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2월 14일 금요일

한의학에서는 어떻게 질병을 치료할까?

한의학에서는 어떻게 질병을 치료할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겨울철에 찬 바람(風寒)을 쐬어 감기에 걸렸을 때 생강탕을 끓여 마신 후 이불을 뒤집어 쓰고 땀을 낸다. 그러면 그 이튿 날 감기가 치유된다.


생강은 상용하는 한약이다. 생강을 복용하면 매운 맛과 따뜻함을 스스로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생강을 온열형한약(溫熱型漢藥)이라고 부른다.


박하 사탕이나 박하 치약을 사용할 경우 입안이 서늘하고 약간 찬 느낌을 스스로 느낄 수 있다. 그래서 박하는 한량형한약(寒涼型漢藥)이라고 칭한다.


한의학에서는 어떻게 질병을 치료할까?


만일 우리의 몸에서 열이 날 경우 열증(熱癥)이므로 박하와 같은 한량형한약을 사용하여 인체를 정상으로 회복시킨다.

또 몸에 한기가 있을 경우 한증(寒癥)이므로 생강과 같은 온열형한약을 사용하여 인체를 정상으로 회복시킨다.


이상은 질병과 한약을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분류한 것이다. 열형(熱型)과 한형(寒型)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한의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열()、습()、조()、한()으로 분류하며 오행(五行)이라고 칭한다.

봄철()에는 바람()이 일고 여름철엔 뜨겁고() 늦여름(長夏)엔 장마가 있으므로 습기(濕氣) 가 많고 가을()은 건조(幹燥)한 계절이며 겨울철은 한냉(寒冷)한 계절이다.


다음은 일상 생활 중에 사용하는 한약들이다.


1.거풍약(祛風藥) : 거풍약은 풍형 질병을 치료해 준다. 생강, 박하, 국화 등이 있다. 박하 사탕을 먹고 국화차를 마시면 풍사가 발산된다.


2. 거열약(祛熱藥)은 한냉약(寒冷藥)인데 열성 질병을 치료해 준다.

SARS(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 급성 호흡계통 종합증)가 유행하는 계절에 한약방에서 판란근(板蘭根)이 가장 많이 팔리는 한약이다.


중국 사람들은 SARS가 유행할 때 판란근(板蘭根)을 선물로 사용하고 있다.


판란근(板蘭根)은 한형약 (寒型藥)이므로 체내의 열을 발산시켜 준다.


황련(黃連) 역시 한냉약으로써 해독, 청열, 사하, 조습약이다.


양약고구이어병(良藥苦口利於病)” 이란 말은 사실은 황련(黃連)으로 부터 생긴 말이다.


3. 거습약(祛濕藥 은 사리거습(瀉利祛濕) 작용과 화어활혈(化瘀活血) 작용과 이기화체(理氣化滯) 작용이 있다.


동과피(冬瓜皮) 는 수도(水道)를 통창(通暢)시켜 주므로 소변불통을 치료해 준다.


파두(巴豆)도 거습약이고 월계화(月季花)와 도인(桃仁)은 활혈화어약이다.


무협소설(武俠小說)에 보면 월계화와 도인을 배합하여 활혈화어약을 조제해서 무사들에게 복용시켜 싸움 도중 어혈을 예방해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4. 거조약 (祛燥藥)은 조성(燥性) 질병을 치료해 준다.


행인(杏仁)은 윤조(潤燥) 작용이 있으므로 가을철(秋天)에 행인차(杏仁茶)를 만들어 마시면 윤조통폐(潤燥通肺) 작용이 있다. 가을철은 금(金、肺)에 속한다.


5. 거한약 (祛寒藥 )은 온열약(溫熱藥) 으로써 한형(寒型) 질병을 치료해 준다.


화초(花椒)와 호초(胡椒)는 전형적인 열형 한약이다.


한약을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거사약(祛邪藥)으로써 인체내의 병사 (病邪 : 風、熱、濕、燥、寒)를 구축해 주는 약인데 한의학에서 이와 같은 질병을 유발시키는 인소를 사실(邪實) 이라고 칭한다. 사실(邪實)은 병사가 외부로부터 침입해 들어와 질병을 유발시키는 것이고 병사의 침입과는 상관없고 인체가 허약하여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정허(正虛)라고 칭한다.


사실(邪實)은 풍()、열()、어()、한()、수()로 분류되고 정허(正虛)는 음()、양()、기()、혈()、진액(津液)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한의학에서 정허의 치료는 보허법(補虛法)과 부정법(扶正法)을 사용한다.


보허법에는 보음(補陰)과 보양(補陽)과 보기(補氣)와 보혈(補血)과 보진액(補津液)이 있다.


1.보음 : 별갑(鱉甲 : 자라의 등딱지)은 보음약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한약이다. 거북과 자라는 깊은 물 속에서 살므로 음()에 속하고 보음약으로 사용하나 보양약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2. 보양(補陽) : 녹용(鹿茸)은 보양약(補陽藥)으로 사용한다. 소설에 보면 녹혈(鹿血)은 남성들의 성욕을 자극시켜 준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3. 보기(補氣) : 인삼은 보기의 양약이다. ()가 끊어지려고 하는 환자에게 한의사들은 인삼탕을 복용시킨다. 대추 역시 보기(補氣) 작용이 있다.


4. 보혈(補血) : 구기자(枸杞子)는 자음장양(滋陰壯陽)해 주는 보약이다.


한의사들은 구기자를 보혈의 양약으로 사용한다. 아교(阿膠) 역시 보혈(補血) 작용이 있다.


5. 보진액(補津液) : 중국의 유명한 아나운서 송세웅(宋世雄)은 주치 한의사의 분부에 따라서 석곡차(石斛茶)를 매일 마시고 있는데 석곡(石斛)은 생진윤상(生津潤)해 주는 공효가 있기 때문에 목구멍을 항상 촉촉하게 해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