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7월 8일 화요일

한의학의 통곡요법(痛哭疗法)

한의학의 통곡요법(痛哭疗法) 사람에게 칠정(七情) 즉 희(喜)、노(怒)、우(忧)、사(思)、비(悲)、공(恐)、경(惊)의 일곱 가지 정지(情志)의 변화(变化)가 있다. 칠정(七情)과 장부(脏腑)의 공능(功能)과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있다. 칠정은 질병을 발생시키기도 하고 질병을 치료(治疗)해 주기도 한다. 다음은 곡(哭)과 소(笑)의 치병(治病) 고사(故事)이다. 명(明) 나라 때 어느 농가(农家)의 자제(子弟) 중 이대연(李大谏)이라고 칭하는 사람이 있었다. 어려서 부터 공부를 열심히 하여 수재(秀才)가 되었고 제 2 년(第二年) 향시(乡试)에 합격하여 거인(举人)이 되었으며 제 3 년(第三年) 째 회시(会试)에 진사급제(进士及第)하였다. 이대연의 부친(父亲)은 너무나 기뻐서 양쪽 입의 끝으머리가 항상 귀에 걸려 있었으며 만나는 사람마다 웃으며 자기 자식 자랑하느라고 입에 침이 말라버렸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대연의 부친은 광소병(狂笑症)에 걸렸다. 허다(许多)한 의사(医師)들의 치료를 받았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이대연(李大谏)은 부득이 어의(御医)를 초청하여 아버지의 병을 치료하기로 결심하였다. 이대연은 어의를 만나 사실대로 어의에게 부친의 병정에 관하여 설명해 주었다. 어의(御医)는 한참 동안 심사숙고한 후에 :“病可以治,不过有失敬之处,还多加原谅。” 이라고 이대연에게 말했다. 다시 말하면 ”당신 부친의 질병은 치유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내가 당신의 부친께 실례를 해야 하는데 이해하셔야 합니다.” 는 뜻이다. 이대연은 어의에게 :“谨遵医命,不敢有违。” 라고 대답했다. 다시 말하면 ”물론 어의께서 분부하시는 대로 따를 따름이며 절대로 거역하지 않을 것입니다.” 는 뜻이다. 그래서 어의(御医)는 즉시 사람을 이대연의 부친의 집으로 보내어 이대연(李大谏)의 부친(父亲)에게 :“ 你的儿子因患急病不幸去世了。” 라고 전하라고 명했다. 다시 말하면 ”당신의 아들이 급병에 걸려 사망했습니다.” 는 뜻이다. 이대연(李大谏)의 부친(父亲)은 입신출세한 아들의 사망통보를 받고 대성통곡하기 시작하다가 비통(悲痛)함이 과도하여 혼도한 후 부터 광소증(狂笑症)이 없어져 버렸다. 얼마 지나지 않아 어의(御医)는 또 다시 사람을 이대연의 부친에게 보내어 :“你儿死后,幸遇太医妙手回春,起死回生被救活了。” 라고 전했다. 다시 말하면 ”당신의 아들이 죽은 후 다행히 태의의 묘수로 인하여 기사회생했습니다.” 는 뜻이다. 이대연의 부친(父亲)은 아들이 살아났다는 소식을 듣고나서 비통감(悲痛感)이 사라졌으며 10년 된 광소증(狂笑症)도 자연적으로 치유되었다. 이 치료법은 심리학(心理学)에서 “상반치료(相反治疗)” 라고 일컫는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