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佛家)의 과오불식(过午不食)
불가에서 “조반시천식(早饭是天食),중반시인식(中饭是人食),만반시귀식(晚饭是鬼食)” 
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하면 “조반((早饭)은 
천당의 밥이고 오반(午饭)은 
사람의 밥이며 만반(晚饭)은 
귀신의 밥이다.” 
는 뜻이다.  
불가(佛家)와 도가(道家)와 의가(医家)의 공동적 비결(秘诀)은 : 
“요규인불사(要叫人不死)、 
장중수무시(肠中须无屎)” 
이다. 
다시 말하면 “장수하고 싶은 사람은 장을 깨끗이 해라.” 
는 뜻이다. 
특별히 불가(佛家)에서는 신도들에게 계살(戒殺)과 소식(素食) 
외에  “早饭是天食,中饭是人食,晚饭是鬼食。” 
을 권유한다.  다시 말하면  신체건강(身体健康)을 
위해서 또  수행(修行)에 방해받지 않기 위해서 불가(佛家)에서 신도들에게 과오불식(过午不食)을 요구한다.
불가의 과오불식(过午不食)은 팔관재중(八关斋戒中) 
일조(一条)이다. 
계(戒)는 수정(修定)이며 수정(修定)은 불교(佛教)의 기본(基本)이며 혜(慧)의 기초(基础)인데 강제성(强制性)은 없다. 
그러나 일단 일조(一条) 
계율(戒律)을 선택하기로 자원 할 경우 끝까지 견지(坚守)해야 한다.
불가의 과오불식(过午不食)이란?  
조찬(早餐)과 오찬(午餐) 
만을 섭취하는데 오찬(午餐)은 중오(中午 
: 낮 12시) 전(前)에 끝마쳐야 한다. 
중오(中午) 
부터 그 이튿날 새벽까지 에너지를 보충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각종(各种) 
당수(糖水)나 꿀(蜂蜜)이나 과즙(果汁 
: 찌꺼기는 건져내야 
함)이나 생강탕(生姜汤)이나 염수(盐水)를 음용해야 한다. 
과오불식의 유익점은:
一,식욕(食欲)을 절제(节制)하므로 인하여 심신(身心)이 청정(清静)해 진다. 
식욕(食欲)은 사람의 5 
대 욕망(五大欲望)의 하나이다.   
사람의 5욕(五欲)은 재욕(财欲)、색욕(色欲)、명예욕名(譽欲)、식욕(食欲)、수면욕(睡眠欲)이다. 
오욕육진(五欲六尘)을  절제(节制)하거나 순종하는 것이 수행(修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
二,소량의 음식을 섭취할 경우 타좌입정(打坐入定)에 유리하다.  
과량의 음식을 섭취한 후 타좌(打坐)할 경우 혼수(昏睡) 
상태로 쉽게 빠져든다.
 《불설처처경(佛说处处经)》에 보면:
"佛言,日中后不食有五福。一者少淫。二者少卧。三者得一心。四者无有下风。五者身安隐亦不作病。是故沙门道士知福不食。"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과오불식할 경우 5 
가지 복(福)이 돌아온다. 
첫째 음욕(淫慾)이 덜 생기고 둘째 잠을 적게 잘수 
있으며 셋째 마음이 산란하지 않고 한 곳에 집중할 수 있고 넷째 이음(二陰)이 평안해 진다. 즉 장이 깨끗해 지고 대소변의 양(量)이 매우 적다. 
다섯째 질병을 예방해 준다.” 
는 뜻이다. 
또《사십이장경(四十二章经)》에 보면 : 
"부처님(佛陀)이 홍법(弘法)을 가르치기 시작할 때 제자(弟子)들에게 하루 한 끼 식사를 하라고 권유했다.” 
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과오불식(过午不食) 
보다 더 엄격하였다. 
 중국내의 
 한족(汉族)의 선종(禅宗) 승인(僧人)들은 고대로 부터 농사를 짓는 습관이 있었는데 하루 
종일 노동(劳动)을 할 경우엔 缘故,과오불식을 
이행하지 못했으나 그래도 
대다수의 승인(僧人)들이 과오불식을 실행했다. 
현재 
중국(中国) 내의 엄격(严格)한 도장(道场)에서는 
과오불식(过午不食)을 
요구하며 여하한 이유도 받아들이지 않으며 당대(当代)의 유덕(有德) 고승(高僧)들은 과오불식(过午不食)을 철저히 이행하고 
있다. 
“조신천식(早晨天食),중오불식(中午佛食)” 
은 
불사(佛寺)에서 상공의궤(上供仪轨)를 거행할 때 보면 
잘 알수 있다. 불사(佛寺)에서  
공천의식(供天仪式)은 
이른 
새벽에 거행되며 
전문적(专门的) 
공불의식(供佛仪式)은 모두 오전(午前)에 끝남을 알수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