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8월 10일 일요일

계화나미우(桂花糯米藕)의 청열해독(清热解毒) 작용과 비위보호(脾胃保護) 작용

계화나미우(桂花糯米藕)의 청열해독(清热解毒) 작용과 비위보호(脾胃保護) 작용      계화차(桂花茶)는 난위(暖胃) 작용과 건비개위(健脾开胃) 작용이 있다.   인체(人体)의 비위(脾胃)를 “후천지본(后天之本)、기혈생화지원(气血生化之源)” 이라고 말한다. 인체 내에 섭취된 오곡정미(五谷精微)는 비위(脾胃)의 운화(运化) 작용과 흡수(吸收) 작용에 의하여 생명(生命)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시킨다. 그래서 혹자는 비위(脾胃)를 발전기(發電機)라고 칭하며 발전기로 부터 생성된 전기(電氣)는 경락(经络)이라고 불리는 전선(電線)을 통과하여 전신(全身)의 각부위(各部位)로 수송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비위(脾胃)의 공능(功能)이 감약(减弱)될 경우 인체(人体)의 오장육부(五脏六腑)는 “전력부족(電力不 )足” 상태로 몰입하므로 정상적(正常的)인 공능(功能)을 발휘(发挥)하지 못한다. 발전기의 정상가동은 비위(脾胃)의 정상(正常) 운화와 흡수 공능에 달려있다. 제 일 먼저 요구되는 것은 정상적인 건비개위(健脾开胃) 공능이다.   개위(开胃)라고 말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산사(山楂)를 연상하는데 산사(山楂) 외에도 다음과 같은 개위식품(開胃食品)들이 있다.   계화나미우(桂花糯米藕)는 건비 작용과 개위 작용이 있다. 재료(材料):연우(蓮藕 : 연뿌리) 두 마디 ,나미(糯米 : 찹쌀) 4 냥(四两),계화(桂花) 적당량(适當量). 제법(制法):연우(莲藕)를 2cm 두께로 썰어 미리 씻어놓은 찹쌀로 연우(연뿌리)의 속구멍을 모두 메운다. 찜통 속에 넣고 2 시간 동안 찐다. 접시 위에 올려놓고 계화로 덮은 후 랩으로 씌워 두었다가 복용한다.   연우(莲藕)를 생용(生用) 할 경우 성(性)은 한(寒)이고 양혈(凉血) 작용과 산어(散瘀)의 공능(功能)이 있다. 그러므로 열병번갈(热病烦渴)과 토혈(吐血)과 열림(热淋) 등을 치료해 준다. 또 연우를 숙용(熟用) 할 경우 성(性)은 온(温)이고 익혈(益血) 작용과 지사(止泻) 작용이 있으며 건비(健脾)、개위(开胃) 공능이 있다. 송(宋) 나라 때 조진(赵溍)의 저서 《양아만필(养疴漫笔)》에 다음과 같은 고사(故事)가 기록되어 있다. ”宋孝宗 曾经患上了痢疾,太医们诊治数日都不见效果。其父宋高宗赵构十分担心。有一天,宋高宗在宫外,偶然看见一个小药铺,于是派人问铺主能不能治疗痢疾,得知铺 主正是这方面的专家后,宋高宗就让铺主进宫给孝宗皇帝诊病。进宫后,即望闻问切,才知宋孝宗喜好吃湖蟹,湖蟹虽为佳肴,但多食易损伤脾胃,久而久之会导致 脾胃阳虚,引起冷痢。太医们却以热痢下药,没有对症下药,显然难以收效。药铺主采来莲藕节,将其捣烂取汁,嘱咐宋孝宗以温酒调服。几次服药后,宋孝宗果然 痊愈。宋高宗大喜,将捣药用的金杵赐给铺主。可见,莲藕在治疗脾胃虚弱方面有很好的效果。” 다시 말하면 ”남송의 제 2 대왕 효종(孝宗 : 서기 1162 년 - 서기 1189 년)이 이질병(痢疾病)에 걸렸다. 태의들이 여러 날 치료했으나 아무 소용이 없었다. 효종의 아버지 고종(高宗(조구(赵构) : 서기 1127 년 - 서기 1162 년)은 아들의 병이 치유되지 않으므로 걱정이었다. 어느 날 고종은 궁외(宮外)로 나아가 우연히 작은 약방 앞을 지나가게 되었다. 고종은 하인을 시켜 약방 주인에게 이질병(痢疾病)을 치료 할 수 있는지? 물어 보라고 명령했다. 고종은 이 약방 주인은 이질병(痢疾病) 전문 치료 한의사라는 것을 알게 된 후 진궁하여 효종의 이질병(痢疾病)을 치료해 보라고 어명을 내렸다. 한의사는 효종의 맥을 짚고나서 효종이 민물게를 무척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민물게는 맛은 좋지만 많이 먹을 경우 비위가 상하며 오랫동안 민물게를 먹을 경우 비위양허로 인하여 냉리(冷痢)가 발생한다. 궁중의 태의들은 냉리(冷痢) 대신 열리(熱痢)를 치료하는 한약을 효종에게 복용시켰기 때문에 이질병(痢疾病)이 치유되지 않았다. 한의사는 연우절을 캐어다가 깨끗이 씻은 후 짛이겨 즙을 내어 따뜻한 술과 함께 효종에게 복용시켰다. 몇 차례 복용한 후 효종의 이질병(痢疾病)은 치유되었다. 송고종은 매우 기뻐하며 도약용(捣药用) 금절구(金杵)를 한의사에게 하사(下赐)하였다. 연우는 비위허약(脾胃虚弱)의 치료에 탁월한 효험이 있다.” 는 뜻이다.   나미(糯米 :찹쌀)는 북방(北方)에서 “강미(江米)” 라고 칭하며 일상생활 중 여러가지 음식의 원료(原料)로 사용한다. 민간에 잘 알려져 있는 팔보죽(八宝粥)의 조성 성분 중에 나미(糯米)가 들어있다. 찹쌀로 빚은 막걸리(糯米甜酒)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즐겨 마시는 술이다. 북송(北宋) 문학가(文学家) 소철(苏辙)의 나미첨주시(糯米 甜酒诗)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寒衣补故褐,家酿熟新糯” 다시 말하면 ”방한복을 꺼내어 입을 때 쯤, 집안에서 햇찹쌀로 술을 빚네!” 란 뜻이다. 중국인들이 단오절(端午节)에 반드시 먹는 종자(粽子) 역시 찹쌀(糯米)로 만들며 설날엔 찹쌀로 떡을 만들어 먹고 정월 보름날엔 찹쌀밥을 지어 먹는다. 찹쌀(糯米)은 온보비위(温补脾胃)의 공효(功效)가 있는 귀중한 곡식이다. 《제민사술(齐民四术)》에 보면 :“미익인심비(米益人心 脾),우의노병잉산(尤宜老病孕产),합나미위죽(合糯米为粥)、미지미(味至美)”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쌀은 심장과 비장에 유익하며 노인들과 임부와 산부들에게 찹쌀죽을 끓여 복용시킬 경우 맛도 좋으려니와 신체에 매우 유익하다.” 는 뜻이다. 또 《본초경소론(本草经疏论)》에 보면 ”糯米:“补脾胃、益肺气之谷。脾胃得利,则中(指人体胃部)自温,力便亦坚实;温能养气,气 顺则身自多热,脾肺虚寒者宜之。”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찹쌀은 비위를 보해 주고 폐기를 증강시켜 주는 곡식이다. 비위가 강건해지면 인체내에 기(氣)가 충만해 지고 기(氣)가 순조롭게 운행하면 비위허한자들에게 유익하다.” 는 뜻이다. 그러므로 비위허한자(脾胃虚寒者)들은 찹쌀밥을 가끔 먹을 경우 신체에 유익하다. 찹쌀밥(糯米飯)을 한꺼번에 많이 먹을 경우 점성(粘性)이 강하므로 소화(消化)에 지장을 초래하니 유의해야 한다. 중국중의약보(中国中医药报)에서 전재(轉載)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