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망진(望診)의 하나인 설진(舌診) :
설진(舌診)은 설두(舌頭)의 형상(形狀)과 안색(顏色)과 설태(舌苔)의 형성방식(形成方式)과 상태(狀態)를 자세히 관찰하여 전신상태(全身狀態)를 파악하는 진찰법(診察法)을 말한다. 설진은 망진(望診) 중 하나이다. 실제(實際)로 환자를 진단(診斷)할 때 문진(問診) 후(後) 설진(舌診)을 진행(進行)한다. 설진(舌診)은 한의학의 4진중(四診中) 가장 중요한 진찰법(診察法)이며 설두의 형상(形狀)과 안색(顏色)으로 환자의 음양상태(陰陽狀態)를 판단한다. 설두(舌頭)의 대소(大小)는 음(陰)의 상태(狀態)와 변화(變化)를 진찰한다. 설두(舌頭)가 비후(肥厚)하거나 클 경우 「반대(胖大)」라고 칭하는데 음과잉(陰過剩)을 표시하고 반대로 설두(舌頭)가 경박(輕薄)하거나 작을 경우 「리수(羸瘦)」라고 칭하며 음부족(陰不足)을 표시한다. 설두(舌頭)의 전체 안색(顏色)은 양(陽)의 상태(狀態)를 표시한다. 설두의 안색이 (顏色)이 유홍(愈紅)일 경우 양과잉(陽過剩)을 표시하고;설두의 안색(顏色)이 유백(愈白)일 경우 양부족(陽不足)을 표시한다.; 만약 설두의 안색이 암홍색(暗紅色)일 경우 음허상태(陰虛狀態)를 표시한다. 그뿐만 아니라 설두(舌頭)의 안색(顏色)을 관찰할 때 설두의 각부위(各部位)의 안색(顏色)의 차이(差異)에 주의해야 한다. 왜냐하면 설두(舌頭)의 각부위(各部位)와 장부(臟腑)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있기 때문이다. 설첨(舌尖: 혀의 앞부부)은 심장(心臟)과 소장(小腸)과 폐(肺)와 대장(大腸)의 상태(狀態)를 반영(反映)하고;설연(舌緣:혀의 양쪽 가장자리)은 간(肝)과 담(膽)의 상태(狀態)를 반영(反映)하며;설중앙(舌中央)은 비(脾)와 위(胃)의 상태(狀態)를 반영(反映)하며;설근(舌根)은 신장(腎臟)과 방광(膀胱)의 상태(狀態)를 반영(反映)한다. 설두의 각부위(各部位)의 안색(顏色)을 관찰하여 각장부(各臟腑)의 음양상태(陰陽狀態)를 추측할 수 있다.
*치흔(齒痕)과 열문(裂紋)과 설태(舌苔)와 설하정맥(舌下靜脈)의 관찰 : 설두(舌頭)의 형상(形狀)을 진찰할 때 설두변연(舌頭邊緣)의 형상(形狀)에 주의하여 관찰해야 한다. 예를들면 치아형성적(齒牙形成的) 거치상(鋸齒狀: 톱니모양) 치흔(齒痕)이나 표면에 나타난 구열상태(龜裂狀態)의 열문(裂紋: 갈라진 무늬)등을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다. 치흔(齒痕)은 음과잉(陰過剩) 혹은 양부족(陽不足)을 표시하고 열문(裂紋)은 음부족(陰不足)을 표시한다. 그외 설두(舌頭)의 탄력(彈力)은 양기(陽氣)의 성쇠(盛衰)의 상황을 표시하는데 탄력(彈力)이 강(強)함은 양과잉(陽過剩)을 표시하고,탄력(彈力)의 부족(不足)은 양부족(陽不足)을 표시한다. 설두의 대소(大小)와 설두의 안색(顏色)과 설두의 형상(形狀)과 설두의 탄력(彈力)을 관찰한 후(後),설태(舌苔)의 상태狀態)를 관찰해야 한다. 설태(舌苔)는 설두(舌頭)의 표면(表面)을 덮고있는 태(苔)를 말하는데 설태(舌苔)의 후도(厚度)와 설태의 안색(顏色)과 설태의 부위(部位)와 습도(濕度)등 상황(狀況)을 관찰해야 한다. 설태(舌苔) 관찰시(觀察時),장부(臟腑)와 대응(對應)하는 설두부위(舌頭部位)의 관념(觀念)을 갖고 진찰(診察)을 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설두배면(舌頭背面)에 있는 설하정맥의 안색(顏色)과 팽창(膨脹)과 노장(怒張)상황을 관찰시,혈액정체(血停滯)일 경우 안색(顏色)은 편흑(偏黑)이고 정맥의 팽창(怒張) 상황이비교적 뚜렸다.
*설두의 대소(大小)와 형상(形狀)과 설태상태(舌苔狀態)로 음(陰)의 상태(狀態)를 파악 :
1. 설두의 대소(大小)와 후도(厚度) :
• 음과잉(陰過剩):반대(胖大) : 설두(舌頭)의 사이즈가 클 경우 통상적(通常的)으로 후도(厚度) 역시 비교적 두껍다.
• 음부족(陰不足):리수(羸瘦) : 설두(舌頭)의 상태(狀態)가 박(薄)하거나 설두의 크기가 비교적 작다.
2. 설두의 형상(形狀) :
• 음과잉(陰過剩):치흔(齒痕) : 설두(舌頭)의 변연(邊緣)에 치아형성적(齒牙形成的) 거치상(鋸齒狀:톱니모양)의 치흔이 출현한다. 이는 통상적(通常的)으로 양부족(陽不足)을 수반한 음과잉(陰過剩)이다.
• 음부족(陰不足):열문(裂紋 : 龜裂): 설두(舌頭)에 열흔(裂痕) 상태(狀態)가 출현할 경우 음부족(陰不足) 외(外)에 양기부족(陽氣不足)의 가능성(可能性)이 있다.
3. 설태(舌苔)의 후도(厚度) :
• 음과잉(陰過剩):일층(一層)의 두꺼운 설태(舌苔) 상태(狀態)를 형성한다.
• 음부족(陰不足):무태(無苔) 또는 설태가 적다. 설태(舌苔)가 전혀없는 무태(無苔)는 음부족(陰不足)일 뿐만 아니라 양과잉(陽過剩)이다. 또 설태(舌苔)의 후도(厚度)가 표준후도(標準厚度) 이하일 경우에도 음부족(陰不足)이다.
4. 설태(舌苔)의 자윤도(滋潤度) :
• 음과잉(陰過剩):활(滑) : 설태(舌苔)의 표면(表面)이 액상물(液狀物)로 덮혀있는 상태(狀態)인데 「경면설(鏡面舌;거울과 같은 혀)」이라고도 칭한다.
• 음부족(陰不足):설태(舌苔)의 유무(有無)를 불문하고,설두의 표면(表面)이 모두 건조(乾燥)하고 조조(粗糙)한 상태(狀態)이다.
5. 설두(舌頭)의 안색(顏色)으로 양(陽)의 상태(狀態)를 진찰 :
• 봉색(絳色) → 심홍색(深紅色) : 양과잉(陽過剩) 상황이며 열증(熱證)이 비교적 강(強)하다.
• 홍색(紅色) → 편홍(偏紅)일 경우 엄중(嚴重)한 상태(狀態)이며 양과잉(陽過剩)을 표시한다.
• 암홍색(暗紅色) → 편흑(偏黑) 안색(顏色)일 경우: 음부족(陰不足) 또는 양과잉(陽過剩) 상태(狀態)를 표시한다.
• 담홍색(淡紅色) → 상견적(常見的) 분홍색(粉紅色) 상태(狀態)는 음양(陰陽)이 평형(平衡)되어 있는 정상적 상태를 표시한다.
• 담백색(淡白色) →홍색부족( 紅色不足)의 편백상태(偏白狀態)는 양부족(陽不足) 또는 혈부족(血不足)을 표시한다.
*기혈(氣血)과 열(熱)의 상태(狀態) 진찰(診察) :
• 혈(血)의 상태(狀態) :
• 설두(舌頭)의 안색(顏色)이 편자색(偏紫色)이며 어반(瘀斑)이 있을 경우 : 설두(舌頭) 전체의 안색이 편자색(偏紫色)이거나 자색(紫色)의 반점(斑點)이 출현될 경우 혈체(血滯) 상태이다.
• 설하정맥(舌下靜脈)의 노장(怒張) : 설두배면(舌頭背面)의 정맥혈관(靜脈血管)이 청흑색(青黑色)이며 팽창(膨脹)되어 있을 경우 혈체(血滯)를 표시한다.
• 열(熱)의 상태(狀態) :
• 설태(舌苔)의 안색(顏色)이 편황색(偏黃色) 또는 편흑색(偏黑色) : 설태(舌苔)의 안색(顏色)이 편황색(偏黃色)일 경우 열과잉(熱過剩)을 표시하는데 일단(一旦) 열(熱)이 증가(增加)하여 극한(極限) 상황에 도달될 경우엔 흑색(黑色)으로 변한다.
• 기(氣)의 상태(狀態) :
• 박태(剝苔)
• 설태(舌苔)의 후(厚)와 박(薄)을 불문하고 모부분(某部分)의 설태(舌苔)가 탈락(脫落):peel off) 상태(狀態)일 경우 기부족(氣不足)을 표시한다.
*설두(舌頭)는 5장(五臟)의 상태(狀態)를 반영(反映)한다. 설첨(舌尖:혀의끝)은 심장(心臟)과 소장(小腸)과 폐(肺)와 대장(大腸)의 상태(狀態)를 반영하고;설연(舌緣)은 간(肝)과 담(膽)의 상태(狀態)를 반영하며;설(舌)의 중앙(中央)은 비(脾)와 위(胃)의 상태(狀態)를 반영하고 설근(舌根)은 신장(腎臟)과 방광(膀胱)의 상태(狀態)를 반영한다. 자료내원(資料來源)/日本東洋醫學會漢方專門醫師 센토우세이시로우(仙頭正四郎: せんとう・せいしろう)의저서《中醫超圖解》/.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