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각부종시(腿腳浮腫時) 점점각(踮踮腳)과 대대퇴(抬抬腿) 동작은 청혈(清血) 작용과 소종(消腫) 작용이 있다.
혈액(血液)은 병원균과 단독 투쟁할 수 없고 심(心)과 폐(肺)와 뇌(腦)와 신(腎)과 장위(腸胃)와 간(肝)과 임파(淋巴)와 골격(骨骼) 등 전신의 각처 기관과 조직과 합작이 필요하다. 신체(身體)의 각처(各處)에 혈액공급 부족으로 인하여 병균이 침입하여 질병이 유발될 경우 혈액(血液) 본신(本身)의 건강(健康) 만 수요(需要)되는 것이 아니고 각기관과 조직의 협동(協同)과 도움이 필요하다. 고인들의 속언에 "魚幫水、水幫魚" 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의상존9相依相存), 상호방조(相互相助)란 뜻을 내포하고 있으며 “help one another”란 뜻이다.
1. 골격(骨骼) : 조혈(造血) 메커니즘을 보면 다음과 같다. 두개골(頭蓋骨)과 척추(脊椎)와 늑골(肋骨)과 흉골(胸骨)과 치골내(恥骨內)의 홍골수(紅骨髓) 속에 들어있는 조혈세포에서 조혈된다. 그외 골격(骨骼)은 신체(身體)의 칼슘을 저장하고 있는 지방(地方)이며 혈액(血液) 속으로 칼슘을 석방시켜 칼슘의 농도(濃度)를 조절해 준다.
조혈(造血) 메커니즘에 이상이 출현될 경우 백혈병(白血病)과 재생불량성빈혈(再生不良性貧血)에 이환되므로 인하여 정상혈구(正常血球)를 생산하지 못하므로 혈구부족(血球不足)에 걸린다. 골수이식(骨髓移植)을 진행하면 신조혈계통(新造血系統)이 조성되어 존활(存活)하게 된다.
2. 대뇌(大腦) : 대뇌는 혈액(血液)을 통하여 각종생리상태(各種生理狀態)를 감측(監測)한다. 예를들면 체온(體溫)이나 산검도(酸鹼度)나 삼투압(滲透壓)의 고저(高低) 등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대뇌는 지령(指令)을 하달하여 조정(調整)한다. 만일 체온(體溫)이 과고(過高)할 경우 대뇌는 체표(體表)를 통하여 산열(散熱)시키므로서 체온을 강저시켜 준다.
3. 간(肝) : 간은 혈당(血糖)과 영양소(營養素)를 처리한다. 혈지(血脂)를 처리하여 영양(營養)과 세포(細胞)의 건재(建材)로 사용하고 인체에 유해(有害)한 대사산물(代謝產物) 등을 분해(分解)시킨다. 그외 간은 500여종의 생화학(生化學) 메커니즘을 통괄하여 혈액(血液)을 정화시켜 주는 중요(重要)한 기관(器官)이다.
1. 골격(骨骼) : 조혈(造血) 메커니즘을 보면 다음과 같다. 두개골(頭蓋骨)과 척추(脊椎)와 늑골(肋骨)과 흉골(胸骨)과 치골내(恥骨內)의 홍골수(紅骨髓) 속에 들어있는 조혈세포에서 조혈된다. 그외 골격(骨骼)은 신체(身體)의 칼슘을 저장하고 있는 지방(地方)이며 혈액(血液) 속으로 칼슘을 석방시켜 칼슘의 농도(濃度)를 조절해 준다.
조혈(造血) 메커니즘에 이상이 출현될 경우 백혈병(白血病)과 재생불량성빈혈(再生不良性貧血)에 이환되므로 인하여 정상혈구(正常血球)를 생산하지 못하므로 혈구부족(血球不足)에 걸린다. 골수이식(骨髓移植)을 진행하면 신조혈계통(新造血系統)이 조성되어 존활(存活)하게 된다.
2. 대뇌(大腦) : 대뇌는 혈액(血液)을 통하여 각종생리상태(各種生理狀態)를 감측(監測)한다. 예를들면 체온(體溫)이나 산검도(酸鹼度)나 삼투압(滲透壓)의 고저(高低) 등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대뇌는 지령(指令)을 하달하여 조정(調整)한다. 만일 체온(體溫)이 과고(過高)할 경우 대뇌는 체표(體表)를 통하여 산열(散熱)시키므로서 체온을 강저시켜 준다.
3. 간(肝) : 간은 혈당(血糖)과 영양소(營養素)를 처리한다. 혈지(血脂)를 처리하여 영양(營養)과 세포(細胞)의 건재(建材)로 사용하고 인체에 유해(有害)한 대사산물(代謝產物) 등을 분해(分解)시킨다. 그외 간은 500여종의 생화학(生化學) 메커니즘을 통괄하여 혈액(血液)을 정화시켜 주는 중요(重要)한 기관(器官)이다.
1. 청혈(清血)시켜 주는 간단한 동작 :
일본4대약국전수인(日本四代藥局傳受人) 호리에아키요시(堀江昭佳: ほりえあきよし)는 “서양의학에서는 혈액(血液)과 혈관(血管) 중 동맥(動脈)에 편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실제상(實際上) 정맥내(靜脈內)의 혈류량은 동맥(動脈)의 4배(四倍)이다. 또 인류(人類)는 서서 걷기 때문에 중력관계(重力關係)로 인하여 하반신(下半身)에 용이(容易)하게 대량(大量)의 혈액(血液)이 존재해 있으며 심장(心臟0으로 회귀하기 어렵다. 그결과 하반신(下半身) 수종(水腫)이 유발되는데 수분(水分)이 혈관(血管)을 통하여 참출(滲出)되기 때문이다. 각부(腳部)의 혈액은 대략 300cc 내지 800 cc 로써 전신의 혈액 중 약 20% 가 각부(腳部)에 존재한다.
저녁 때 자기(自己)의 소퇴(小腿)와 각부를 관찰할 때 부종(浮腫)이 발생하면 수지(手指)를 사용하여 피부(皮膚)를 누르고 있다가 수지를 떼면 탄성(彈性)이 상실될 경우엔 요함처(凹陷處)가 생긴다. 이와같은 경우 하반신의 혈액유통(血液流通)이 불량하여 퇴부(腿部)에 수종이 발생된 신호이다.
호리에아키요시(堀江昭佳: ほりえあきよし)는 “혈액순환의 순창(順暢)은 청혈(清血)의 관건(關鍵)이다. 실제로 간단한 산보는 퇴부(腿部)의 혈액(血液)을 심장(心臟)으로 회귀시켜 주지만 내가 추천하는 2 가지 퇴부운동(腿部運動)은 혈액순환(血液循環)을 양호하게 해준다.” 고 백성들에게 건의했다.
저녁 때 자기(自己)의 소퇴(小腿)와 각부를 관찰할 때 부종(浮腫)이 발생하면 수지(手指)를 사용하여 피부(皮膚)를 누르고 있다가 수지를 떼면 탄성(彈性)이 상실될 경우엔 요함처(凹陷處)가 생긴다. 이와같은 경우 하반신의 혈액유통(血液流通)이 불량하여 퇴부(腿部)에 수종이 발생된 신호이다.
호리에아키요시(堀江昭佳: ほりえあきよし)는 “혈액순환의 순창(順暢)은 청혈(清血)의 관건(關鍵)이다. 실제로 간단한 산보는 퇴부(腿部)의 혈액(血液)을 심장(心臟)으로 회귀시켜 주지만 내가 추천하는 2 가지 퇴부운동(腿部運動)은 혈액순환(血液循環)을 양호하게 해준다.” 고 백성들에게 건의했다.
1. 각근운동(腳跟運動) :
❶ 각첨(腳尖:발끝)만 땅에대고 서있기
❷ 배근(背筋:등)을 신직(伸直)시킨 상태에서 5 초(秒) 동안 각근(腳跟:발뒤꿈치)를 상하로 올렸다 내렸다 해주기
❸ 매일(每日) 조만(早晚)에 각각 일조(一組)를 실행한다。일조(一組)는 30차(次)이다.
2. 대퇴산보(抬腿散步) :
❶ 산보시(散步時) 한 쪽의 대퇴(大腿)를 높이 쳐들며 걷기 : 한 쪽 발의 슬개(膝蓋:무릎)가 요부(腰部:허리부위) 까지 올라오게 걷는다.
❷ 걸을 때 발바닥은 항상 지면과 수평을 이루어야 한다.
❸ 다른 한 쪽의 발도 동일한 동작을 취한다. 본문은《清血養血一本通》에서발췌번역.
❷ 배근(背筋:등)을 신직(伸直)시킨 상태에서 5 초(秒) 동안 각근(腳跟:발뒤꿈치)를 상하로 올렸다 내렸다 해주기
❸ 매일(每日) 조만(早晚)에 각각 일조(一組)를 실행한다。일조(一組)는 30차(次)이다.
2. 대퇴산보(抬腿散步) :
❶ 산보시(散步時) 한 쪽의 대퇴(大腿)를 높이 쳐들며 걷기 : 한 쪽 발의 슬개(膝蓋:무릎)가 요부(腰部:허리부위) 까지 올라오게 걷는다.
❷ 걸을 때 발바닥은 항상 지면과 수평을 이루어야 한다.
❸ 다른 한 쪽의 발도 동일한 동작을 취한다. 본문은《清血養血一本通》에서발췌번역.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