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신(補腎)해 주는 두 가지 자세(姿勢) :
신위선천지본(腎為先天之本)이란 말이있다. 만일 신(腎)이 좋지 못할 경우 여의치 못한 대사(大事)를 만나게 된다. 그러므로 양신(養腎)과 보신(補腎)의 방법(方法)은 모든 사람들의 관심사이다. 또 양신의 방법도 다양하다. 수면(睡眠)도 보신(補腎)의 한 가지 방법이다. 수면이 어떻게 보신(補腎)해 줄까? 다음은 보신해 주는 수면의 자세들이다.
2 가지 보신해 주는 수면자세가 있는데 하나는 환양와(還陽卧)이고 다른 하나는 혼원와(混元卧)이다.
첫째 환양와(還陽卧)는 천정을 바라보고 침대에 드러눕는다. 관관절(髖關節 : 궁둥이뼈 관절)을 이완시키고 두 발바닥의 중앙에 있는 족심(足心)을 서로 붙인다. 가장 좋기는 두 발뒤꿈치를 회음혈(會陰穴)에 대면 더욱 좋다. 두 손바닥은 하복부의 단전 부위에 댄다. 이 자세를 취하고 드러누워 있을 경우 신체(身體)는 이완상태에 있으며 양기(陽氣)와 신기(腎氣)가 충만하여 진다. 신양기(腎陽氣)는 명문(命門)의 진화(真火)이며 일 개인의 생명력(生命力)의 대소(大小)의 관건(關鍵)은 명문(命門)의 양기(陽氣)가 충만한가? 부족한가? 에 달려있다.
환양와 자세는 신양기(腎陽氣)를 충족(充足)시켜주는 자세이며 보신(補腎) 작용이 탁월한 자세이다.
둘째 혼원와(混元卧) : 앙와(仰卧 ; 천정을 바라보고 드러눔)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족심을 서로 맞대고 두손은 머리 위로 올려준다. 이때 양 손바닥의 중앙에 있는 수심(手心)을 백회혈(百合穴)에 댄다. 이 자세(姿勢)는 신기(腎氣)를 보(補)해 주며 두부(頭部)를 이완시켜 줌과 동시에 불면증과 신경쇠약(神經衰弱)의 치료(治療)에 효과(效果)가 있다.
두 손과 팔이 원형을 이루므로 신기(腎氣)는 생식기(生殖器)로 순행하며 중완혈(中脘穴)의 심처(深處)에 도달된다. 또 두 다리 역시 일개의 원을 이루고 있으므로 신체내의 기혈(氣血)이 퇴순환(腿循環)을 하며 신체의 중앙으로 모인다.
이상의 두 가지 자세는 간경(肝經)과 신경(腎經)을 스트레칭 해주므로 간경(肝經)과 신경(腎經)이 단련된다.
환양와(還陽卧)와 혼원와(混元卧) 자세는 보신(補腎) 작용이 강(強)하고 오시(午時)에 잠깐 동안 낮잠을 자면 면역력(免疫力)이 증강된다.
다음은 추계(秋季)의 미식보신법(美食補腎法)이다.
추계(秋季)에 핵도인(核桃仁 ; 호두)과 화생인(花生仁 ; 땅콩)과 지마인(芝麻仁 ; 참깨)과 과자인(瓜子仁 ; 해바기씨/호박씨)과 송자인(松子仁 : 잣) 등 「오인(五仁)」을 섭취해 줄 경우 보폐(補肺) 작용은 물론 자간(滋肝) 작용과 양신(養腎)의 공효가 있다.
핵도인(核桃仁)은 순기보혈(順氣補血) 작용과 지해화담(止咳化痰) 작용과 윤폐보신(潤肺補腎) 작용이 있으므로 두발(頭髮)의 과조변백(過早變白)과 탈락(脫落) 등을 방치해 주는 공능(功能)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동맥경화(動脈硬化)와 고혈압(高血壓)과 관심병(冠心病) 등을 예방해 주는 유익(有益)한 견과이다.
화생(花生: 땅콩)은 고대로 부터 「장생과(長生果)」란 미칭(美稱)을 갖고 있다. 평상시 화생인(花生仁)을 섭취할 경우 자보익수(滋補益壽) 작용(作用)이 있다. 지마인(芝麻仁: 참깨)은 보페조비(補肺助脾) 작용과 윤장통변(潤腸通便) 작용과 보신익근부(補腎益筋膚) 공효가 있다.
송자인(松子仁: 잣)은 영양가치와 약용가치(藥用價值)가 매우 높은 견과이다. 평상시 적당량의 송자인(松子仁)을 섭취할 경우 고(高)콜레스테롤로 인하여 발생되는 심혈관질병(心血管疾病)을 방지(防止)해 준다. 송자인(松子仁) 속에 함유되어 있는 인지(磷脂)는 뇌(腦)와 신경계통(神經系統)에 매우 유익하다.
단(但) 견과류는 과식을 피해야 된다. 왜냐하면 견과류 속에 대량(大量)의 유지(油脂)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추계(秋季)는 천기변화(天氣變化)가 무상(無常)한 계절이므로 양신(養腎)과 신체의 보난(保暖)을 위하여 적당히 진보(進補)해 주는 것이 좋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