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월 19일 월요일

보신(补肾)은 남성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고 여성들에게도 해당된다.


   

한의학의 고설화(古话说) 중에 보면 男怕伤肝女怕伤肾이란 구절이 있다. 다시 말하면 남성들은 간이 상함에 유의해야 하고 여성들은 신장이 상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는 뜻이다. 为女人월경(月经)과 백대(白带)와 회잉(怀孕)과 분만(分娩)과 포유(哺乳) 등 여성 특유(特有)의 생리현상(生理现象)은 신장(肾臟)과 직접적(直接的)인 관계를 지니고 있다. 동시에 여성들의 경우 미(美)를  추구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신음(肾阴)을 자양(滋养)해 주지 않으면 않된다그러므로 보신은 남성들에게 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고  여성들에게도 해당되며 특히 여성들은 신허(肾虚)에 신경을 써야한다.

    금년 32 세(岁)의  K 여성은 두 살된 아들이 있는데 아들을 낳고 난 후 부터 무기력(無气力)하고  얼굴에 생기(生气)가  없으며 때때로 이명(耳鸣)과 두훈(头晕) 증상이 있고 성욕냉담증(性欲冷淡症)이 나타나서 남편에게 항상 미안한 생각이 있다. 그녀의 맥상(脉象)은 침지(沉迟)이고 설체(舌体)는 반()이며 설태(舌苔)는 담백색(淡白色)이다. 신양허(阳虚) 증상이다. 이와같은 여성들은 신허(肾虚)를 보(补)해 주는 식물(食物)을 찾아 섭취해 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여성(女性)들의 보양식품(补养食品)을  보면 대부분 보혈류(补血类) 식품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잘못이다사람은 태어나서 생장(生长)과 발육(发育)과 생식(生殖)과 노쇠(老)의  시기(时期)를 거친다. 각 시기(时期)의 각 과정 중 생리공능(生理功能)은 간기(肝气)와 신기(肾气)가 긴밀(紧密)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남성들의  성공능(性能力)과 간()의 소설공능(疏泄功能)은 직접적인 관계를 지니고 있다. 인체(人体)의 경락도(经络图)를  자세히 살펴보면 간경(肝经)은 음기(阴器) 주위를 순행(循行)하고 있다는 것을 단번에 알수있다. 간()은 인체(人体)의 양기(阳气)가 모여있는 곳이며 남성들의  강건한 기질(气質)은 간()에서 출발한다그런데 간()은 신장(肾臟)의 아들()이다()에 문제가 발생 할 경우 신장(肾臟) 역시 자연적으로 손상(損伤)을 입는다. 왜냐하면 간()은 신장의 아들이기 때문이다. 여성(女性) 특유(特有)의 생리공능(生理功能)은 신정기(肾精气)를 계속적으로 온양(温养)해 주는데 의지한다


한의학 이론에 보면 女子以血为本以气为用이란 구절이 있다. 다시 말하면 여자들은 혈(血)을 근본으로 삼고 있으나 혈(血)은 기(氣)에 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기(气)와 혈(血)인체의 생리현상(生理现象)의 기초물질이다. 신주장정(肾主藏精)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하면 신은 정을 간직하고 있다.” 는 뜻이다. 정(精)은 혈(血)을 보양해 줌과 동시에 정은 기화()된다. 그러므로 신정은 여성(女性)들의 행경(行经)과 대하(带下)와 잉산(孕产)과 포유(哺乳) 등 여성 특유의 생리공능(生理功能)의 선결조건(先决条件)이라고 말 할수 있으며 신(肾)에 정기(精气)가 충족(充足)되어 있고 왕성(旺盛)할 때 여성(女性) 특유의 생리공능(生理功能)은 정상적(正常的)이다.


이와같은 생리공능(生理功能)을 수행하기 위하여 신장(肾臟) 속에 간직되어 있는 정기(精气)를 계속 소모(消耗)하고 있다. 적시 적기에 보신(补肾)해 주지 않을 경우 신허(肾虚)가 발생되고 동시에 연령이 더해감에 따라 여성(女性)의 신장(肾臟) 속의 정기(精气)는 점점 쇠갈(衰竭)되어 감으로 인하여 신허(肾虚)가 발생된다. 여성(女性)들의 체내에 병리인소(病理因素)가 침입할 경우 더욱 용이하게 신허증(肾虚症)이 나타난다.


중년(中年) 여성(女性)들의 경우 신허(肾虚) 증상은 남성들에 비하여 비교적 더 많이 나타난다. 신기(肾气)가 부족(不足)한 여성들은 신체핍력(身体乏力)과 이명(耳鸣)과 두훈(头晕)과 성냉감증과 기타 부인과 질병(妇人科疾病)에 쉽게 걸린다반면에 신기(肾气)가 충족(充足)한 여성들은 정력(精力)이 충패(充沛)하고  이목(耳目)이 총명(聪明)하며 얼굴에서 광택이나고 얼굴이 아름답고 마음이 항상 즐겁다


소설홍루몽(红楼梦)에 보면 贾宝玉曾说女人是做的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고보옥은 여자들은 물로 만들어졌다고 말했다.는 뜻이다.  한의학에서도 여성은 수액(水液)으로 자윤(滋润)해 주어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즉 여성들은 항상 신음(肾阴)을 자보滋(补 )해 주어야 한다는 뜻이다.

    여성들의  신허(肾虚)의 원인(原因)은 선천품부(先天禀赋)의 부족(不足)으로 인하여 태어날 때 부터 기초가 튼튼하지 않은 것도 있지만 후천적(后天的)으로 에너지의 과도한 소모(消耗)도 주요 원인(原因)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여성(女性)들은 조수(早睡 : 일찍 잠자리에 들다)해야 되고 오야(熬夜 : 밤을 지새움)는 절대 금물이며 과도한 방사(房事)도 금물이다. 만일 이 법칙을 위반 할 경우 여성(女性) 신체조직(身体组织)의 진액(津液)을 과도하게 소모하므로 신장(肾臟)이 진액(津液)을 충족(充足)시키는데 있어서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신장(肾脏)의 피로(疲劳)가 쌓이면 쌓일 수록 신휴허(腎亏虚) 증상이 나타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