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양진남북조(三國兩晉南北朝時代
: 서기 190 년 – 서기 581 년)
한(韓) 중(中)
의학교류(醫學交流)
양진(兩晉)
남북조 시대부터 한(漢) 중(中) 사이의
의(醫), 약(藥), 위생 방면의 교류는 매우
활발하였다. 서기 4 세기 중엽 중국 승려 순도(順道)와
아도(阿道)와 마라난타(摩羅難陀)와
묵호자(墨胡子) 등이 한문으로 번역된 인도의
불경(佛經)을 가지고 조선으로 들어갔다.
동진(東晉)
제 8 대왕 간문제(簡文帝) 때 (서기
372 년, 고구려 소수림왕 2 년)에 고구려로
먼저 들어갔고 그후 서기 384 년 동진의 제 9 대왕
무제(武帝) 때 백제로 들어갔으며 서기 442 년
남조(南朝) 유송(劉宋)의 제 3
대왕 문제(文帝) 때 신라로 각각 들어갔다.
이들은
불전(佛典) 오명(五明) 속에 있는
의방명(醫方明)을 보고 의약으로 시술하였다.
삼국유사(三國遺事)
3 권(卷)에 보면
”순도조려(順道肇麗),
아도기라(阿道基羅).”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순도가 맨 처음으로 고구려에서 시작하였고 아도는 신라에서 시작하였다.” 는
뜻이다.
그
당시 중국 승려 순도와 아도와 마라난타와 묵호자는 의료 시술을 시행하였으며 궁정(宮廷) 출입도
하였고 한편으로는 불교를 전파하고 또 한편으로는 의술을 폈다. 그리하여 그 당시 고구려 신라 백제에서는
승려의학(僧侶醫學)이 성행하였다.
얼마
후에 갈홍(葛洪 : 서기 281 년 - 서기
341 년)의 주후방(肘后方)과
도홍경(陶弘景 : 서기 456 년 – 서기
536 년)의 본초경집주가 계속적으로 전입되었다. 중국의 양생법과
연단술(炼丹術)과
연금술(炼金術)을
조선에서는 선도술(仙道術)이라고 칭했다.
도홍경의
본초경집주에 보면 ”금설(金屑),
벽악이유독(辟惡而有毒, 불연복지살인(不炼服之殺人,
고구려성기연숙가복(高句麗成器炼熟可服).”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금속 가루는 독이 있기 때문에 사람이 잘 연단하지 않은 것을 복용하면 죽었다. 그러나
고구려에서 연단한 금속은 복용해도 아무런 탈이 없었다.” 는 뜻이다.
백제신집방(百濟新集方)에
보면
”백제파갈씨주후방적치폐옹방화치정방수재어백제신집방리(百濟把葛氏肘后方的治肺癰方和治丁腫方收載於百濟新集方裏).”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백제신집방 속에 갈홍의 폐옹 치료방과 정종 치료방이 수록되어 있다.” 는
뜻이다.
또
주서(周書)에 보면
”백제병유궁전(百濟兵有弓箭),
도초(刀梢), 기수이자파해문(其秀異者頗解文),
우해음양오행(又解陰陽五行),
우해의약복무점상지술(又解醫藥卜巫占相之術).”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백제의 군사들은 활과 화살과 창과 칼을 가지고 있고 재능과 지혜가 유달리 우수하며 음양오행을 이해고 있고 또
의약을 이해하며 점도 칠줄 알고 관상도 볼 줄 안다.” 는 뜻이다.
일본
고적문화대계(古籍文化大系)에 보면
”오인지총휴내외전본초경(吳人知聰携內外典本草經),
명당도등164권의약서부일(明堂圖等164卷醫藥書赴日),
도중로경고구려(途中路經高句麗),
재고구려전수료한의학(在高句麗傳授漢醫學).”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오나라 사람 지총은 불교의 내전(內典)과
외전(外典)과 본초경과 명당도 등 164 권의 의약책을 가지고 일본을
향하여 가던 중 고구려에 머물며 고구려 사람들에게 한의학을 전수했다.” 는 뜻이다.
또
김투종(金鬪鐘)의 한국의학사에 보면 ”백제는 중국 남북조시대의
의사제도(醫事制度)를 모방하여 의자(醫者)와
약자(藥者)를 구분하여 태의승(太醫丞)과
약장승(藥藏丞)의 제도를 두었고 의박사(醫博士)와
채약사(采藥師)를 구분하였다.” 고 기록되어 있다.
도홍경의
본초경집주에 보면 고구려와 백제에서 생산되는 명귀 약재는 인삼, 금설, 세신,
오미자, 관동화, 백부자, 오공,
곤포, 무이, 은설 등이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약재의 형태와
약성을 상세히 기록해 놓았다.
예를
들면 인삼에 대하여 ”내중백제자(乃重百濟者),
형세이견백(形細而堅白),
기미박어상당(氣味薄於上黨);
차용고구려(次用高句麗), 형대이허연(形大而虛軟),
불급백제(不及百濟).”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백제에서 생산되는 인삼은 알이 잘고 보드랍지만 무겁고 단단하며 색갈은 하얗고 기미는 상당 인삼 보다
엷다. 다음은 고구려 인삼인데 모양은 크고 굵으나 연하며 백제 인삼에 미치지 못한다.” 는
뜻이다.
또
관동화에 대하여 ”제일출하북(第一出河北),
차출고구려(次出高句麗), 백제(百濟),
기화이대국화(其花以大菊花).”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하북성에서 생산되는 관동화가 제일 품질이 우수하고 그 다음은 고구려 관동화와 백제 관동화인데 그 꽃은 큰 국화꽃
만 하다.” 는 뜻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