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3월 20일 화요일

전복(全鰒)

전복(全鰒)


전복(全鰒)은 포과(鮑科) 동물 구공포(九孔鮑) 또는 반대포(盤大鮑)의 고기이다. 바다에 사는 연체동물이며 산해진미 중 하나이다.


() 나라 때 일본에서 전복(全鰒)을 수입해 갔으며 왜라(倭螺:일본소라)라고 불렀다.


소동파는 복어행(鰒魚行)” 이란 전복에 관한 다음과 같은 시()를 읊었다.


동수해박호왜라(東隨海舶號倭螺), 이방진보래경다(異方珍寶來更多).”


다시 말하면 동해 바다를 통해 돌아오는 큰 선박 속에 왜라고 불리는 일본의 소라가 수입되어 오고 또 다른 나라에서 진귀한 보물들이 배에 실려 들어오네!” 라는 뜻이다.


현재 전 세계의 전복(全鰒) 생산량이 점점 감소되어 가고 있다.


포어는 사대해미(四大海味), (), (), (), 두 지수(肚之首)” 이다.


다시 말하면 전복(全鰒)은 바다에서 생산되는 가장 맛있는 네 가지 해물 즉 전복과 해삼과 상어 지느러미와 생선의 창자 중에서 일 등이다.” 는 뜻이다.


전복(全鰒)은 육질이 섬세하고 맛이 좋고 영양이 풍부하다. 신선한 전복 속에 단백질이 24%, 말린 전복속에는 단백질이 40% 함유되어 있으며 고단백(高蛋白), 저지방 보건 식품이다.


현대 연구에 의하면 전복 속에 들어있는 포어소(鮑魚素) ”1” 과 포어소(飽魚素) “2” 는 암세포 억제 작용이 있다고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섭씨 60도쯤 되는 물속에 전복을 4 시간 동안 담그어 두었다가 얕은 불로 끓여 사용한다.


황제내경 소문에 포어(鮑魚)라고 기록되어 있고 본초연의(本草衍義)에 석결명육(石決明肉)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의림찬요(醫林纂要)에 경면어(鏡面魚), 명목어(明目魚)라고 각각 기록되어 있다.


전복(全鰒)은 수심이 3m 내지 15m 되는 깊은 물속에 살며 암초(岩礁)나 산호초(珊瑚礁)들이 서식하는 해저에 산다. 특히 물이 맑고 해조류가 서식하는 곳을 좋아한다. 암석 표면에 붙어있는 규조류(硅藻類)와 홍조류(紅藻類)와 갈조류(褐藻類)를 먹고 산다. 규조류는 규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바다속 은화(隱化) 식물이고 홍조류는 홍색이나 자색을 띤 조류 식물이며 어린 전복들은 규조류를 핥아 먹고 성장함에 따라 홍조류와 갈조류를 먹고 살며 유공충(有孔蟲)과 요족류(橈足類 : 새우 따위)와 다모류(多毛類) 등을 잡아먹고 산다.


전복의 성미(性味)는 의림찬요에 감(), (), ()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수식거음식보에 감(), (),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공용(功用) 자음청열(滋陰淸熱)해 주고 익정명목(益精明目)해 주므로 노열골증(勞熱骨蒸)과 해수와 붕루와 대하(帶下)와 임병과 청맹(靑盲)과 내장(內障) 등을 치료해 준다.


촉본초에 보면 주해수(主咳嗽), 담지명목(啖之明目)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전복은 해수를 치료해 주고 눈을 밝혀준다.” 는 뜻이다.


의림찬요에 보면 보심완간(補心緩肝), 자음명목(滋陰明目). 치골증노열(治骨蒸勞熱), 해망열(解妄熱), 요옹저(療癰疽), 통오림(通五淋), 치황달(治黃疸).”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전복은 신장(腎臟)과 간()을 보해 주고 자음해 주며 눈을 밝혀준다. 골증노열을 치료해 주고 청열해 주며 옹저를 치료해 주고 오림을 치료해 주며 황달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수식거음식보에 보면 보간신(補肝腎), 익정명목(益精明目), 개위양영(開胃養營), 이대탁붕림(已帶濁崩淋), 유공증노극(愈骨蒸勞極).”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전복은 간과 신()을 보해 주고 정을 더해 주며 눈을 밝혀주고 위를 보해 주며 대하와 붕루를 치료해 주고 골증노열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내복 할 경우 삶아서 먹거나 탕을하여 복용한다.


1. 전복 속에는 단백질과 칼슘과 철분과 옥도와 비타민 A 가 들어 있으며 포소 성분은 항암작용이 있다.

2. 양음(養陰), 평간(平肝), 고신(固腎), 신상선 분비 조절, 혈압 쌍향 조절 작용이 있다.

3. 조경(調經)과 윤조이장(潤燥利腸) 작용과 월경불순과 변비 등을 치료해 준다.

4. 전복은 자음보양(滋陰補陽) 작용이 있고 전복을 먹고나서 치통과 비출혈 등 부작용이 없으면 많이 먹어도 무방하다.

5. 오스트랄리아 과학자들에 의하여 포어는 호두 보다 7 ()나 더 많은 영양분을 포함하고 있다고 발표되었다.

6. 전복죽 :


전복을 얇게 썰어 참기름과 함께 볶는다. 물에 불려놓은 쌀도 볶는다. 최후로 물과 함께 모두 혼합하여 죽을 끓인다. 쌀알이 개화(開花)되면 소금과 조미료를 섞어서 먹는다.


사대해미(四大海味)는 다음과 같다.


1. 포어(鮑魚: 전복)해미지관(海味之冠)” 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하면 전복은 바다에서 생산되는 해물의 왕이다.” 는 뜻이다.


2. ()는 상어의 지느러미()인데 지느러미는 생장 부위에 따라서 등급이 정해진다. 배기( : 등지느러미)시다육소(翅多肉少 : 지느러미가 많고 고기는 조금 붙어 있다)” 하므로 최상품이고 흉기(: 가슴 지느러미)시소육다(翅少肉多 : 지느러미는 적고 고기가 많다)하므로 이등품이며 미기( : 꼬리 지느러미) 3 등품이고 둔기(: 엉덩이 지느러미) 4 등품이다. 색깔로 등급을 나눌 때는 황색과 백색과 회색이 상등품이고 그외의 색깔은 이등품이다.


3. ()는 어두(魚肚)를 일컫는데 어표(: 부레)이다. 물고기들을 뜨고 가라앉게 해주는 기관(器官)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상어의 부레와 예자어두(子魚肚 : 암놈 고래의 부레) 등을 일컫는다.


4. ()은 해삼(海蔘)을 일컫는다. 해삼은 고단백(高蛋白), 저지방(低脂肪), () 콜레스테롤 식품이다. 해삼은 자보(滋補) 식품으로써 보신(補腎)해 주고 보혈(補血)해 주며 고혈압과 관심병과 간염을 치료해 주고 노년인들에게 유익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