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29일 토요일
죽(粥)은 천하제일보물(天下第一補物)이다. :
죽(粥)은 천하제일보물(天下第一補物)이다. :
고인들의 속언에 "상소생병(想少生病),나갈완죽파(那喝碗粥吧)!" 이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질병을 예방하려거든 죽을 복용해라." 는 뜻이다. 죽을 먹은 역사는 수 천년이나 된다. 《주서(周書)》에「황제증곡위반(黃帝蒸谷為飯),팽곡위죽(烹谷為粥)。」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곡식을 찌면 밥이되고 물속에 집어 넣고 끓이면 죽이된다.” 는 뜻이다. 청(清) 나라 때 저명(著名)한 의학가(醫學家) 왕사웅(王士雄 : 서기 1808년 - 서기 1866년)은 그의 저서 속에 "죽시천하제일보물(粥是天下之第一補物)" 이라고 기록해 놓았다. 미국(美國) 하버드대학 연구팀은 14년에 걸쳐 100,000 명이 참여(參與)한 대형(大型) 연구(研究)를 통하여 매일 한 그릇의 죽을 복용할 경우 건강장수(健康長壽)한다고 발표했다. 여기서 말하는 죽은 백죽(白粥)을 일컫는다. 2015 년 초(初)에《미국의학화잡지내과의학(美國醫學會雜誌內科醫學)》에 발표한 논문에 보면 매일 28g 의 전곡물(全穀物)을 사용하여 만든 죽, 예를들면 한 그릇의 연맥죽(燕麥粥),등을 복용한 사람들의 사망률(死亡率)은 5% 강저되었다고 발표했으며 심장병(心臟病)으로 인하여 사망할 확률은 9% 감소되었다고 발표했다.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에 보면 죽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수록되어 있다.:「每日起,食粥一大碗。空腹胃虛,谷氣便作,所補不細,又極柔膩,與腸胃相得,最為飲食之良。」 죽은 장위(胃腸)의 질병을 치료해 주며 기름진 음식을 다량 섭취한 후에 신체가 부적하고 피로하며 식욕부진이 발생될 경우 할때 두끼 만 죽을 복용하면 장위(胃腸)가 잠시휴식(暫時休息)을 취하므로 인하여 정상으로 회복된다.
한의학에서 “粥有和胃、補脾、益腎、清肺、消渴、通便和安神等多種功效,幾乎把人體的五臟六腑都兼顧到了。” 라고 말한다. 다시 말하면 "죽은 화위보비, 익신청폐, 소갈통변, 안신 등 다종 공효가 있으므로 인하여 죽은 오장육부를 돌보아 준다.“ 는 뜻이다. 죽(粥)은 자음(滋陰) 작용이 있고、난열지성(暖熱之性)을 지니고 있으므로 자음의 적기인 추동(秋冬) 계절에 적합하다. 추동시기는 양기(陽氣)가 잠장(潛藏)되어 있는 계절이다. 일상생활 중 발생하는 작은 병들은 죽(粥)으로 능히 조리(調理)할 수 있다.
명(明) 나라 때 의가(醫家) 이시진(李時珍)은 본초강목《本草綱目》에 62 종(種)의 약죽을 수록해 놓앗다. 실제로 죽(粥)은 일정(一定)한 약용가치(藥用價值)가 있다.
1. 원기(元氣)가 부족한 사람——죽유(粥油) :
죽(粥)을 끓인 후 죽의 맨 윗부분에 일층(一層)의 세니(細膩)하고 점조(黏稠)한 고유(膏油) 비슷한 물질(物質)이 고여있다. 이 걸죽한 국물을 한의학에서「미유(米油)」라고 칭하며,속칭(俗稱) 죽유(粥油)이다. 죽유란? "죽 속에서 나온 기름이다." 는 뜻이다. 통상적(通常的)으로 죽유(粥油)는 소미(小米 ; 좁쌀)나 멥쌀(大米)로 죽을 끓일 경우 얻을 수 있다. 한의학에서 소미(小米 ; 좁쌀)와 대미(大米: 멥쌀)의 미(味)는 감(甘)이고 성(性)은 평(平)이며,모두 보중익기(補中益氣) 작용과 건비화위(健脾和胃) 작용이 있다고 말한다. 죽유(粥油) 속에 영양분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미탕(米湯)의 정화(精華)라고도 칭한다. 죽유는 자보력(滋補力)이 매우 강(強)하다. 청(清) 나라 때 의학가(醫學家) 왕맹영(王孟英)의 저서 《수식거음식보(隨息居飲食譜)》에 보면 「미유가대삼탕(米油可代參湯)」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죽유는 인삼탕과 동일하다.” 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즉 인삼(人參)과 동양으로 대보원기(大補元氣)의 작용이 있다는 말이다.
노년인(老年人)들은 부동(不同) 정도(程度)의 신정부족(腎精不足)의 문제(問題)를 지니고 있다. 그런데 노년인들이 죽유(粥油)를 복용할 경우 보익신정(補益腎精)의 공효와 연년익수(延年益壽)의 효과(效果)가 있다. ; 또 산부(產婦)들이 만성위장염(慢性胃腸炎)으로 인하여 원기(元氣)가 부족(不足)할 경우,죽유(粥油)를 복용하면 보익원기(補益元氣) 작용이 있기 때문에 체력(體力)이 증강되며 조속히 신체(身體)가 정상으로 회복된다.
2. 장위(脾胃)의 문제——황금죽(黃金粥) :
황금죽(黃金粥)은 소미(小米)와 옥미(玉米)와 남과(南瓜 : 호박)를 함께 끓여서 만든 죽(粥)이다. 죽의 색깔이 황금색이므로 황금죽이란 이름을 얻었다.
소미(小米)는 노인(老人)과 병인(病人)과 산부(產婦)들의 자보품(滋補品)으로 사용되며 탁월한 보허(補虛) 작용이 있다.
옥미(玉米)는 비위(脾胃)를 조화(調和)시켜 준다.
남과(南瓜 : 호박)는 보중익기(補中益氣) 작용이 있다.
이상의 세 가지 약재는 모두 보익(補益) 작용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황금죽 속에 보혈양기(補血養氣)의 공효와 오장(五臟)을 조화시켜 주는 대추(大棗)를 가미할 경우,자보효과(滋補效果)는 더욱 크다.
3. 강혈지(降血脂)——연맥죽(燕麥粥) :
연맥(燕麥)은 체중(體重)을 조절해 주고 혈지(血脂)의 레벨이 높은 사람들의 혈지를 정상레벨로 유지해 준다. 그러므로 연맥은 비만자와 고지혈증(高脂血症) 환자와 관심병(冠心病) 환자(患者)들에게 유익하다.
연맥죽(燕麥粥) 속에 우유를 혼합하여 식용(食用)하면 더욱 좋다. 또 연맥죽(燕麥粥) 속에 수육(瘦肉)을 가미시켜 줄 경우 맛도 좋고 강혈지(降血脂) 작용도 있으며 우질(優質) 단백질(蛋白質)을 보충시켜 주고,영양(營養)의 균형(均衡)을 유지해 주므로 일거양득(一舉兩得)이다.
4. 상화(上火)——교맥죽(蕎麥粥) :
상화(上火)는 심번의란(心煩意亂)을 조성해 주고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주며 소화불량을 조성한다. 그런데 교맥죽(蕎麥粥)은 강화죽(降火粥)이다. 교맥(蕎麥,: 메밀)의 성(性)은 평(平), 한(寒)이고 미(味)는 감(甘)이며 무독( 無毒)하고 탁월한 거화효과(祛火效果)가 있다. 그러므로 거화제번(祛火除煩)과 상화(上火)의 치료에 교맥죽이 적합하다.
5. 갱년기종합증(更年期綜合徵)——전소맥죽(全小麥粥) :
소맥(小麥: 밀)은 추천(秋天)에 씨를 뿌리고 동천(冬天)엔 성장(成長)을 정지한다. 그 이듬 해 춘천(春天)이 돌아오면 자라기 시작하여 하천(夏天)에 결실(結實)한다. 그러므로 밀은 사계절(四季節)의 정화(精華)를 구비(具備)하고 있기 때문에 밀을 「오곡지귀(五穀之貴)」라고 칭한다. 한의학에서 밀은 양심안신(養心安神) 작용과 제번거조(除煩去燥)의 공효가 있다고 말한다.
통밀로 죽을 끓여 복용할 경우 번조정서(煩躁情緒)를 소제해 주고;여성(女性)들의 갱년기종합증(更年期綜合徵)과 자한도한시(自汗盜汗時)에 부소맥(浮小麥)을 끓인 물을 복용하면 치료된다.
6. 만성장염(慢性腸炎)——율자산약죽(栗子山藥粥) :
율자죽(栗子粥)은 건비지사(健脾止瀉) 작용이 있는데 산약(山藥)과 대추를 배합 사용할 경우 효과는 배가(倍加)된다. 제법 : 율자(栗子(鮮)) 30g、멥쌀(粳米) 50g、건산약(乾山藥) 20g、대추 10克、생강 2편(片)을 얕은 불을 사용하여 죽을 끓여 매주 3 차례 내지 5 차례 복용하며 한 달간 지속한다.
이 죽은 건비지사(健脾止瀉) 작용이 있으므로 만성장염(慢性腸炎)이 있는 비위기허자(脾胃氣虛者)들의 만성장염을 치료해 준다. 증상은 식욕감소(飲食減少)와 체권핍력(體倦乏力)과 대변설사(大便泄瀉) 등이다.
7. 기허(氣虛)——산약의미검실죽(山藥薏米芡實粥) :
설변(舌邊 ; 혀의 가장자리)에 치흔(齒痕 : 이빨 자국)이 있는 증상을 기허(氣虛) 증상이라고 표현하는데 인체(人體)의 기관의 공능(功能)이 저하(低下) 상태에 있기 때문에 보기(補氣)해 주는 식료방(食療方)을 써야하는데 바로 산약의미검실죽(山藥薏米芡實粥)이다. 제법 : 건회산약(干懷山藥) 500g,검실(芡實) 150g 、의이인(薏苡仁) 750g 을 모두 가루내어 적당량을 취하여 소미(小米) 또는 대미(大米)와 함께 죽을 끓여 하루에 한 차례 복용한다. 일개월(一個月) 동안 복용할 경우 체질(體質)이 개선(改善)된다.
8. 대변당사(大便溏瀉)——양신팔보죽(養腎八寶粥) :
신허(腎虛)는 노쇠(老衰)를 수반한다. 양신팔보죽(養腎八寶粥)은 야만요번(夜晚尿頻)과 대변당사(大便溏瀉)와 사지핍력(四肢乏力)과 나언소동(懶言少動)과 안정건삽(眼睛乾澀)과 탈발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정상인(正常人)들도 양신팔보죽을 복용할 경우 강신건체(強身健體)의 공효(功效)가 있다.
산약(山藥) 100g,흑지마(黑芝麻) 10g,소미(小米) 30g 혹은 계두미(雞頭米) 30g,화생(花生) 10g 혹은 밤(板 栗) 10g,구기(枸杞) 10g,흑미(黑米) 30g,핵도(核桃) 10g,백과(白果) 10g. 이상 8 가지 약재를 적당량의 물 속에 집어넣고 끓인 후 빙당(冰糖)을 가미하여 복용한다.
9. 혈관연화(血管軟化)——핵도화생옥미죽(核桃花生玉米粥) :
적당량의 물속에 옥미(玉米)、핵도(核桃)、화생(花生)을 집어넣고 얕은 불로 끓여 죽을 만들어 복용한다. 핵도(核桃) 속에 풍부한 인(磷)과 대량(大量)의 아유산(亞油酸)이 함유되어 있는데 인(磷)은 뇌신경(腦神經)의 영양이며, 아유산(亞油酸)은 동맥경화(動脈硬化)를 방치(防治)해 주고 ; 화생(花生) 속에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과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은 심장병(心臟病)에 걸릴 확률을 강저시켜 준다. 그러므로 이 죽은 맛도 좋을 뿐만 아니라 혈관(血管)을 연화시켜 주는 작용이 있다.
10. 염식(厭食)——사인죽(砂仁粥) :
멥쌀(粳米) 100g,사인(砂仁) 5g 을 적당량의 물속에 집어넣고 죽(粥)을 끓여 복용한다. 조(早)、만(晚)의 공복시(空腹時)에 식용(食用)한다. 비위허한(脾胃虛寒)과 완복복창(脘腹脹滿)과 식욕부진(食欲不振)을 치료해 준다.
11. 불면증——용안구기죽(龍眼枸杞粥) :
용안육(龍眼肉) 15g,구기자(枸杞子) 10g,대추(大棗) 4개,멥쌀(粳米) 100g 으로 죽을 끓여 매일 새벽 공복(空腹)에 식용(食用0한다. 용안(龍眼)은 익심비(益心脾) 작용과 보기혈(補氣血) 작용이 있으므로 불면과 다몽(多夢)을 치료해 준다. 구기자(枸杞子)는 보간신(補肝腎) 작용과 익정혈(益精血) 작용이 있으므로 명목(明目)의 공효(功效)가 있다. 대추(大棗)는「보중익기(補中益氣),제번민(除煩悶)」작용이 있으므로 위허소식(胃虛食少)과 심계(心悸)의 치료작용이 있다. 대추(大棗)는 단백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고 유기산(有機酸)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영양가치가 높은 과일이다. 멥쌀(粳米)은 불면증의 보조치료(輔助治療) 작용(作用)이 있다.
12. 보양(補養)——5두죽(五豆粥) :
팥(紅豆)、황두(黃豆)、녹두(綠豆)、백편두(白扁豆)、흑두(黑豆)와 대미(大米)、소미(小米)、연맥(燕麥)、옥미(玉米)、의이인(薏苡仁) 등 각종(各種) 곡식은 식물단백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그중 팥은 이수소종(利水消腫) 작용과 양혈양심(養血養心) 작용이 있으며 ; 황두(黃豆)는 건비관중(健脾寬中) 작용과 윤조소종(潤燥消腫) 작용이 있다. ; 녹두(綠豆)는 청열해독(清熱解毒) 작용과 거지보간(祛脂保肝) 작용이 있다 ; 백편두(白扁豆)는 익비하기(益脾下氣) 작용과 보허지사(補虛止瀉) 작용이 있다. ; 흑두(黑豆)는 보신자음(補腎滋陰) 작용과、양혈오발(養血烏髮) 작용이 있다. 모두 배합하여 함께 사용할 경우 영양(營養)의 균형(均衡)을 이루어 주기 때문에 각종(各種) 체질인(體質人)들에게 일년(一年) 4계절(四季都) 적합(適合)하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