쓴맛 음식의 유익점
서양의 음식문화를 살펴보면 서양인들은 단음식과 짠음식과 지방음식을 좋아하고 쓴맛 음식을 제 일 싫어한다.
한의학 이론에 보면 오미(五味)가 균형을 이루어야
신체가 건강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오미는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신맛이다.
쓴맛 음식은 알칼로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독성이 있다.
야생 동물들도 쓴맛이 나는 식물은 선호하지 않으며
건강할 때는 거들떠 보지 않다가 신체에 질병이 발생하면 쓴 식물(植物)을 약(藥)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소량 만
섭취한다.
등산을 하다가 토끼와 사슴 등 초식동물을 발견하면
어느 때는 초식동물들이 쓴 식물을 뜯어 먹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쓴 식물을 뜯어먹고 있는 초식동물들의 행동거지를
자세히 살펴보면 대부분 몸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초식동물들도 건강이 좋지 않을 경우 평상시 건강할
때는 지나쳐 버리던 쓴 식물 주위를 어슬렁 거리며 조금씩 뜯어먹는 모습을 발견 할 수 있다.
동물의 구강 속과 위장도의 상부(上部)에 쓴맛 리셉터(bitterness
receptors)가 분포되어 있는데
쓴맛 음식물이 입안으로 들어오면 생리적으로 인체에
유익한 여러가지 반응을 일으킨다.
유익한 생리적 반응은 다음과
같다.
:
•
1.
위장도 내의 소화액 분비를 촉진시켜
준다.
그 결과 음식물의 소화흡수가 촉진되므로 인하여 질병이 치료되고 신체가 건강해
진다.
•
2.
섭취한 음식물의 소화흡수가 증진되므로
신체에 유익한 장내의 미생물(microorganisms)이 균형을 이룬다.
•
3.
쓴맛 음식물은 식욕을 증진시켜 주므로 쉽게 포만감을 느끼게 해주고 음식물을 덜 섭취하게 해줌과 동시에
체중의 증가를 예방해 준다.
실제로 쓴맛 음식물은 체중 경감에
유익하다..
•
4.
쓴맛 음식물은 혈당(blood
sugar)의 레벨을 강저시켜 주고 내분비선의 기능을 정상으로 유지시켜 주며
체내 홀몬의 균형을 이루어
준다.
•
5.
쓴맛 음식물은 간(liver)과 담낭(gallbladder)의 기능을 향상시켜 주므로 지방대사(fat
metabolism)와
탄수화물대사(carbohydrate
metabolism)를 증진시켜
주고
나쁜 콜레스테롤(LDL
cholesterol)의 레벨을 강저시켜
주며 해독(detoxification)
작용을 증강시켜 준다.
그 결과 만성 염증 질환을 예방해 주고 항암작용도
해준다.
.
•
6.
쓴맛 음식물은 위산((stomach
acid) 의 분비를 촉진시켜
주고 동시에 소화도 내의 점액분비도 증가시켜
주므로 궤양을 치료해 준다.
•
7.
쓴맛 음식물은 체액을 알칼리성으로 만들어 준다.
서양 사람들이 쓴맛 음식물을 싫어하므로 인하여
체질이 산성화되어가고 있다.
또 서양인들은 육식을 위주로하고 가공 음식물과 설탕을 즐겨 먹기 때문에 체질은 더욱 산성화 되어가고
있다.
쓴맛 리셉터(bitter
taste receptors)를 자극시켜 주기
위하여 쓴 음식물을 골라서 가끔 섭취해야 한다.
쓴 음식물을 섭취할 때 단 음식물을 함께 섭취하면
쓴맛 음식물의 효과가 경감된다.
왜냐하면 쓴맛과 단맛은 서로
상극(相剋)이기 때문이다.
다음은 쓴맛이 나는 음식물들이다.:
민들레(Dandelion),
쐐기풀(Stinging
Nettles), 야생마늘(Wild
leeks), 마늘겨자(Garlic
mustard), 쇠비름( Purslane),
명아주(Lamb’s
Quarters), 고비(Fiddleheads),
강황(姜黃/薑黃:turmeric),
생강(ginger),
셀러리의 씨(celery
seed), 호로파(胡芦巴:
fenugreek),
아위(阿魏),
바베리(barberry),
금인초(金印草:goldenseal),
우엉(burdock
root), 초목향(土木香:elecampane
root ), 거치초(锯齿草:
yarrow
) 등이다.
쓴맛 음식을 전혀 섭취하지 않을 경우 쓴맛 리셉터의 기능이 약화되므로
건강에 불이익을 초래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한의학 이론에 의하면 고미(苦味:쓴맛)는 심장과 소장(小肠)에 유익하다.
고미(苦味)는 청열거화(清热去火)
작용과 조습(燥湿)
작용과 견음(坚阴)의 3대공효(三大功效)를 갖고있다.
일상(日常)
생활중(生活中)
구설생창(口舌生疮)과 심번실면(心烦失眠)과 소변황(小便黄)과 소변동통(小便疼痛)
등 문제(问题)는 심화(心火)나 소장화(小肠火)가 성(盛)한 때문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