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28일 수요일
【억울증(抑鬱症)】 과도(過度)한 우비(憂悲)는 기울(氣鬱)을 조성함과 동시에 내장(內臟)을 상하게 한다. 5 개(個) 혈위(穴位)는 정서온정(情緒穩定)
【억울증(抑鬱症)】 과도(過度)한 우비(憂悲)는 기울(氣鬱)을 조성함과 동시에 내장(內臟)을 상하게 한다. 5 개(個) 혈위(穴位)는 정서온정(情緒穩定)은 물론 심계(心悸)와 불면(不眠)을 완해시켜 준다.
억울(抑鬱)과 초려(焦慮)와 스트레스? 한의학 이론에 보면,정서(情緒)는 5장6부(五臟六腑)의 기능(機能)에 영향을 미친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가장 영향을 많이받는 장부는 「심(心)」 이다고 기록되어 있다. 정서병(情緒病)은 불면(不眠)과 심계(心悸)등 문제(問題)를 조성한다. 그러므로 정서병(情緒病) 치료는 심신안정(心神安定)을 위주(為主)로 해야한다.
정서문제(情緒問題)는 치병인소(致病因素)이다?한의학 이론에 보면 "人的情感表達可分為「七情」,分別是喜、怒、憂、思、悲、恐、驚。所謂 「百病生於氣」,七情太過可致病,其病理變化規律可從「怒則氣上,喜則氣緩,悲則氣消,恐則氣下,驚則氣亂,憂思則氣結」“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 사람의 정감(情感)은 희(喜)、노(怒)、우(憂)、사(思)、비(悲)、공(恐)、경(驚)의 「7정(七情)」 으로 분류한다. 모든 질병은 기로 인하여 발생한다. 7정의 태과는 치병인소이며 7정의 병리변화규율은 다음과 같다. 화를 내면 기가 위로 올라가고 기쁨은 기의 속도를 느리게 하며 슬픔은 기를 소모하고 두려움은 기를 하향(下向)케 하고 놀람은 기를 혼란케 하며 우려와 생각은 기를 맺히게 한다." 는 뜻이다. :
1. 희(喜):심신(心神)을 환산(渙散)시킨다.
다시 말하면 「暴喜傷陽」 이다. 즉, 과도(過度)한 희열(喜悅)은 신체(身體)를 상하게 하며 심신(心神)을 환산(渙散)시킨다. "開心過度而突然暈倒"!란 고언(古言)이 있다.
2. 노(怒):간기(肝氣)가 상충(上沖)한다.
병인(病人)이 대노할 경우 간기(肝氣)가 상충(上沖)되므로 인하여 안부출혈(眼部出血)을 유발한다. 명실상부(名實相符) 「안화폭(眼火爆:눈 속의 폭탄)」 이다!
3. 우사(憂思):기울(氣鬱)과 복창(腹脹)을 조성한다.
과도(過度)한 우사(憂思)는 탄기(嘆氣)를 빈번하게 조성하고,기결(氣結)이 완해되지 않으므로 체내에 기울(氣鬱)을 조성한다. 그결과 식후(食後) 복창(腹脹) 문제(問題)를 유발하고 ,「조기오순(條氣唔順)」!을 유발한다. 즉, 호흡단촉(呼吸短促)등 이상호흡증상(異常呼吸症狀)을 출현한다.
4. 비(悲):기(氣)의 순행이 차단된다.
사람이 비상(悲傷)하여 눈물을 흘릴 경우 기촉음읍(氣促飲泣)을 출현한다. 다시 말하면 기가 막히고 눈물을 삼킨다. 기(氣)가 차단되어 상행(上行)하지 못하는데 원인이 있고 기(氣)의 소실(消失)과 흡사하다. 기촉(氣促)이 출현되고,심지어 호흡곤란(呼吸困難)의 정황(情況)이 발생한다.
5. 공(恐):기혈(氣血)이 하행(下行)한다.
고인들의 속어(俗語)에 「嚇到瀨尿」 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놀라면 오줌을 싼다.” 는 뜻이다. 공구(恐懼)는 기혈(氣血)의 상행(上行)을 불가능하게 하며 기(氣)가 하행하게 하므로 소변을 가리는 능력을 잃어 의지에 관계없이 소변이 나오는 질병인 요실금(尿失禁: urinary incontinence)을 발생한다.
6. 경(驚):기란(氣亂)과 심계(心悸)를 유발한다.
경공증(驚恐症)이 있는 사람은 심황의란(心慌意亂)과 정신황홀(精神恍忽)이 발생한다. 경황(驚慌)은 기란(氣亂)을 조성하므로 기가 머물곳이 없다. 그결과 심신부정(心神不定)을 출현하며 심지어 심황(心慌)과 심계(心悸)를 유발한다.
정서병(情緒病)은 심신(心神)에 손상을 입히므로 정서(情緒)를 불온상태(不穩狀態)에 처하게 한다.
황제내경(黃帝內經)에 「悲哀憂愁則心動,心動則五臟六腑皆搖」,라고 기록되어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정서(情緒)의 호괴(好壞)와 정서의 온정(穩定)과 불온정은 인체장부(人體臟腑)의 생리공능(生理功能)에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다. 그중(其中) 「심(心)」 이 가장 큰 관건(關鍵)이다. 또 황제내경에 "心為君主之官,主血脈、藏神明,心靜則神安,安神才能穩定情緒,而情緒病多有心神受擾的問題,常會心神不定、驚恐不安、多疑多慮、心慌心悸和失眠多夢。"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정서병환자(情緒病患者)들의 치료에 심(心)의 치료는 매우 중요하며 심신불안(心神不安)의 원인(原因)은 많이 있으므로 치료방법(治療方法)도 다르다.
*심계(心悸)와 불면(失眠)과 신피핍력(神疲乏力)과 사물(事物)에 대한 흥취(興趣)가 없을 경우 익기양심(益氣養心)과 해울안신(解鬱安神)을 위주로 치료해야 하며 귀비탕(歸脾湯)+소요산가감(逍遙散加減)을 사용해서 치료(治療)해야 한다. ;*만일 심정번조(心情煩躁)와 불면다몽(不眠多夢) 증상이 있을 경우엔 강화양음(降火養陰),청심안신(清心安神)을 위주(爲主)로 치료해야 하며 산조인탕(酸棗仁湯)+ 가미소요산가감(加味逍遙散加減)을 사용하여 치료해야 한다. 정서문제(情緒問題)는 다양(多樣)하고 복잡(複雜)하며 겸증(兼症)을 수반한다. 그러므로 병인(病人)들의 개별(個別) 실제정황(實際情況)을 파악하고 변증논치(辨証論治)를 정(定)해야 한다.
다음은 심신불안(心神不安)을 개선(改善)해 주는 5 개의 혈위(穴位)이다. 매 혈위(穴位) 마다 10초(秒) 동안 안마해 준 후 이완시켜 주고 5 분(分) 동안 치료해야 한다. :
1. 소해혈(少海穴) :
공능(功能):이기통락(理氣通絡),양심안신(養心安神)
2. 신문혈(神門穴) :
공능(功能):진정안신(鎮靜安神),자율신경(自律神經) 조절(調節)
3. 안면혈(安眠穴) :
위치(位置):이수(耳垂) 후(後)의 요함처(凹陷處)와 침골하방(枕骨下方)의 요함처(凹陷處)를 연결(連結)한 선(線)의 중점처(中點處).
공능(功能):주치(主治)- 불면(不眠)、심계(心悸)、현휸(眩暈)
4. 태충혈(太沖穴) :
공능(功能):주치(主治)-:두통(頭痛)、현훈(眩暈)、불면(不眠)、간화(肝火)、울조(鬱躁) 등.
5. 태계혈(太溪穴) :
공능(功能):주치 - 보신음(補腎陰)、제심화(濟心火),불면.
혈위치료(穴位治療) 외에,평상시 균형있는 작식(作息:일하고 쉼)과 정서온정(情緖穩定)이 매우 중요(重要)하다.
**기거심태(起居心態) + 「양심(養心)」
혈위치료(穴位治療) 외(外)에,기거작식(起居作息)과 개인심태(個人心態)를 고려한 양심정신(養心定神)이 필요하다,:
01. 밤 11시(時) 전(前) 입수(入睡):담경(膽經)과 간경(肝經)은 밤 11시 부터 그 이튿 날 새벽 3시 까지 순행(循行)한다. 이 시간에 수면을 취해야 신체생리공능(身體生理功能)이 정상으로 수복(修復)된다.
02. 적당(適量)한 운동(運動)과 이정시간(恬靜時間 : peaceful ; quiet time):한의학이론에 “動以養形,靜以養心,戶外活動多見陽光,能增加陽氣;同時應留有安靜時間,放鬆肌肉和情緒” 란 구절이 있다. 다시 말하면 “사람이 움직일 경우 양형작용(養形作用)에 효과가 있고 조용히 쉴 경우 양심공효(養心功效)가 발생한다. 햇빛을 받으며 호외활동을 할 경우 양기가 증가되고 안정된 시간을 가질 경우 근육이 이완되고 정서가 이완된다." 는 뜻이다.
03. 재외환경(在外環境)의 영향(影響):고인들의 속언에 「총욕불경(寵辱不驚),간목자녕(肝木自寧)」 이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총애를 받거나 모욕을 당해도 놀라지 않을 경우 간목이 편안하다.“ 는 뜻이다.
즉 총욕불경(寵辱不驚)은 상황에 따라 일희일비(一喜一悲)하지 않는 태도이다. 득의(得意)에 기뻐하지 않고 실의(失意)에 근심치 않으니 간(肝)에 무리가 안가며 편안하다는 뜻이다.
04. 그 외 음식조절(飲食調節)은 심신안정(心神安定)을 도와준다. 이하(以下)에 소개하는 《莲子百合红枣氷糖水》는 심신의 안정을 조성한다. :《연자백합홍조빙당수(莲子百合红枣氷糖水)》의 식보(食谱 : 레시피):
15g 의 연자(莲子) - 양심안신(養心安神),
3 개의 홍조(红枣)- 양혈안신(養血安神.
20g 의 백합(百合) - 청심윤폐안신(淸心潤肺安神),
적당량의 빙당(氷糖) - 양심안신, 불면개선, 체액보충(体液補充)、에너지 공급(供给)、해독작용(解毒作用), 심력쇠갈(心力衰竭)과 뇌수종(脑水肿)과 폐수종(肺水肿)등 치료(治疗)。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