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4월 25일 월요일

변비의 치료

변비의 치료



어떤 사람은 이따금 변비가 생기고 어떤 사람은 2, 3 일에 한 번 배변한다. 간혹 변비가 생기는 사람은 매운 음식을 많이 섭취했거나 물을 소량 섭취하여 대변이 굳어져서 변비가 생기는데 이러한 사람은 음식 습관 만 바꾸어 주면 대변이 정상으로 돌아온다.



또 어떤 사람은 2, 3 일에 한 번 씩 배변하지만 변이 굳지않고 정상일 경우엔 변비가 아니므로 염려할 필요가 없다.



60 세 이상된 노인들 중 20% 가 변비라는 통계가 있다. 여성(4)들과 남성(1)들의 변비의 비율은 4:1 이라고 한다. 체질이 허약한 사람과 오랫 동안 병을 앓은 사람과 누워있기 좋아하는 사람과 움직이기 싫어하는 사람들에게 변비가 많다고 한다.



노인들은 기혈이 쇠갈된 상태이고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하여 신체가 허약하며 아이들은 발육도상에 있기 때문에 신체가 약하고 병이 있어 오랫 동안 침상에 누워있는 사람은 기혈양허(氣血兩虛) 상태이며 경락이 통창치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변비의 진정한 원인은 신체의 “허(虛)” 와“약(弱)” 때문이다.



매년 가을 천기가 건조할 때 흑목이대추죽(黑木耳大棗粥)을 아침 저녁으로 하루에 두 차례 복욕하면 소화 흡수가 잘되어 내화(內火)를 제거시켜 주고 영양도 보충시켜 주며 변비도 치료해 주고 피부도 아름답고 윤기가 흐르게 만들어 준다.



변비가 있는 사람은 피부가 깨끗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피부는 폐(肺)의 소관이지만 폐와 대장은 서로 형제간이기 때문이다.



흑목이대추죽(黑木耳大棗粥)은 어린 아이들의 변비에 적합한 죽이다.



성인들의 변비는 신체가 허약하고 기혈양허(氣血兩虛)인 사람들에게 발생하며 이러한 사람들은 장(腸)의 연동 운동이 강하지 못하다.



흑목이대추죽(黑木耳大棗粥) 속에 들어있는 흑목이(黑木耳)는 양혈(凉血) 작용과 윤장(潤腸) 작용이 있고 대추(大棗)는 보혈(補血) 작용과 보기(補氣) 작용이 있음으로 장의 연동 운동을 증강시켜 준다.



어린 아이들은 순양지체(純陽之體)임으로 대보(大補)해 주는 음식물이 필요없고 다만 흑목이대추죽(黑木耳大棗粥) 만 복용시켜도 보허(補虛) 작용과 윤장(潤腸) 작용을 해준다.



흑목이대추죽(黑木耳大棗粥)은 허증(虛症)을 보(補)해 주지만 어떤 사람들에게는 유효하고 어떤 사람들에게는 효험이 없는 사람들도 있다. 효험이 별로 없는 사람들은 변비증상이 심함으로 잣과 당귀(當歸)를 배합하여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단 한량(寒凉) 음식물은 금하고 배(腹部)를 안마해 주면 효과가 훨씬 빠르다.



변비를 치료해 주는 복부 안마 방법은 시계 방향으로 100 번, 시계 반대방향으로 100 번 복부 안마를 실시해 준다. 그리고 복부 안마 후 따뜻한 물을 한 컵 마시고나서 걸어야 한다.



또 변비 치료에 사용되는 음식물 중에는 양파와 콩이 있다.



양파 속에 들어있는 프로스타그랜딘(前立腺素 : Prostaglandin)은 Smooth Muscle 의 수축과 이완 작용을 해주는 물질인데 혈관을 확장시켜 주고 마음을 진정시켜 주며 뇌에 혈액의 유통을 증가시켜 준다.



그러므로 양파는 심장병과 뇌의 질병을 치료해 주고 혈압과 혈당과 혈지(血脂)도 하강시켜 주며 만성 장염과 이질도 치료해 준다.



어떤 사람은 양파를 먹은 후 방귀를 꾸는데 배변이 통창되는 증거이다. 또 양파를 먹은 후 설사를 하는데 위장에 강한 자극을 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양파는 변비를 치료해 준다. 양파는 익혀서 먹으면 냄새도 덜 나고 자극성도 경감되며 변비의 치료 효과는 똑 같다.



껍질에 털이 많고 완전히 성숙하지 않은 푸른 색깔의 풋콩을 청대콩이라고 부르는데 청대콩은 장의 연동 운동을 촉진시켜 주고 소화 흡수가 잘 되며 노인들에게 적합한 변비 치료약이다. 청대콩은 변비 치료 뿐만 아니라 혈압과 혈당도 내려준다.



변비와 운동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운동을 사랑하는 사람들 중에는 변비가 있는 사람이 거의 없다.



노인들의 경우 운동하는데 불편을 느끼는 사람들은 걸으면 된다. 매일 한 시간 씩 걸으면 경락이 창통되어 변비가 치료된다.



약왕(藥王) 손사막(孫思邈 : 서기 581 년 – 서기 682 년)은 ”식후행백보(食後行百步), 상이수마복(常以手摩腹).” 이란 말을 자신의 양생(養生)의 도(道)로 삼아 102 살 까지 살았다.



다시 말하면 ”식후에 일 백보를 걷고 손으로 배(腹部)에 안마를 해주어라.” 는 뜻이다.



프로스타그랜딘은 1935 년에 스웨덴의 생리학자 Ulf von Enler 가 전립선 속에 들어있는 정액(精液 : Seminal Fluid)으로 부터 처음 분리해 냈다. 1971 년에 아스피린(Aspirin) 계통의 약물들은 프로스타그랜딘의 생성을 방해한다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1982 년에 3 명의 과학자들이 프로스타그랜딘의 연구 실적으로 인하여 노벨 의학사상을 받았다.



프로스타그랜딘은 전립선(前立腺)과 정낭(精囊)에서 추출한 유효 성분으로써 전립선소(前立腺素)라고도 부른다.



Smooth Muscle 이란?



불수의근(不隨意筋)으로써 혈관벽과 방광과 자궁과 위장도(胃腸道)와 호흡도와 눈의 홍채(虹彩) 등에 들어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