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월 20일 화요일

심장(heart)이 하는 일과 대둉맥협착증

심장(heart)이 하는 일과 대둉맥협착증


심장의 윗쪽에 자리잡고 있는 2 개의 심방 (atria)은 피를 받아들이는 방이고 아랫쪽에 자리잡고 있는 2 개의 심실 (ventricles) 은 피를 품어내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전신을 순환하고 심장으로 돌아오는 피는  모두 우심방으로 들어 온 후 바로 애래에 있는 우심실로 내려가고 우심실로 내려 온 피는 폐로 들어가서 산소와 결합되어 피가 깨끗해 진다. 폐에서 깨끗해진 피는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는데 이때 왼쪽에 자리잡고 있는 좌심방으로 들어오고 즉시 아래에 있는 좌심실로 내려간다.  좌심실에서는 피를 품어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가로놓여 있는 대동맥판을 통과하여 전신으로 피를 품어낸다.


심장에서 품어 낸 혈액은 4 개의 판막을 통과하는데 오직 원웨이(Oneway)이다.  :4 개의 판막은 다음과 같다.

삼첨판(Tricuspid valve)

폐동맥판(Pulmonary valve)

이첨판(Mitral valve)

대동맥판(Aortic valve)


좌심실(left ventricle)이 수축됨과 동시에 대동맥판이 열리며 대동맥으로 들어 간 피는 전신으로 공급된다4 개의 심장판막 중 어느 한 개라도 완벽하게 열렸다 완벽하게 닫히지 못 할  경우, 잘못 닫히면 피가 새고 잘못 열리면 피의 수출량이 경감된다.  판막이 잘못 닫힐 경우 역류현상(regurgitation)이라고 칭하고  판막(valve)이 좁아서 혈액의 수출량이 경감되는 경우를 협착증(stenosis)이라고 칭한다.


대동맥판막협착증(Aortic valve stenosis)은 가장 엄중한 증상이다.  왜냐하면 대동맥판막(aortic valve)이 좁아 질 경우 더 많은 피를 대동맥으로 내품기 위하여 좌심실은 더 많이 일을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원래 좌심실은 우심실 보다 3 배나 두껍게 만들어져 있다. 우심실에서 품어내는 피는 오직 폐로 만 나가기 때문에 좌심실의 벽 보다 얇게 만들어져 있다. 좌심실에서 품어내는 피는 전신으로 공급된다.


대동맥판막이 좁아 질 경우 좌심실의 근육은 더욱 굵어지고 커질것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근육은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튼튼해지고 굵어지기  때문이다. 인체의 모든 기관은 일하는데 한도가 있기 때문에 언젠가는 심장이 지칠 때가 닥쳐온다. 심장이 지칠 때 부터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한다. 최종적으로 좌심실이 약해져서 심장 전체에 문제가 발생한다.


대동맥판막협착증(aortic valve stenosis)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해 둘 경우  다음과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을 스스로 경험하게 된다. :

(1)흉통(Chest pain (심교통(angina))

(2)졸도(Fainting (syncope))

(3)심부전(Heart failure)

(4)부정맥(Irregular heart rhythms (arrhythmias))

(5)심장발작(Cardiac arrest) 등을 경험하게 된다.


대동맥협착증(aortic valve stenosis)의 예방 :

(1)고혈압(high blood pressure), 비만(obesity), 고(高)콜레스테롤(high cholesterol)  레벨(levels) 등은 대동맥협착증(aortic valve stenosis)과 깊은 관계를 갖고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체중을 경감시키고  평소에 혈압(blood pressure) 조절을 잘 해야 하며 콜레스테롤(cholesterol)의 레벨(levels) 을 경감시켜 잘 조절해야  한다.


(2)이빨(teeth)과 잇몸(gums)의 건강에 항상 유의해야 한다 왜냐하면 치은염(齒龈炎: gingivitis) 과 심내막염(endocarditis).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심장조직(heart tissue)에 염증이 발생 할 경우 동맥협착증이 유발되고  대동맥판막협착증도 유발되기 때문이다.


서양 의사들은 대동맥판막협착증(aortic valve stenosis)이 있는 환자들에게 심한 운동을 하지 말라고 권유한다., 왜냐하면 심한 운동을 할 경우 심장에 더 많은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이 있는 여성들은 회임하기 전에 미리 의사와 가족계획에 대하여 상의해야 한다. 왜냐하면 회잉시 심장은 회잉하기 전 보다 더 많은 일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대동맥판막협착증(aortic valve stenosis) 이 있는 여성들은 자신의 증세가  경증인지? 중증인지? 를 의사에게 문의해야 한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이 있는 여성들이 임신 할 경우 회잉기에서 부터 분만기에 이르기 까지 심장과 의사와 산부인과 의사의 지도를 함께 받아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