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 17일 수요일
꽃(花)을 식용(食用)한 역사(歷史)
꽃(花)을 식용(食用)한 역사(歷史)
선진시대(先秦時代) 굴원(屈原)의《이소(離騷)》에 보면 :“조음목란지추로혜(朝飲木蘭之墜露兮),석찬추국지락영(夕餐秋菊之落英)。”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아침에 목란 꽃잎에 맺힌 이슬을 받아 먹고 저녁 식사 때 국화의 처음 핀 꽃을 따 먹는다.” 는 뜻이다. 그 당시(當時) 사대부(士大夫) 계층(階層) 사람들은 꽃을 따 먹을 경우 몸과 마음이 깨끗해진다고 믿고 있었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보면 "菊花服之輕身耐老”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국화꽃을 따 먹을 경우 몸이 가벼워 지고 늙지 않는다.” 는 뜻이다.
송(宋) 나라 때의 저서 화훼식보(花卉食譜) 《산가청공(山家清供)》에 매화죽(梅花粥)과 설로갱(雪露羹) 등 10 여 종(種)의 식화방법(食花方法)이 수록되어 있다.
명(明) 나라 때 고겸(高廉)의 저서《준생팔전방(遵生八箋芳)》에도 다종(多種) 화훼식용법(花卉食用法)이 수록되어 있고 대희(戴羲)의 저서《양여월영(養餘月令)》에는 18 종(種)의 화훼식용법(花卉食用法)이 수록되어 있다.
중국 전통채(傳統菜) 중에 꽃을 사용한 것이 많이 있다. 예를들면 노채(魯菜) 중 계화환자(桂花丸子)와 경채(京菜) 중(中) 부용계편(芙蓉雞片)과 호채(滬菜) 중(中) 하화율자(荷花栗子)와 오채(粵菜) 중(中) 백작화오사갱(白菊花五蛇羹) 등이 있다.
남미주(南美洲) 사람들은 신선(新鮮)한 한금련화(旱金蓮花)를 먹고 동유럽 사람들은 장미꽃잎을 따서 시럽을 만들어 먹으며 터어키 사람들은 자스민꽃과 비단향꽃무(Matthiola incana) 꽃을 먹는다. 일본(日本) 사람들은 코스모스꽃과 국화꽃과 해당화꽃과 금잔화(金盞花)와 호박꽃(南瓜花)과 장미꽃(玫瑰花) 등을 먹는다.
통계(統計)에 의하면 식용(食用) 화훼(花卉)는 대략 97 개(個) 과(科), 100 속(屬),180 여종이라고 한다. 꽃잎(花瓣) 속에는 황동(黃酮)과 단백질(蛋白質)과 지방(脂肪)과 당류(糖類)와 아미노산과 비타민 A、B、C、E 와 다종(多種) 미량원소(微量元素)와 생물활성물질(生物活性物質)이 함유되어 있다. 서양 사람들은 꽃을 “궁인적의생(窮人的醫生)”이라고 칭한다. 다시 말하면 ”꽃은 가난한 사람들의 의사이다.” 는 뜻이다. 과학자들은 꽃을 항암식품(抗癌食品)이라고 말한다.
다음은 꽃과 오행(五行)과 경락(經絡)의 관계이다.
오행(五行)과 경락(經絡)과 화훼(花卉)의 명칭(名稱)과 공효(功效):
1. 금(金):
(1)폐경(肺經):
행화(杏花):산한파결(散寒破結),화담생진(化痰生津)
백합화(百合花):청화윤폐안신(清火潤肺安神)
(2)대장경(大腸經)
괴화(槐花): 양혈(涼血)、지혈(止血)、청열(清熱). 주치(主治) : 창출혈(痔瘡出血).
매화(梅花): 윤폐지해(潤肺止咳),삽장지사(澀腸止瀉),생진지갈(生津止渴)
2. 토(土)
(1)위경(胃經):
정향(丁香): 온중(溫中)、강역(降逆)、온신(溫腎):주치(主治): 위한구토(胃寒嘔吐)、복사(腹瀉)、파냉(怕冷)
(2)비경(脾經):
금침화(金針花): 양혈(涼血)、이수(利水)、해독(解毒)、소종(消腫)
3. 화(火):
(1)심경(心經):
하화(荷花:연꽃): 거습소서(去濕消暑)、활혈지혈(活血止血),항우울(抗憂鬱),진정(鎮定)
금은화(金銀花): 소종지통(消腫止痛),소서해갈(消暑解渴)
(2)소장경(小腸經):
목근화(木槿花 : 무궁화): 윤조(潤燥)、이소변(利小便)、제습열(除濕熱)
한련화(旱蓮花): 청열해독(清熱解毒),소종지통(消腫止痛). 주치 : 상호흡도감염(上呼吸道感染), 편도선염(扁桃體炎), 인염(咽炎), 급성중이염(急性中耳炎).
4. 수(水):
(1)방광경(膀胱經):
치자화(梔子花): 청열(清熱)、사화(瀉火)、양혈(涼血)、해독(解毒), 소종(消腫).
옥잠화(玉簪花): 청열해독(清熱解毒),이수소종(利水消腫),통경락(通經絡), 지통(止痛)
(2)신경(腎經):
목단(牡丹): 통경락(通經絡),이관절(利關節),조경(調經), 지통(止痛)
5. 상화(相火):
(1)삼초경(三焦經):
월계화(月季花): 활혈조경(活血調經)주치 : 월경불순(月經不順)통경痛經等病症。
(2)심포경(心包經):
봉선화(鳳仙花): 거풍활혈(祛風活血)、소종지통(消腫止痛)
6. 목(木):
(1)담경(膽經):
장미꽃(玫瑰花): 행기해울(行氣解鬱),활혈지통(活血止痛),서압(舒壓)、지위통(止胃痛)
작약(芍藥): 청열양혈(清熱涼血),산어지통(散瘀止痛)
(2)간경(肝經):
국화(菊花): 소풍(疏風)、청열(清熱)、해독(解毒)、명목(明目)
계화(桂花): 화담(化痰)、산어(散瘀)、생진(生津)、제취(除臭)
자스민(茉莉花): 청열해독(清熱解毒),지통(止痛),주치:두통, 안질(眼疾)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