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2월 6일 목요일
겨울철의 5 가지 구한(驅寒) 방법 :
겨울철의 5 가지 구한(驅寒) 방법 :
한의학이론에 「寒是萬病之源」이란 어귀가 있다. 다시 말하면 "한(寒)은 만병의 근원이다." 는 뜻이다. 그러므로 구한(驅寒)은 건강유지의 관건(關鍵)이다. 무절제(無節制)한 오야(熬夜)를 일삼고 운동은 적게하며 평상시 한냉(寒冷)한 음식을 다량 섭취하므로 인하여 현대인들에게 한사(寒邪)의 침습이 용이하다.
한의학이론에 보면 풍(風)、한(寒)、서(暑)、습(濕)、조(燥)、화(火)를 육음사기(六淫邪氣)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그중(其中) 한(寒)은 음사(陰邪)이며 양기(陽氣)를 손상시킨다고 기록되어 있다. 물속에 장시간 들어가 있거나 땀이 난 후에 바람을 쏘이거나 찬곳에서 노숙(露宿)할 경우 외계환경(外界環境) 중(中) 한사(寒邪)가 체내(體內)로 용이하게 침습한다.;또 생냉음식(生冷飮食)을 상식(常食)할 경우 비위(脾胃)의 양기(陽氣)를 손상((損傷)시키며 한(寒)이 내생(內生)되므로 인하여 체내(體內)의 음기(陰氣) 과잉(過剩)은 물론 양기(陽氣)를 손상시키기 때문에 파냉(怕冷)과 복사(腹瀉)와 감기와 부종(浮腫)과 피곤과 구순색담(口唇色淡)과 요빈(尿頻)과 다뇨(多尿)와 수면(睡眠) 부족과 식욕부진(食慾不振)등 증상을 출현한다.
한의학이론에 "寒主收引,其性凝滯" 란 어구가 있다. 다시 말하면 "한(寒)은 움츠리게 해주고 응체해 주는 성질이 있다." 는 뜻이다. 한사(寒邪)가 피부표층(皮膚表層)으로 침입(侵入)할 경우 풍한감기(風寒感氣)에 걸리고 오한무한(惡寒無汗) 증상과 경항발긴(頸項發緊) 증상과 전신동통(全身疼痛) 등 증상(症狀)이 출현한다. 한사가 경락(經絡)과 관절(關節)로 침입할 경우 근맥구련(筋脈拘攣)과 지체(肢體)의 굴신(屈伸)이 곤란(困難)해 짐과 동시에 동통(疼痛)이 발생하며 만약 장부(臟腑)로 한사가 침입할 경우 양기(陽氣)를 손상시킨다. 한사(寒邪)는 용이(容易)하게 습사(濕邪)와 풍사(風邪)와 결합(結合)하여 풍한(風寒)과 한습(寒濕)을 형성한다. 한의학이론에「千寒易除,一濕難去」라는 어귀가 있다. 다시 말하면 "일 천개의 한사는 제거하기 쉬운데 한 개의 습사는 제거시키기 어렵다." 는 뜻이다. 즉 한습(寒濕)은 신체(身體)를 상하게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풍습성관절통(風濕性關節痛)의 주요(主要) 화인(禍因)은 한(寒)과 습(濕)이다. 그외 신체가 허약한 사람들은 한습(寒濕)의 침습(侵襲)을 용이하게 받는다. 한의학이론에「虛則寒,寒則濕,濕則凝,凝則瘀,瘀則堵,堵則瘤,瘤則癌。」라는 말이있다. 다시 말하면 ”허는 한을 발생시키고 한은 습을 발생시키며 습은응결을 발생시키고 응결은 어체를 조성하며 어체는 폐색을 형성하고 폐색은 종류를 형성하며 종류는 암을 형성한다.'"는 뜻이다. 즉 체질(體質)이 허약(虛弱)한 사람은 양기(陽氣)가 부진(不振)하고 한사(寒邪)를 제거하기 어려우며 습기(濕氣)의 침습(侵襲)을 받을경우 혈액순환이 불창(不暢)해 진다. 구좌부동적(久坐不動的)인 사무실 근무자들에게 한(寒)과 어(瘀)의 쌍중특징(雙重特徵)이 출현된다. 한기(寒氣)는 기혈어체(氣血瘀滯)를 유발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유형적(有形的) 종괴(腫塊)를 형성하므로 종류(腫瘤)가 출현된다. 종괴(腫塊)는 종류(腫瘤)를 의미한다.
신체중 다음의 5개 부위(部位)는 한사(寒邪)의 침습이 가장 쉽다.
1.두부(頭部) :
한의학이론에 “「頭為諸陽之會」" 란 말이있다. 다시 말하면 ”머리는 양이 모이는 곳이다." 는 뜻이다. 돌연히 머리부위에 비를 맞거나 겨울철에 모자를 쓰지않은 채 외출할 경우 한습사(寒濕邪)가 두부(頭部)에 침습(侵襲)할 경우 두통(頭痛)과 두혼(頭昏)과 두부침중(頭部沉重) 등 감각(感覺)이 출현한다. 저녁때 머리를 감은 후 한사(寒邪)가 두부로 용이하게 침입(侵入)하므로 머리카락을 완전히 건조시킨 후 입수(入睡)해야 한다.
2.견경(肩頸)과 배부(背部) :
견경(肩頸 ; 목과 어깨)과 배부(背部 ; 등)에 한사(寒邪)의 침습을 받을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경추병(頸椎病)과 견주염(肩周炎)과 배통(背痛) 등 병증(病症)이 유발된다. 평상시 대추혈(大椎穴)에 안마(按摩)나 지압(地壓)을 해 줄 경우 양기(陽氣)가 진분(振奮)된다. 두 손바닥에서 열이 날 때 까지 비빈 후 대추혈(大椎穴)에 대고 문질러 준다. 대추혈은 머리를 앞으로 수그리고 있을 경우 뒷목 근처의 중앙에 가장 툭 튀어나온 돌기 밑의 요함처(凹陷處)에 위치하고 있다.
3.입(口)과 코(鼻) :
찬음식물을 섭취할 경우 한기(寒氣)가 위부(胃部)로 들어가서 위(胃)에 한(寒)을 조성하면식욕부진(食慾不振)과 소화불량(消化不良)이 출현(出現)된다. ;코(鼻)는 공기(空氣)의 출입 통로이다. 한기(寒氣)가 호흡시(呼吸時) 폐부(肺部)로 침입(侵入)할 경우 한담해수(寒痰咳嗽) 등 증상이 출현된다.
4.전흉(前胸)과 요복(腰腹) ;
전흉(前胸 : 앞가슴) 부위에 전중혈(膻中穴)이 위치하고 있는데 장기간 전중혈에 한사가 머물러 있을 경우 유선결절(乳腺結節) 등 증상이 유발된다. 또 요부(腰部)에 있는 명문혈(命門穴)에 한사가 침습할 경우 요통(腰痛)이 발생된다;또 복부(腹部)에 있는 신궐혈(神闕穴 : 배꼽)이 한사의 침습을 받을 경우 복사(腹瀉)와 통경(痛經)과 불잉(不孕) 등 병증(病症)이 유발되므로 배꼽을 드러내 놓는 의복착용을 금해야 한다.
5.퇴각(腿腳 : 발과 다리) ;
한의학이론에「寒從足下生,病從寒中來」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한사는 발로 들어오고 모든 질병은 한사로 인하여 발생된다.” 는 뜻이다. 맨발로 돌아다니거나 얇은 헝겁으로 만든 신발을 겨울철에 신고 다닐 경우 노한퇴(老寒腿) 또는 슬관절염(膝關節炎) 등 증상이 용이(容易)하게 유발(誘發)된다. 평상시 열수포각(熱水泡腳),還可以在水中放一些 할 때 물속에 생강(生薑)이나 화초(花椒)나 말린 매운고추를 집어넣고 족욕을 할 경우 각퇴(腿腳)의 혈액순환(血液循環)이 촉진(促進)된다. 발(足)이 찬 사람들은 수면시 헐렁한 양말을 껴신고 잠을자면 족부의 혈액순환이 촉진된다. 노한퇴(老寒腿)란? 비가 오거나 날씨가 쌀쌀해 지기 시작할 경우 슬관절동통(膝关节疼痛)이 가중(加重)되는데 주로 중노년인(中老年人)들에게 발생하는 무릎통증을 일컫는다.
겨울철의 5가지 구한(驅寒) 방법 :
추말초동초(秋末冬初) 시절에 천기(天氣)가 점차 한냉(寒冷)해 지므로 인체내(人體內)에 한사(寒邪)의 침범(侵犯)을 방지(防止)해 주어야 한다.
1.제철에 생산된 식재(食材) 섭취 :
가을과 겨울철에 생산되는 多吃時令 채소와 과일을 섭취할것. 예를들면 사과와 포도와 배추와 무 등이다. 하루에 세끼 식사를 하되 음식량을 규률있게 섭취해야 하며 조찬(早餐) : 오찬(午餐) : 만찬(晚餐) = 3 : 2 : 1 의 비률로 섭취할것. 만찬은 청담(清淡)하고 소화(消化)가 잘되는 음식을 섭취할것.
2.햇빛을 쪼일 것:
오후(午後)에 20분(分) 동안 햇빛에 노출시킬 것. 두정(頭頂)의 중심(中心)에 자리잡고 있는 백회혈(百會穴)에 햇빛을 쪼여 줄 경우 전신(全身)의 경맥(經脈)이 통창(通暢)되며 양뇌보양(養腦補陽)의 작용(作用)이 있다. 또 등에 따스한 햇빛을 쪼여 줌과동시에 등을 주먹으로 때려 줄 경우 5장(五臟)의 기혈(氣血)이 조리(調理)된다.
3.다리운동 :
고인들의 속어에「動則生陽」이란 말이있다. 다시 말하면 “신체를 움직이면 양기가 생성된다.” 는 뜻이다. 체내에 양기(陽氣)가 충족될 경우 한사와 습사가 용이(容易)하게 배출(排出)된다. 그러므로 추동계절(秋冬季節)일지라도 천기(天氣)가 온난(溫暖)한 날에 공원(公園)에 가서 산보(散步)를 하거나 자전거를 타거나 조깅을 해야한다. 매주(每週) 3차~5차(次)、매차(每次) 30분~60분(分)이 적합하다.
4.오야(熬夜) 금지 :
새벽 3시나 4시 까지 잠을 자지않는 오야족들에게 수각빙냉(手腳冰涼)과 혼신발냉(渾身發冷)과 뇌불청(腦不淸) 등 증상이 출현된다. 왜냐하면 오야(熬夜)는 기혈(氣血)을 소모시켜 주기 때문에 한사(寒邪)가 용이하게 체내로 침입하므로 인하여 경락폐색(經絡閉塞)이 용이하게 유발되기 때문이다. 동계(冬季)에 충분한 수면을 취할 경우 한사(寒邪)의 상신(傷身)을 방지해 준다. 그리하여 고인들의 속어(俗語)에「조와만기(早臥晚起)」라는 말이있다. 다시 말하면 동계에는 일찍 잠자리에 들고 늦게 기상하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5.정서(情緒) 조절 :
중노년인(中老年人)들은 특별히 겨울철에 매사에 즐겁고 관대한 마음을 유지하여 정서를 잘 조절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의학에서「신선죽(神仙粥)」이라고 칭하는 추동계(秋冬季)에 적합한 구한양생죽(驅寒養生粥)의 조방(組方)은 다음과 같다.:생강나미죽(生薑糯米粥):재료 : 나미(糯米 : 찹쌀), 생강(生薑)、총백(蔥白 ; 파의 흰부분)、식초(食醋). 청(清) 나라 때 편찬된 《태의원경험신방(太醫院經驗神方)》에:「一把糯米煮成湯,七根蔥白七片薑,熬熟兌入半杯醋,防治感冒保安康。」라고 수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한 주먹의 찹쌀과 총백(파의 흰부분) 7개와 생강 7편(片)을 사용하여 죽을 끓여 반컵의 식초를 배합한 후 복용할 경우 감기를 예방해 주고 신체를 강건하게 해준다.” 는 뜻이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