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3월 15일 목요일

냉이(薺菜)

냉이(薺菜)


손사막의 천금(千金)-식치(食治)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는 십자화과(十字花科) 식물 제채(薺菜)의 전초(全草)이다.


명의별록에 제()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시진은 본초강목에 다음과 같이 기록해 놓았다.


제생제택(薺生濟澤), 고위지제(故謂之薺). 석가취기경작도조등장(釋家取其莖作挑燈杖). 가벽교아(可辟蛟蛾), 위지호생초(謂之護生草), 운능호중생야(云能護衆生也).”


다시 말하면 냉이는 사람에게 은혜를 베풀어 주고 혜택을 주는 채소이기 때문에 제()란 이름을 얻었다. 불가(佛家)에서는 냉이의 줄기를 막대기 삼아 등을 달아 쳐들고 다녔다. 왜냐하면 벌레들과 나방이들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냉이는 호생초란 이름을 얻었으며 중생을 보살펴 주는 풀이라고 말한다.” 는 뜻이다.


또 이시진은 제유대소수종(薺有大小數種), 소제엽화경편미미(小薺葉和莖扁美味), 기최세소자(其最細小者), 명사제야(名沙薺也), 대제과엽개대(大薺科葉皆大), 이미불급(而味不及), 기경경유모자(其莖硬有毛者), 명석명(), 미불심가(味不甚佳), 병이동지후생묘(幷以冬至後生苗), 이삼월기경(二三月起莖), 오육촌(五六寸), 개세백화(開細白花), 정정여일(整整如一), 결협여소평(結莢如小萍), 이유삼각(以有三角), 협내세자여정력자(莢內細子如瀝子), 기자명차(其子名), 음차(音嵯), 사월수지(四月收之).” 라고 기록해 놓았다.


다시 말하면 크고 작은 냉이의 종류는 많은데 작은 냉이가 맛이 좋고 냉이 중에서 가장 작은 냉이를 사제(沙薺 : 모래같이 작은 냉이)라고 부른다. 큰 냉이의 맛은 작은 냉이의 맛에 미치지 못하고 줄기가 매우 단단하며 털이 나 있고 기명이란 이름을 갖고 있으며 맛은 그다지 좋지 않다. 냉이는 동지가 지나자 마자 싹을 내며 이 삼월에 줄기가 올라오고 키는 5, 6 () 쯤 자라며 사이즈가 일정한 가냘프고 작은 하얀색 꽃을 피운다. 꼬투리는 삼각형이고 작은 부평초와 같고 꼬투리 속에 정력(두루미 냉이)의 씨와 같은 작은 씨앗이 들어 있으며 이름은 차()이다. 4 월에 씨를 채집한다.” 는 뜻이다.


냉이와 질경이를 배합하여 사용하면 상승 작용이 발생하여 양성수종(陽性水腫)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냉이는 이수삼습(利水渗濕) 작용이 강하고 질경이는 삼습 작용 외에 청열 작용이 있다. 그래서 냉이와 질경이를 배합하면 질경이는 냉이의 이수(利水) 작용을 증강시켜 주고 냉이는 질경이의 청열 작용을 증강시켜 준다.


광서중약지(廣西中藥志)에 보면 제채일냥(薺菜一兩), 차전초일냥(車前草一兩), 수전복(水煎服). 치양증수종(治陽症水腫).”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냉이 한 냥()과 질경이 한 냥()을 수전복하면 양성수종이 치료된다.” 는 뜻이다.


견권(堅權 : 서기 541 서기 643 )의 저서 약성본초(藥性本草)에 보면 근엽소회(根葉燒灰). 치적백리(治赤白痢), 극효(極效).”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적백이질(赤白痢疾 : 적리와 백리가 교대로 나타나는 이질)의 치료에 냉이의 잎사귀와 줄기를 태운 재를 복용하면 치료 효과가 매우 좋다.” 는 뜻이다.


또 성혜방(聖惠方)에 보면 적안(赤眼) : 통창참력(痛脹), 제채근저즙(薺菜根杵汁), 적지(滴之).”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눈속에 모래알이 굴러 다니는 것과 같은 통증이 있고 눈알이 빨간 눈병의 치료 : 신선한 냉이의 뿌리를 절굿 공이로 찧어 즙을 내서 눈속에 떨어뜨리면 치유된다.” 는 뜻이다.


또 성제총록(聖濟總錄)에 보면 안생예막(眼生翳膜) : 제채화근경엽(薺菜和根莖葉), 세정배건(洗淨焙乾), 위세말(爲細末), 매야와시선세안(每夜臥時先洗眼), 조말미허(挑末米許), 안양대제두(眼兩大眦頭), 삽통인지(澁痛忍之), 구구막자락야(久久膜自落也).”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안구각막박예(眼球角膜薄翳) 치료방 : 냉이의 뿌리와 잎을 깨끗이 씻어 얕은 불에 쬐어 말려서 가루낸다. 밤에 잠자기 전에 눈을 씻고 나서 냉이 가루와 쌀 가루를 섞어 물과 반죽해서 떡을 만들어 두 눈에 덮어 두면 통증이 멎고 계속 치료하면 각막을 가리고 있던 막이 스스로 떨어진다.” 는 뜻이다.


각막박예(角膜薄翳 : Slight Corneal Opacity)?


안구의 각막이 혼탁하여 지는 눈병을 일컫는다.


냉이 60g 을 수전복하면 이질이 치료된다.


냉이 30g 과 용아초(龍牙草) 30g 을 수전복하면 여성들의 월경과다(月經過多)와 붕루(崩漏)가 치료된다.


냉이 9g 과 저모채(猪毛菜) 9g 을 수전(水煎)하여 3 일간 복용하고 하루를 정약(停藥)하고 또 3 일간 복용하고 하루 정약하면 고혈압이 치료된다.


현대 실용 중약에 보면 지혈(止血). 治肺出血, 子宮出血, 流産出血, 月經過多, 頭痛, 目痛, () 視網膜出血.”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광서중약지에 보면 건위소식(健胃消食), 화적체(化積滯).” 라고 기록되어 있다.


남영시약물지(南寧市藥物志)에 보면 치유미뇨(治乳糜尿)”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냉이는 지방분이 섞인 젖빛과 같은 오줌을 누는 병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제채화(薺菜花)는 이참암본초(履巉岩本草)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는 십자화과 제채의 꽃이다. 냉이의 꽃은 지미화(地米花)라고도 부르고 성미는 감(), ()이고 대장으로 들어 간다.


해독지리 작용이 있으므로 이질을 치료해 준다. 내복 할 경우 9g 내지 15g 을 수전복한다.


오대(五代) 때 명의 진사량(陳士良)의 식성본초(食性本草)에 보면 포석하(布席下), 벽충(辟蟲), 우벽문아(又辟蚊蛾).”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냉이의 꽃을 방석 속에 넣어두면 벌레가 꼬이지 않으며 모기와 나방이를 피할 수 있다.” 는 뜻이다.


또 대명본초에 보면 음건연말(陰乾硏末), 조탕일복이전(棗湯日服二錢), 치구리(治久痢).”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냉이의 꽃을 그늘에서 말려 가루를 만들어 2 ()을 취하여 대추를 삶은 물과 함께 복용하면 오랫 동안 그치지 않는 이질을 치료한다.” 는 뜻이다.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에 보면 능소소아유적(能消小兒乳積); 소회치홍백리(燒灰治紅白痢).”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냉이의 꽃은 어린 아이들이 젖을 먹고 체했을 때 치료해 주고 냉이의 꽃을 태운 재를 복용하면 적리와 백리를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냉이의 씨는 차실()이라고 부르고 3 3 일 날 따서 음건하여 약용한다.


진사량(陳士良)의 식성본초에 보면 역명석명자(亦名蓂子), 사월팔일수지양(四月八日收之良), 기세채자(飢歲采子), 수조성괴(水調成塊), 자죽작병(煮粥作餠), 심점활(甚粘滑).”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냉이의 씨는 석명자(蓂子)라고 부르고 4 8 일 날 채집한 것이 가장 좋다. 흉년에 냉이의 씨를 채취하여 물과 함께 섞어 죽을 끓여 먹거나 떡을 만들어 먹으면 끈기가 있다.” 는 뜻이다.


냉이의 씨의 성미는 감(), (), 무독하다. 명목(明目)해 주고 목통(目痛)을 치료해 주며 청맹(靑盲)을 치료해 주고 오장의 기능을 돕고 복창증을 치료해 주며 열독을 풀어 주고 오래 복용하면 시력이 좋아진다.


千金 - 食治에 보면 냉이의 씨는 인체내의 풍을 몰아내 주고 눈을 밝혀주며 목통을 치료해 주고 청맹을 치료해 주며 예장(翳障)을 치료해 준다. 내복 할 경우 9g 내지 15g 을 수전복한다.” 고 기록되어 있다.


이아(爾雅)에 냉이의 씨를 차(), 제실(薺實)이라고 기록해 놓았다. 식성본초에는 석명자(蓂子)라고 기록되어 있고 본초강목에는 차실()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오보본초(吳普本草)에 보면 치복창(治腹脹)” 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명의별록에는 주명목(主明目), 목통(目痛).”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냉이의 씨는 눈을 밝혀주고 눈의 통증을 치료해 준다." 는 뜻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