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2월 13일 월요일

중국 사람들의 숫자 금기

중국 사람들의 숫자 금기

오랜 생활 경험으로 부터 사람들은 숫자에 대한 금기를 만들어 놓았다. 운수가좋은(吉祥) 숫자와 운이 나쁜(凶險) 숫자를 가려 내었다. 길상 숫자는 대개 쌍으로 된 숫자이다.
 강소성(江蘇省) 양주(揚州) 사람들은 혼인 날짜를 6 ()가 들어 있는 날짜를 잡는 풍속이 있다. 여기서 육육대순(六六大順)이란 말이 생겨 났다. 과거에 장사꾼들이 멀리 행상을 떠날 때 반드시 8 짜가 들어있는 날을 택했다. 8 짜에 요득발(要得發), 불리팔(不離八)” 이란 길언(吉言)이 담겨있다.  다시 말하면 ”8 은 대량의 재물을 얻어서 왕성히 일어나게 해줌으로 8 짜를 붙들고 살아라.” 는 뜻이다. 불길한 숫자란? 위험한 숫자요 고독한 숫자이며 헤어짐을 나타내는 숫자인데 임종(臨終)이나 사망을 뜻하는 숫자이다. 1 에서 100 까지 피해야 할 수 많은 숫자가 있다. 1 은 불길한 숫자이다. ”호사성쌍(好事成雙)” 이란 희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좋은 일은 쌍으로 이루어진다.” 는 뜻이다. 2 는 쌍수이지 만 경우에 따라서는 나쁜 숫자가 될수 있다. 환자와 상가(喪家)에 선물을 보낼 때 쌍수를 꺼려한다. 만족(滿族)과 조선족과 한족(漢族)들은 장지(葬地)로 발인(發靷)하는 날짜를 쌍수 날짜로 잡지 않는 풍속이 있다. 왜냐하면 좋은 일은 쌍으로 일어나면 좋지만 나쁜 일은 쌍으로 일어나면 좋지 않기 때문이다. 3 은 산( : 흩어짐, 분산됨)과 비슷한 음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싫어한다. 4 는 사()와 비슷한 음을 갖고 있으므로 동북 지방에서는 4 를 싫어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음력 5 5 일 생을 싫어했다. 5 일 날은 햇볕을 쪼이기 위하여 의자에 앉아 있으면 좋지 않으며 집을 짓거나 고쳐도 좋지 않다고 믿고 있다. “칠불출(七不出), 팔불귀(八不歸)” 란 속어가 있다. 다시 말하면 부녀자들이 출행(出行)할 때 집을 떠나는 날에 7 자가 들어 있으면 불길하고 집에 돌아오는 날짜 중 8 자가 들어 있는 날은 좋지 않은 날이다. 강소성(江蘇省) 양주(揚州) 속어에 봉칠불순(逢七不順)” 이란 말이 있다. 봉건 사회 속에서 부녀자들은 칠출지조(七出之條)에 항상 유의하였으며 칠조(七條)를 범하면 남편으로 부터 휴처(休妻:  이혼) 당했다. 8 짜의 불길한 이유 중 하나는 여덟 팔()자는 분() ()의 머리 부분으로써 분리(分離) 즉 이혼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입하(立夏) 날에 체중을 달아보는 풍습이 있다. 만일 체중에 9 짜가 들어 있으면 하나를 더 올려 10 으로 말한다. 복건성과 절강성과 강서성과 광동성에 거주하는 사족()들은 9 짜를 쓰기 꺼려한다. 왜냐하면 사족()의 선조는 신견(神犬)이기 때문이며 견()과 구()는 글짜의 모양이 서로 비슷하다. 그래서 사족()들은 9 짜를 꺼려한다. 음력 1, 2, 5, 7, 8, 9 월은 좋지 않은 달이다. 과거에 절강성 일대에서는 정월 과 9 월에는 이사를 하지 않았다. 2 월 과 8 월에는 부엌을 새로 고치지 않했다. 한족들은 5, 7, 9 월에 불길하다고 결혼을 기피했다. 사족()들은 18 세에 결혼을 기피했다. 왜냐하면 18 세에 결혼하면 18 ()을 만나게 된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절강성 사람들은 20 을 싫어한다. 그래서 20 부터 29 까지 쓰고 읽을 때 20 은 열십짜 두개를 겹쳐서 이라고 쓰고 입()이라고 읽으며 29 卄九라고 쓰고 입구(卄九 : nianjiu)라고 읽는다. 춘추전국(春秋戰國)시대(BC 770 – BC 221 ) () 나라 왕은 슬하에 이석(爾釋)이라고 불리는 사랑하는 딸이 있었다. 이석(爾釋)은 생선을 먹다가 생선의 가시가 목에 걸려 죽고 말았다. 오왕(吳王)의 슬픔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중국 발음으로 이석(爾釋)”  이십(二十)”은 서로 발음이 비슷하다. 오왕(吳王)은 사람들이 20 이라고 말할 때 마다 죽은 딸 생각이 나서 울었다. 이후부터 사람들은 이십(二十)”이라고 말하기를 꺼려했다. 왜냐하면 오왕(吳王)은 이십이란 말만 들으면 울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때부터 20을 卄()으로 표기하기 시작했으며 입으로 읽었다. 호북성 장양(長陽) 일대의 사람들은 36 을 꺼려한다. 왜냐하면 수도(首都)를 건업(建業 : 현재 南京)에 정했던 삼국시대의 오( : 서기 200 서기 280 ) 나라의 주유(周瑜) 장군이 적벽대전(赤壁大戰)에서 36 세에 전사하였기 때문이다. 변량쇄기(汴梁)에 보면 변지민간유전(汴地民間流傳), 노포증봉명진주방양(老包拯奉命陳州放糧), 중도우도(中途遇盜), 교장왕팔(喬裝王八), 도출험지(逃出險地), 행면어난(幸免於難). 기시정치사십오세(其時正値四十五歲), 민간인정사십오저일세(民間認定四十五歲這一歲), 필속액운(必屬厄運), 인이기언사십오세(因而忌言四十五歲), 다개칭사십사혹사십육이피지(多改稱四十四惑四十六以避之)”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하남성에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 북송(北宋) 때 공정한 재판관 포증(包拯 : 서기 999 서기 1062 )이 임금의 명령에 따라 진주(陳州 : 현재 하남성 淮陽)에 양곡을 방출할 때 도중에 도적떼를 만났다. 포증은 왕팔로 변장하였기 때문에 다행히 도망칠 수 있었다. 이때 포증의 나이 45 세 였다. 이때부터 하남성(河南省) 사람들은 45 세 때 액운을 만나는 나이라고 인정하여 45 세를 꺼려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45 세인 사람은 사람들이 나이를 물어오면 한 살을 내려서 44 세라고 말하기도 하고 한 살을 더 올려서 46 세라고 말했다.” 는 뜻이다. 민간에 전해 오는 속어에 칠십삼(七十三), 팔십사(八十四), 염왕불청자기거(閻王不請自己去)” 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염라대왕 자신도 73 세와 84 세는 싫어한다.” 는 뜻이다. 공자(孔子)73 세에 죽었고 맹자(孟子)84 세에 죽었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73 세와 84 세를 꺼려한다. 73 세를 잘 넘긴 사람은 일차 관문을 통과한 셈이다. 그러므로 다음 2 차 관문인 84 세 까지 무난하게 넘길 수 있다. 84 세의 2 차 관문을 잘 넘긴 사람은 100 세 까지 장수할 확률이 높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