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월 31일 토요일

보리(Barley)

보리(Barley)
 
혈당의 표준은 포도당(glucose) 이나 흰빵(white bread)100 으로 잡았다그러므로 포도당과  흰빵의  혈당지수(血糖指數)는 100 이다탄수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음식물 중 혈당지수(GI)가 70 이상인 음식물의 혈당지수는 높다고 정하고  GI (혈당지수)가  56 69 사이에  있는 음식물의 혈당지수는 중간이라고 정했으며  GI (혈당지수)가 55 이하인 음식물의 혈당지수는 낮다고 결정했다.
그러므로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물들은 혈당지수가 중간이거나 낮은 음식물 보다 혈당을 더 많이 올려준다
보리(Barley)는 혈당지수가 낮은 음식물 속에 포함된다.  혈당지수(GI)는 혈당을 조절하는데 필요하다.
보리 속에는 5% 내지  8% 의 글루텐(gluten)을 함유하고 있다.
 
현재 미국내의 제 2 형 당뇨병(Type 2 diabetes)  환자와 당뇨병 전조 증상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의 숫자는 대략 1 억명에 가깝다. 그러므로 미국 사람 3 사람이 모인 곳에 한 명은 당뇨병 환자라고 말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당뇨병은 체중을 경감시키고  정기적으로 운동을 하며 잡곡과 섬유질이 풍부하게 들어있는 채소와 과일을
섭취하면 예방할 수 있는 질병이라고 말한다.  
보리는 제 2 형 당뇨병 환자들과 당뇨병 전조 증상이 있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잡곡이다. 왜냐하면 보리 속에는 필수 비타민(essential vitamins) ​과 광물질(minerals)식이섬유가 풍부하게 들어있기 때문이다.
특히 보리 속에는 베타글루칸(beta-glucan)이라고 칭하는  수용성 식이섬유(soluble fiber)가 함유되어 있다.  
과학자들은 보리 속에 들어있는 베타글루칸(beta-glucan)은 포도당(glucose)의 흡수를 지연시키는 작용이 있다고 발표했다.  
과학자들은 보리를 섭취하는 당뇨병 환자들의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 됨을 발견하였고 혈당의 상승도 완만해 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2006 8 월호  th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의학잡지에 실린 논문을 보면 A B 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A 그룹의 당뇨병 환자들에게는 보리빵을 먹이고 B 그룹의 당뇨병 환자들에게는 밀빵을 먹인 결과 A 그룹의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이 B 그룹의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 보다 더 많이 떨어졌으며 인슐린 저항성도
마찬가지 결과를 나타냈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 2007 8 월호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journal 에 보면 보리빵이나 보리밥을 먹인 제 2 형 당뇨병 환자들의 HbA1c  는 흰밀빵을 먹인 2 형 당뇨병 환자들 보다 30% 가 하강되었다고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잡곡들은 표피에 가까운 부위에 섬유소(fiber)가 많이 들어있는데 특별히 보리는 알맹이의 겉이나 속이나를 불문하고 섬유질이 전체 속에 골고루 분포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수용성 베타글루칸 식이섬유(beta-glucan soluble fiber)는 혈당(blood glucose)의 레벨을 조절해 주는 식이섬유이다.


http://www.barleyfoods.org/gfx/clear.gif

http://www.barleyfoods.org/gfx/clear.gif
보리 속에는 콜레스테롤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않다.    

또 보리는 수용성 섬유와 불수용성 섬유를 함께 지니고있는 잡곡 중 하나이다. 수용성 섬유(Soluble fiber)는 혈중 콜레스테롤의 레벨을 강저시켜 줌과 동시에 심장질환(heart disease)을 하강시켜 준다. 또 수용성섬유(Soluble fiber) 인체 내에서 설탕을 서서히 흡수하게 해주므로 2 형 당뇨병을 예방해 준다.  
 
그 뿐만 아니라  보리 속에 들어있는 불수용성 섬유(insoluble fiber)는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시켜 주고  줌과 동시에 대장암(colon cancer)을 예방해 준다.    
   
보리 속에는 콜레스테롤(cholesterol)이 없고 지방의 함량이 낮다. 1/2 컵의 보리 속에 1/2 g 의 지방이 들어있으며 100 칼로리(calories)열량을 생산한다.
    "Source: USDA Nutrient Database" 
   

보리 속에는 니아신(niacin : 비타민 B3)과 티아민(thiamine : 비타민 B1)과 셀레늄( selenium)  과 철(iron) 과 마그네슘(magnesium)아연(zinc)과 인 ( phosphorus)과 구리(copper) 등을 비롯하여 각종 영양분이 골고루 들어있다.

보리 속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제(antioxidants)들은 인체가 산소(oxygen)를 사용 할 때 발생되는 활성산소 (free radicals )경감시켜 준다.
 

또 보리 속에 들어있는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s)들은  심장질환( heart disease) 과 당뇨병(diabetes)과 암증(cancer)을 예방해 준다   

http://www.barleyfoods.org/gfx/clear.gif
       
http://www.barleyfoods.org/gfx/clear.gif
과학자들은 섬유소의 섭취량을 증가시키고 포화지방 ( saturated fat)과 트랜스지방( trans fat)과 콜레스테롤( cholesterol)함유되어 있는 음식물을 최소한도로 섭취할 때 심장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한다.
기름이 많이 붙어있는 동물들의 고기와 닭의 껍질(chicken skin)과 우유(milk) 와 버터(butter) 와 크림(cream) 과  치즈cheese)와 야자유(palm oil)와 코코넛오일(coconut oil) 속에는 포화지방(Saturated fat )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식물성 기름에 수소를 첨가시켜 굳게 만들 경우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쇼트닝과 마가린(margarine) 과 크랙커(crackers)쿠키(cookies) 튀긴 음식(fried foods)과 살라드 드레싱( salad dressings) 등은 트랜스지방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외에도 우유제품(milk products) 과 소고기(beef) 양고기(lamb) 속에도 트렌스 지방이 함유되어 있다.

    
동물의 내장과 간(liver)과 달걀의 노른자위(egg yolks)와 새우(shrimp) 속에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높다
  
포화지방(Saturated fat)과 트랜스지방( trans fat)과 콜레스테롤(cholesterol)은 혈액 속의
나쁜 콜레스테롤( LDL cholesterol (bad cholesterol))의 레벨을 증가시켜 준다.  

   

불수용성섬유(Insoluble fiber)는 장의 연동 운동을 증진시켜 주고 대장암(colon cancer)을 예방해 준다.

     
과학자들은 수용성 섬유와 불수용성 섬유를 모두 합하여 하루에 25g 내지 38 g 씩 섭취해야 된다고 말한다


½
의 보리 속에는 3 g 의 식이섬유가 포함되어 있고 ½-의 현미(brown rice) 속에는 1.75 g  의 식이섬유가 포함되어 있으며 반 컵의 흰쌀 속에는 1 g 의 식이섬유가 각각 함유되어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