인이 없는 것 처럼 생각하기 쉽다.

운남성 서부에 거주하며 주로 농삿일을 하고 있는 와족()들은 평상시 생강과 바나나 잎사귀와 홍모엽(紅毛葉)과 밀화수엽(密花樹葉)과 야차엽(野茶葉) 등을 집안으로 들여오지 못하게 한다.

왜냐하면 귀신이 이러한 잎사귀 등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대만 사람들은 바나나 잎사귀를 불에 태우지 못하게 한다. 왜냐하면 바나나는 열매를 많이 맺는데 바나나 잎사귀를 태우면 자손을 끊기게 하는 행위라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또 자손들의 부귀영화에 불리하다고 믿고 있다. 그들은 또 바나나를 심을 구덩이 속에 사람의 그림자가 드리우면 불길하다고 믿고 있으며 집안에 야초가 우거져 있으면 불길하다고 믿고 있다.

나무에 신령(神靈)이 들어있다고 믿는 신앙도 있다.

옛날에 노족(怒族)과 와족()과 이족(彝族)과 태족()과 장족(壯族)과 합니족(哈尼族)과 묘족(苗族)과 보미족(普米族)과 포의족(布依族)과 포랑족(布朗族)과 경파족(景頗族)과 납서족(納西族) 등 여러 소수 민족들은 귀신이 들어있다고 믿고 있는 나무에 삼가 제사를 드리는 풍습이 있었다.

신령이 머물고 있는 수림속의 신수(神樹)는 잘라서도 않되고 그 근처에서 사냥을 해도 않되며 대변이나 소변을 봐서도 않된다. 만일 법을 어길 경우 온 동네가 재앙을 입는다.

합니족(哈尼族)과 이족(彝族)들의 경우 제룡(祭龍)이 정해져 있다. 제룡을 제용수(祭龍樹) 혹은 제용림(祭龍林)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매년 봄이 돌아오면 용의 날에 제사를 지내기 때문에 제룡이란 이름을 붙였다. 평상시 아무도 용수 근처에 얼씬도 못하게 하며 또 용림(龍林)속에 들어가지도 못하게 한다.

임신부와 산모와 월경기간 중인 부녀자들도 용림(龍林) 속에 들어가지 못한다.

물론 가축들도 용림(龍林) 속에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용림(龍林)은 신성불가침의 지역이다. 용림(龍林) 속에서 자라고 있는 나무들과 화초들을 꺽지 못하며 흙과 돌맹이 하나라도 옮겨놓지 못한다.

용수의 나무 가지 하나 잎사귀 한 개라도 건드리면 용신(龍神)을 노하게 하여 재앙을 입는다.

나무가 오래되어 겉껍질이 모두 벗겨지고 한 쪽은 죽어서 말라 비틀어져 있고 한쪽은 살아서 매년 새 잎사귀를 돋게하는 고목을 독과수()라고 부른다.

백성들은 독과수()에 영성(靈性)이 깃들어 있으며 신선들이 발걸음을 멈추고 잠시 묵어가는 곳이다고 믿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을 모신 사당(祠堂) 부근에 자라고 있는 나무를 자르고 싶으면 먼저 고사(告祀)를 지내고 나서 나무를 끊어야 한다.

한족들은 늙은 홰나무(槐樹)나 늙은 버드나무(柳樹)나 늙은 느릅나무(楡樹) 속에는 도깨비와 두억시니가 들어 있다고 믿고 있다.

그래서 오래된 나무는 함부로 끊지 못한다.

만일 끊어버리고 싶으면 나무 앞에 제단을 만들어 향불을 피워놓고 엎드려 최고의 예의를 갖추어 절하며 제사를 지낸 다음 끊어야 한다.

한족들은 오래된 짐승이거나 오래된 초목들을 비롯하여 무엇이든지 오래되면 변하여 요괴(妖怪)로 변한다고 믿고 있다.

신강성(新疆省) 위구르자치구역과 청해성(靑海省)과 감숙성(甘肅省) 등지에 거주하고 있는 합살극족(哈薩克族)들은 독과수()를 매우 두려워 한다. 왜냐하면 독과수() 속에 귀신이 들어 있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무더운 여름철에도 독과수 그늘 아래에서 쉬어갈 수도 없다.

물론 독과수의 나무 가지 한 개라도 끊지 못한다. 만일 동네 사람들이 질병과 재앙을 당하면 독과수() 속에 들어있는 귀신이 해를 입힌 것이다고 믿고 있다. 그래서 동네 사람들 중 질병에 걸렸거나 재앙을 당한 집안 사람들은 붉은색 천으로 독과수()를 칭칭 감고 그 앞에 제단을 쌓아 귀신에게 제사를 지내며 용서를 빌어야 한다.

광서장족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와 호남성과 운남성과 광동성과 귀주성 등지에 거주하고 있는 요족(瑤族)들도 고목(古木)속에 귀신이 들어 있다고 믿고 있다. 그들도 고목 옆에 가까이 가서 나무를 밟으면 않된다고 생각하며 나무 가지를 꺽지 못한다고 믿고 있다.

운남덕굉태족경파족자치주(雲南德宏族景頗族自治州)의 노서(潞西)와 농천()과 서려(瑞麗)와 영강(盈江) 등지에 거주하고 있는 붕용족(崩龍族)은 다음과 같은 전설을 믿고 있다.

활불비래시선락어대청수지상,연후재유불야청진불사연후재유불야청진불사,고시대청수위신성고시대청수위신성,금기감벌(禁忌감,).”

다시 말하면 활불이 날아와 맨 처음 대청수 위에 앉은 다음 부처님에 의하여 절로 들어간다고 믿고 있다. 그러므로 대청수는 신성하다. 고로 함부로 끊지 못한다.” 는 뜻이다.

또 사천성과 운남성과 귀주성과 광서성 등지에 거주하는 이족(彝族)들은 나무의 줄기가 가장 굵은 나무를 수왕(樹王)이라고 부른다.

어떤 지방의 이족들은 수왕의 생일(生日)을 정해놓고 매년 수왕의 생일 날은 장작을 패지 못하며 풀도 깍지못하고 나무 앞에서 한족말을 해서도 않된다.

운남성에 거주하고 있는 포랑족(布朗族)들은 나무를 끊을 때 나무에 깔려 죽으면 지귀(地鬼 : 땅귀신)가 노했기 때문이라고 믿고 있으며 나무를 끊은 사람이 즉시 병에 걸리면 산림귀(山林鬼)가 해를 입힌 것이라고 믿고 있다. 이런 경우 나무 앞에 제단을 쌓아놓고 음식을 잘 차려 무사무사를 불러 제사 지내면 귀신을 쫓아낼 수 있다고 믿고 있다.

무사는 나무를 자르고 나서 병이든 사람의 의복을 끊겨 넘겨진 나무에 여기 저기 걸어놓고 기도를 드린다. 무사는 나무를 자른 사람이 지은 죄에 대해서 용서를 구하면서 대신 죽여 달라고 빈다.

절강성 항주(杭州) 북쪽 24km 지점에 있는 여항현(餘杭縣) 일대에 살고 있는 한족들은 아기가 탄생하자 마자 집안 식구들은 정원에 비파수(枇杷樹)를 한 그루 씩 심는 풍속이 있는데 이 나무를 종동령수(種同齡樹)” 라고 칭한다. 그들은 동령수와 아기의 성장과 아기가 성장한 후의 운명과 일종의 관계를 갖고 있다고 믿고 있다.

동령수는 아이의 번영과 영락과 융성과 쇠퇴와 관계가 깊으며 서로 영향을 미친다고 믿고있다. 그러므로 정원에 심어놓은 비파수를 아이를 보살피듯 성심성의껏 재배한다.

집안식구들은 동령수가 무성하게 잘 자라서 많은 열매를 맺게하여 주십시요!” 하고 간절히 기도한다. 나무가 잘 자라면 아이도 잘자란다고 굳게 믿고 있기 때문이다. 또 동령수가 병들어 잘 자라지 않으면 동령인에게도 불행이 닥친다고 믿고 있다.

호북 지방에서는 옛날에 대추나무 가지가 한데 붙어서 하나로 되면 난데없는 도둑이 집안에 들어와서 손해를 입힌다고 믿고 있다. 또 나무는 사용할 때 조심해야된다.

와족들은 생나무로 물구멍을 막지 않는 풍속이 있다. 왜냐하면 생나무로 물구멍을 막을 경우 이롱이 발생한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이롱(耳聾)이란?

귀가 먹기 때문에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귀의 질병을 일컫는다.

한족은 느릅나무(楡木)로 관()을 만들지 않는 풍속이 있다.

느릅나무는 재질(材質)이 견고하고 짜임새가 순수하지 못하다. 그래서 유목흘탑불개규(楡木疙不開竅)” 란 속어가 유행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유목은 부스럼이나 각종 종기 등을 터뜨리지 못한다.” 는 뜻이다.

한족들은 또 유목은 아이들을 더디 깨닫게 하고 총명하지 못하게 한다고 두려워 한다. 또 한편 유엽유엽과 유피유피는 사람이 먹을수 있으나 유목은 쉽게 좀이 먹는다. 그래서 민간에서 유목으로 관을 만들지 않는다.

하남성 일대에서는 대추나무로 창문틀을 만들지 않는다. 왜냐하면 백성들은 대추속에 못처럼 생긴 뾰족한 씨가 들어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대추나무로 창틀을 만들어 끼우면 후일에 가내에 불길한 일이 발생한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또 집을 건축할 때 한족들은 멀구슬나무(楝木)로 들보와 도리로 사용치 않는다. 왜냐하면 련( : Lian)과 염( : lian)은 발음이 서로 똑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불길하다고 믿고 있다. 염은 염습(殮襲)이란 말과 같으며 죽은 사람의 몸을 씻긴 후에 옷을 입히는 것을 일컫는다.

암 나무와 수 나무가 있을 경우에 한해서 침상은 암 나무로 만든다. 왜냐하면 암 나무로 침상을 만들어 사용하면 슬하에 자식을 많이 둔다는 속어를 믿기 때문이다.

신강성과 내몽고와 흑룡강성에 거주하고 있는 달알이족(達斡爾族)은 백화수(白樺樹)를 집을 짓는데 사용치 않고 목재를 수상에서 운반하는 뗏목의 방향타(方向舵)를 만든데 사용치 않는다.

와족은 생나무를 잘라 집안에 들여오지 않는다. 왜냐하면 생나무를 집안에 들여오면 가신(家神)이 노하여 가족을 잘 보호해 주지 않는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안령(興安嶺)에 거주하는 악온극족은 썩은 나무를 아궁이 속에 넣고 때지 못하게 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썩고 부패한 고목 나무를 잘라서 신상(神像)을 만드는 재료로 만 사용하기 때문이다.

백성들은 나무와 귀신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믿고 있다.

또 무덤 근처에 나무를 심어 놓으면 사자(死者)의 혼백이 위안을 받는다고 믿고 있다.

무덤 주위에 소나무와 잣나무를 심어 두면 짐승들이 시체를 파서 뜯어 먹지 못한다고 하며 시체의 부패를 방지해 준다고 믿고 있다.

또 사시 사철 푸른 소나무와 잣나무는 사자의 망령을 위로해 준다고 믿고 있다. 그러므로 묘지 부근에 자라고 있는 나무들은 절대로 손상을 입히면 않된다.

와족과 한족들은 목화의 꽃봉오리와 모든 과일의 꽃술을 손으로 만지지 못하게 한다. 왜냐하면 꽃봉오리와 꽃술에 사람의 손이 닿으면 꽃은 연약하기 때문에 떨어지기 쉽고 또 사람의 손에 닿은 꽃의 열매는 충실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운남성과 사천성에 거주하며 대부분 기독교를 신봉하고 있는 율속족(傈僳)의 부녀자들은 옥수수의 꽃가루가 흩날릴 때 큰 바람이 불면 마포(麻布)를 짜던 일손을 멈추고 남성들은 벌목을 중지한다.

또 벼꽃 가루가 흩날릴 때 부녀자들로 하여금 논 옆에서 빨래를 하지 못하게 하며 삼(大麻)나무의 껍질을 벗기지 못하게 한다. 왜냐하면 벼농사를 망치기 때문이다.

장기적 생활 실천 중 백성들은 모든 식물들이 대부분 봄철에 꽃이 핀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런데 겨울철에 눈이 펄펄 쏟아질 때 꽃이 피면 이상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봄철에 꽃을 피우는 식물이 겨울철에 꽃을 피우면 불상지조(不祥之兆)라고 여긴다.

그리하여 과목동화조황년(果木冬花兆荒年)” 이란 속어가 생겼다.

다시 말하면 과일 나무가 겨울철에 꽃을 피우면 흉년이 들 징조이다.” 는 뜻이다.

그뿐만 아니라 집안의 운수와 세상의 운수도 좋지 않을 것이라는 징조이기도 하다. 귀주성에 거주하는 수족(水族)은 곡식이 꽃을 피울 때 대나무 소쿠리를 불에 태우지 않는다. 왜냐하면 대나무 광주리를 불에 태우면 흉년이 든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풍습을 잘 지키지 않으면 곡신(穀神)을 노하게 만들어 흉년이 든다는 것을 수족의 조상들은 깨달았기 때문이다.

운남성에 거주하는 극목인(克木人)들은 곡식을 수확할 때 곡식을 손으로 끊는 풍습이 있다. 곡식의 알맹이를 도리깨로 때려서 털어 내거나 발로 밟아서 곡식 알맹이를 골라내는 것은 극목인들에게 금기로 되어 있다.

왜냐하면 곡식을 추수하여 몽둥이나 도리깨를 사용하여 마구 두들겨 대는 것은 곡신이 곡식의 낟알들을 잘 거두어 준 은혜에 보답하는 의미가 사라질 뿐만 아니라 배은망덕한 행동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한족들은 수확의 계절을 마지하여 탈곡장 안에서 일할 때 되도록 말을 적게해야 되며 불리한 말이나 나쁜 말을 해서는 않되며 싸움을 해도 않되고 큰 소리를 쳐도 않된다는 미신을 굳게 믿고 있다.

오곡을 추수한 후 밥을 지을 때 정확하게 계산하여 곡식의 낟알 한 개라도 소홀히 취급하면 않되며 낭비해도 않된다고 믿고 있다. 왜냐하면 밥을 남겨서 쓰레기 통 속에 버리거나 상하게 하거나 낭비하면 곡신(穀神)이 책망하기 때문이다.

한족과 운남성 서북부 영승현(永勝縣)과 난평현(蘭坪縣)에 거주하고 있는 보미족(普米族)을 비롯하여 허다한 소수 민족들 중에는 곡식의 낟알 한개 한개 속에 신()이 통한다고 믿고 있는 민족들이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