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5일 일요일

당(唐) 나라 현종(玄宗)은 백발(白髮) 치료의 고수(高手) ;

당(唐) 나라 현종(玄宗)백발(白髮) 치료의 고수(高手) ;
당(唐) 나라 제 10 대왕  현종(玄宗 : 서기 712년 - 서기 756년)괴뢰음(傀儡吟)이란 시를 한 수 읊었다시(詩) 중에 刻木牵丝作老翁鸡皮鹤发与真同란 구절이 있다.  다시 말하면 계피학발(鸡皮鹤发)이란 피부(皮肤)에 주름쌀이 있고 두발(头发)이 창백(苍白)함을 묘사(描写)한 구절이며  노인을 형용(形容)한 구절이다.  만년(晚年)에  당현종(唐玄宗)은 도교(道敎)를 숭상했으며 도교의 장생불노(长生不老)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당현종은 계피학발(鸡皮鹤发)에 반감(反感)을 가졌다계피학발이란피부는 닭살과 같이 쭈글 쭈글하고 머리카락은 온통 백발이 되어있음을 형용한 말이다특히 양귀비를 입궁(入宫)시킨 후 부터 매일 백발의 숫자가 더욱 증가되었다.  그 당시 사람들은 양귀비(楊贵妃)를  어린풀잎(嫩草)으로 묘사하였고  당현종을 늙은소(老牛)로 묘사하였다.   당(唐) 나라 제 10대왕 현종(玄宗 : 712-756)   이융기(李隆基 : 서기 685년 서기 762년)는 당(唐) 나라  황제들 중 재위기간이 가장 긴 황제(皇帝)이다.   
개원(开元) 23서기 735양귀비는 17세이었고 현종(玄宗)51세였다현종의 머리카락은 반백(半白)이었고 계피학발(鸡皮鹤发) 정도(程度)는 아니었다는데 양쪽 살쩍에 하얀  백발(白髮)이  출현되었다.   당현종은 이때 부터 백발(白髮)을 치료하기 위한 처방을 항상 염두에 두고 있었다.   그리하여 현종의 머리 속에 신선(神仙) 장과노(张果老)를 떠올리기 시작하였다.
명황잡록(明皇杂录)장과노(张果老)의 본명(本名)은 장과(张果)이며  일개도사(一個道士)인데  나이는 수 백살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현종(玄宗)은 장과를 흠모(羡慕)하였다.  
장과(张果)의 쇠발변청빈(衰髮变青鬓) 방(秘方)명황잡록(明皇杂录)에 기재되어 있지 않고 당(唐) 나라 대중(大中) 9 에 저술된현해록(悬解录)에 기재되어 있다.   장과(张果)가  현종(玄宗)에게 진상(进上)수선오자환방(守仙五子丸方)》은  종자(种子 : 씨받이)를 조양(调养)해 줄  뿐만아니라 백발(白发)을 치료해 준다.   여감자(余甘子 : 암라)복분자(覆盆子)토사자(菟丝子)오미자(五味子)차전자(车前子)로 조성되어 있으며 오장(五脏)의 기능을 증진시켜 주고혈육(血肉)을 윤택(润泽)하게 해주며 만독(万毒)을 제거시켜 주고  머리카락을  칠(漆)과 같이 검게해 주며 반노환동(返老還童)해 준다.     현해록에 다음과 같은 장과(张果)오자수선환가(五子守仙丸歌)가 수록되어 있다.  返老成少是还丹不得守仙亦大难愁见鬓斑令却黑一日但服三十丸松竹本自无焰故金液因从火制干五子可定千秋旨百岁如同一万年“  한의학에서  "肾髮发相通精虚血弱肾精不足血热偏盛情绪激动都会滋生白发이라고 말한다.  오자환(五子丸)장신(壮肾) 작용이 있으므로 백발(白髮)을 치료해 준다.  현종(玄宗)에게 적합한 처방이다.   현종(玄宗)은 50부터  자기(自己)  백두발(白头发)을 치료하기 시작하였다“오자환(五子丸)”은   현종(玄宗) 자신(自身)이 몸소  실험(实验)한 처방이다.   천보(天宝) 4서기 745년에  당현종(唐玄宗)60이었다. 그당시   27의 양옥환(杨玉环 : 서기 719년 서기 756년의 호(号)는 태진(太真)이며 당(唐) 나라 때 궁정음악가(宫廷音乐家)무용가(舞踊家)이었고 정식(正式)  귀비(贵妃) 책봉(册封)되었다.  그녀의 음악(音乐)역대(历代) 후비(后妃) 중 으뜸이었으며  후세인들은 그녀를  중국(中国) 고대(古代) 4 대미녀(四大美女) 중 하나라고 칭했다.   고인들의 속언(俗言)에  노부소처(老夫少妻)란 말이 있는데 당현종의 현실로 나타났다.   양옥환을 정식귀비로 마지한 후 부터 현종(玄宗)의 신기(肾气)는 날로 쇠약해 짐과 동시에 백발(白髮)의 숫자는 점점 증가되어 할아버지 모습으로 변했다.  현종은 백발 때문에 스트레스트를 많이 받고 있었다.   그리하여 현종은 도교계(道教界)의 고수(高手)를 찾아가 도움을 청했으며 고대로 부터 민간(民间)에 전해 내려오는 고방(古方)을 수집(收集)하였다수 많은 보신(补肾) 처방과 백발(白髮)을 치료해 주는 영단묘방(灵丹妙方)을 얻었다궁중(宫中)에  비장(秘藏)해 두고  수시로 복용하였현종(玄宗)총애하는 대신(大臣)과 함께 복용함으로써 강신발흑(肾强发黑)의 효과와 청춘영주(青春永驻)의 효과를  검증하였다개원연간(开元年间: 서기 713 - 서기 741)에 경조부(京兆府) 삼원현(三原县)의 현위(县尉) 진장기(陈藏器)는  본초습유(本草拾遗)를 저작했는데 그속에 여감자(余甘子)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수록되어 있다. “梵书名庵摩勒又名摩勒落迦果其味初食苦涩良久更甘曰馀甘又说此方生发去风痒令发生如漆黑也”  다시 말하면 여감자의 범서명은 암마륵 또는 마륵락가과이고 그 맛은 처음엔 쓰고 떫으나 오래 씹을 경우 단맛이 생긴다.  그리하여 여감(馀甘 : 단맛의 여운이 있음) 이라고도 칭하는데 머리카락을 새로 돋아나게 해줌과 동시에 머리카락을 칠흑 처럼 검게해 주며 풍양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당 나라 때 여감자(馀甘子indian gooseberry)는 백발(白髮)의 치료약으로 민간(民间)에 대유행(大流行)되었다.  장과(张果)가 현종에게 진상한 오자환(五子丸)속에 여감자가 포함되어 있다.    명(明) 나라 때 이시진(李时珍)본초강목(本草纲目)에 오자환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详细)히 기록되어 있다取馀甘子压汁和黑芝麻油调匀涂头搽发主治白发头皮痒脱发”    다시 말하면 ;‘여감자의 즙을 내어 흑지마유(검정참깨 기름)와 혼합하여 머리와 머리카락에 발라주면 백발과 탈발과 두피양(头皮痒)이 치료된다." 는 뜻이다.   그 당시 당현종(唐玄宗)은 치백발(治白发)의 고수(高手)라고 소문이 났다.   그리하여 현재까지  머리염색약 중에 "현종패흑발제(玄宗牌黑髮剂)" 란   이름을 가진 머리염색약이 판매되고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