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0월 9일 월요일

강황(薑黃)과 생강즙(生薑汁)과 글루코사민(Glucosamine)과 콘드로이틴(Chondroitin : 軟骨素)과 퇴화성슬관절염(退化性膝關節炎) :

강황(薑黃)과 생강즙(生薑汁)과 글루코사민(Glucosamine)과 콘드로이틴(Chondroitin : 軟骨素)과 퇴화성슬관절염(退化性膝關節炎) : 1. 슬퇴화성(膝退化性) 관절염(關節炎) 예방(預防)은 이상적(理想的)인 체중(體重) 유지에 있다. 슬관절(膝關節)의 보건지도(保健之道)는 체중(體重) 조절인데 왜냐하면 관절(關節)의 부담(負擔)을 경감시켜 주기 때문이다. 수영과 산보를 매일 실행하여 관절주위(關節周圍)의 근육(筋肉)의 역량(力量)을 가강(加強)시켜 줄 경우 관절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시켜 줄 수 있다. 준거(蹲踞 : 쭈그리고 앉는 자세)와 층계오르고 내리기와 무건운 물건 들어올리기와 원거리 걷기 등 관절(關節)에 부담(負擔)을 주는 동작(動作)은 자신의 건강상태와 고려해 보는 것이 현명하다. 비만(肥滿)은 퇴화성슬관절염(退化性膝關節炎)의 발생율(發生率)을 증가시켜 준다. 그런데 체중경감(體重減輕) 후(後),질병발생율(疾病發生率)을 강저(降低)시켜 줌과 동시에 관절동통(關節疼痛) 증상(症狀)이 개선된다. 2. 특정(特定) 영양소(營養素)를 보충시켜 줄 경우,퇴화성슬관절염(退化性膝關節炎)은 개선(改善)된다. 임상연구(臨床研究) 결과 비타민 C 와 비타민 E 등 항산화제 보충과 효소수해교원단백질(酵素水解膠原蛋白)과 브로멜린(bromelin과 강황소(薑黃素)와 생강즙(生薑汁)과 글루코사민(Glucosamine)과 콘드로이틴(Chondroitin : 軟骨素 ) 등은 퇴화성관절염(退化性膝關節炎: Osteoarthritis)으로 인한 동통(疼痛)을 완해(緩解)시켜주고 관절강변착(關節腔變窄)을 감완(減緩)시켜 준다고 과학자들에 의하여 증명되었다. 「수해교원단백(水解膠原蛋白)」이란? 산(酸)과 알칼리나 효소(酵素)를 사용하여 교원단백(膠原蛋白) 을 가수분해한 산물(產物)을 수해교원단백(水解膠原蛋白)이라고 칭(稱)한다. 영양(營養)을 보충시켜 줄 경우,관절연골(關節軟骨)의 보수(修補)를 촉진(促進)시켜 주고 활액(滑液) 속의 점액다당류(mucopolysaccharides) 성분을 증가(增加)시켜 주며 관절손상(關節損傷)과 관절동통(關節疼痛)을 감완(減緩)시켜 준다고 과학자들에 의하여 증명되었다. 다음은 각 영양소의 공효들이다. : 1. 비타민 C : 비타민 C 는 항산화(抗酸化) 작용이 있고 교원단백(膠原蛋白)의 합성(合成)을 촉진시켜 주며 연골세포(軟骨細胞)의 보수력(修補力)을 증가시켜 주므로 관절염(關節炎)의 발전변화(發展變化)와 진행과정(進行過程)을 강저(降低)시켜준다. 과학자들의 연구문헌(硏究文獻)에 보면 매일 평균(平均) 152mg (3개의 오렌지(orange)와 상당함)의 비타민 C 를 섭취(攝取)할 경우 관절염(關節炎)의 발전변화(發展變化)와 진행과정(進行過程)의 위해(危害)를 3 배(倍) 강저시켜 준다고 기재되어 있다. 2. 비타민 E : 비타민 E 는 퇴화성슬부관절염(退化性膝部關節炎: OSTEOARTHRITIS OF THE KNEE)과 기타 관절염(關節炎)의 발전변화(發展變化)와 진행과정(進行過程)의 위해(危害)를 경감시켜 준다고 과학자들에 의하여 증명되었다. 또 매일 500 IU(國際單位)의 비타민 E 를 6개월(個月) 동안 보충(補充)시켜 줄 경우 동통(疼痛)을 완해(緩解) 시켜주고 관절강변착(關節腔變窄관절 연골의 손실, 인접한 뼈 사이의 관절 간격의 축소)을 감완(減緩)시켜 준다고 과학자들의 연구결과 발표되었다. 3. 콜라겐(Collagen : 膠原蛋白) : 효소수해교원단백(酵素水解膠原蛋白)은 슬부(膝部)와 둔부(臀部)의 퇴화성관절염(退化性關節炎) 환자(患者)들의 엄중(嚴重)한 동통(疼痛)을 감완(緩減)시켜 준다고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관절연골(關節軟骨)의 주요성분(主要成分)은 제 2 형 교원단백(第二型膠原蛋白 : type 2 collagen)이며 계흉(雞胸 : 닭앞가슴) 연골(軟骨)과 상어연골(鯊魚軟骨) 속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3. 파인애플 효소(酵素) : 키티나제(chitinase)와 프로테아제(protease) 등을 포함한 효소들을 분해효소(分解酵素)라고 칭한다. 파인애플의 경부(莖部 : 줄기) 속의 효소(酵素) 함량(含量)은 기타 과실(果實) 보다 많다.파인애플의 경부(莖部)를 제련(提煉)하여 추출한 파인애플 효소는 분자량(分子量)이 낮은 키토산 올리고당(Chitosan oligosaccharide : CSOS)을 생산하며 2 개 내지 10 개(個)의 글루코사민(Glucosamine) 으로 조성(組成))되어 있다. 파인애플 효소(酵素)의 단백수해작용(蛋白水解作用)은 임파세포(淋巴細胞)의 활성(活性)을 증강시켜 주고 항발염(抗發炎) 작용과 소종작용(消腫作用)이 있으므로 관절염(關節炎)의 치료효과(治療效果)가 있다. 9 개(個)의 슬부퇴퇴성관절염(膝部退化性關節炎 : knee Osteoarthritis)연구 논문을 종합해 보면 환자(患者)가 매일 160mg~1000mg 의 파인애플 효소를 복용한 결과 증상이 개선(改善)되었다고 발표되어 있다. 4. 강황소(薑黃素 : 커큐민) : 강황소(薑黃素 : Curcumin)는 강황(薑黃)의 근경(根莖)으로 제조하는데 커리의 원료(原料)이다. 강황소는 폴리페놀 화합물(化合物)이며 특수(特殊)한 약리작용(藥理作用)이 있고 항산화 작용과 항발염(抗發炎) 등 작용(作用)이 있으며 인체(人體)에 독성(毒性)이 낮고 부작용(副作用)도 적다. 문헌(文獻)에 보면 슬부퇴화성관절염(膝部退化性關節炎) 환자(患者)들이 매일 2g 의 강황분(薑黃粉)을 일주(一週) 동안 복용할 경우 관절동통(關節疼痛)이 개선(改善)되고 관절의 공능(功能)이 개선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5. 생강즙(生薑汁) : 생강은 富含的 신향성분(辛香成分) 진저롤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데 Cyclooxygenase(COX)와 Lipoxygenase(LOX)의 합성(合成)을 억제시켜 주고 항산화와 항발염(抗發炎) 작용이 있다. 진저롤의 함량(含量)은 건강(乾薑) 속에 생강(生薑) 보다 더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눈강(嫩薑: 어린 생강) 속에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다. 생강은 활성산소의 능력(能力)을 청제(清除)시켜 주는데 끓인 생강이나 생강즙(生薑汁) 속에 동일하게 함유되어 있다. 문헌(文獻)에 보면 매일 2 차례 매차 255ml 의 생강즙(生薑汁)을 복용할 경우 슬관절동통(膝關節疼痛)을 강저(降低)시켜 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6. 글루코사민(Glucosamine) : 하각(蝦殼 : 새우껍질)과 해각(蟹殼 : 게의 껍질)과 오적연골(烏賊軟骨)을 원료(原料)로 사용하여 산액(酸液)과 알칼리액(鹼液)의 작용(作用)에 의해서 단백질(蛋白質)과 광물질(礦物質)을 제거시킨 후 키토산(chitosan)을 추출하는데 키토산은 글루코사민 중합체(重合體 : Polymer)이다. 매일(每日) 1500mg 의 글루코사민'과 글루코사민황산염(glucosamine sulfate)을 복용(服用)할 경우 퇴화성관절동통(退化性關節疼痛)이 완해(緩解)되고 관절강협착(關節腔狹窄)이 개선(改善)된다고과학자들의 임상연구(臨床研究)에 의하여 증명되었다. 글루코사민은 연골바탕질(Cartilage Matrix)의 분해(分解)를 감소(減少)시켜 줌과 동시에 원료(原料)를 제공해 주고 연골소(軟骨素)를 합성(合成)해 주며 발염성(發炎性) 사이토카인을 조절해 주고 관절염(關節炎)을 완화시켜 준다. 7. 콘드로이틴(Chondroitin : 軟骨素) : 계흉연골(雞胸軟骨 : 닭가슴 연골)은 천연연골소(天然軟骨素)의 내원(來源)이며 골관절(骨關節) 구성물질(構成物質)을 보충시켜 준다. 또 발염성(發炎性) 사이토카인과 일산화질소(NO)의 생산(生產)을 강저시켜 주는 공효가 있다고 과학자들의 연구결과 증명되었다. 그외 계흉연골(雞胸軟骨: 닭가슴 연골)은 연골(軟骨)의 생리활성(生理活性)을 유지해 줌과 동시에 연골바탕질(軟骨基質)의 마손(磨損)을 강저(降低)시켜 주며 관절염(關節炎)의 병정(病程)을 연완(延緩)시켜 준다. 또 매일(每日) 800mg 또는 1200mg 의 연골소(軟骨素)를 복용(服用)할 경우 관절동통(關節疼痛)이 완해(緩解)되고 관절강협착(關節腔狹窄)이 개선(改善)된다고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매일 천연(天然) 영양음식(營養飲食)을 균형(均衡)있게 섭취해 주고,항산화 음식과 특수(特殊)한 영양소(營養素)를 적당히 배합하여 섭취하고 적당한 운동(運動)을 하므로써 대퇴사두근(大腿四頭筋)의 근력(筋力) 강화(強化) 훈련(訓練)을 해야한다. 대퇴사두근(大腿四頭筋 : quad )이란? 허벅지 전면(前面)에 있는 4 개의 커다란 근육을 일컫는다. 특수(特殊) 보건식품(保健食品)을 복용할 경우 전문의사(專門醫師)나 영양사(營養師)들과 상담하는 것이 현명하다.

2017년 10월 6일 금요일

만성피로(慢性疲勞)와 치매증(痴呆症) : 항피로(抗疲勞) = 치매증(痴呆症) 예방

만성피로(慢性疲勞)와 치매증(痴呆症) : 항피로(抗疲勞) = 치매증(痴呆症) 예방 미국 콜럼비아대학 연구팀은 만성피로종합증(慢性疲勞綜合症) 환자(患者)들의 면역계통(免疫系統)에서 혈액(血液) 속으로 다량의 면역단백(免疫蛋白 : immunoglobulin)을 석방(釋放)시킨다고 증명했다.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γ)는 주로 만성 육아종 질환(granulomatous disease)이나 전이성 콩팥 세포종이나 악성 흑색종의 치료에 사용되나 부작용으로는 발열, 발한, 두통, 권태, 우울증, 불쾌감, 근육통, 골수 억압, 기억력(記憶力)감퇴 등이 있다. 만성피로종합증(慢性疲勞綜合症)의 실제 명칭은「근육통성뇌척수염(筋肉痛性腦脊髓炎(ME)」인데 임상(臨床)에서 신경쇠약(神經衰弱)이나 내분비문란(內分泌紊亂) 등으로 오진 가능성이 있다. 미국의학연구소(美國醫學研究所 : the Institute of Medicine)에서 2015년에 만성피로종합증(慢性疲勞綜合症)을「전신내성과민성질환(全身耐性過敏性疾患(SEID)」이라고 칭했다. 임상(臨床)에서 90% 의 전신내성과민성질환(SEID) 환자(患者)들은 신경쇠약(神經衰弱) 또는 홀몬분비문란으로 오진(誤診)된다. 미국의학연구원(美國醫學研究院)에서 다음과 같은 만성피로종합증(慢性疲勞綜合症) 판단기준(判斷基準)을 공포(公布)했다.: 1. 작업이나 학습(學習)이나 活力跟 사교활동(社交活動) 방면(方面)에서 활동력퇴화(活動力退化)의 상태가 6 개월 이상 초과. 2. 활동(活動)한 후(後) 피로감(疲劳感)이 가중(加重)된다. 3. 수면의 질량이 불량(不良). 4. 인지공능(認知功能) 장애. 5. 서 있기 불편함. 이상은 SEID 환자(患者)들의 증상들이다. 환자(患者)들의 일상생활 중 두통(頭痛)、근육산통(筋肉痠痛), 무법자유행동(無法自由行動)、 체온조절장애(體溫調節障礙)、광과민(光過敏), 성음과민(聲音過敏)、식물과민(食物過敏)、화학물질과민(化學物質過敏) 등 증상이 출현되며 사회생활(社會生活)에 영향을 미친다. 또 주위 사람들의 조소(嘲笑)와 야유(揶揄)로 인하여 최후(最後)로 우울증(憂鬱症)이 출현(出現)됨과 동시에 치매증에 걸릴 확률을 증가시켜 준다. 미국 뉴욕주(New York) 주(州) 이사카(Ithaca)에 자리잡고 있는 .코넬대학교(Cornell University) 연구팀은 만성피로증후군 환자들의 장도(腸道) 내(內)에 익생균(益生菌)의 수량(數量)이 정상인(正常人)들 보다 적다고 발표했다. 그러므로 장내(腸內)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 益生菌)의 먹이인 올리고당(oligosaccharide)을 적당량 섭취해 줄 경우 항(抗)SEID 효과가 발생함과 동시에 만성피로증후군을 예방해 준다고 발표했다. 올리고당류(oligosaccharide)란? 소당류(少糖類) 또는 과당류(寡糖類)라고도 칭하며 단당류가 2개 내지 10개로 결합되어 있는 탄수화물을 의미한다. 또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인체에 이로움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을 총칭하는 말로 우리 몸에 유익(有益)을 주는 균(菌)이라하여 익생균(益生菌)이라고도 칭한다. 과당은 우엉,꿀,양파,시금치,바나나,황두,요구르트 등에 함유되어 있다.

2017년 10월 4일 수요일

주방(廚房) 한의사의 강황(薑黃) 묘용(妙用) :

주방(廚房) 한의사의 강황(薑黃) 묘용(妙用) : 강황(薑黃)의 미(味)는 고(苦), 신(辛)이고 성(性)은 온(溫)이며 비경(脾經)과 간경(肝經)으로 들어간다. 자고(自古)로 강황(薑黃)은 지통약(止痛藥)과 소종약(消腫藥)으로 사용해 왔으며 상과(傷科)의 필용지약(必用之藥)으로써 좌상(挫傷) 외에 월경불순(月經不順)을 치료해 주고 간염병독(肝炎病毒)의 활성(活性)을 억제(抑制)시켜 주는 공효가 있다. 평상시 부엌에서 사용하는 생강은 항염(抗炎)과 지통(止痛)의 양방(良方)이며 생강은 단순히 조미료(調味料)로 사용될 뿐만아니라 천연지토제(天然止吐劑)와 소화제(消化劑)와 풍한(風寒) 구제약驅除藥)과 감기 예방약(預防藥)으로도 사용된다. 생강(生薑)은 동통(疼痛)을 서완(舒緩)시켜 주므로 관절염(關節炎)의 보조치료제(輔助治療劑)로 사용된다. 인도(印度)의 전통의료전적(傳統醫療典籍)에 생강을 사용한 풍습(風濕)과 관절염(關節炎) 치료 처방(處方)들이 수록되어 있다. 생강은 신체(身體)의 발염반응(發炎反應)을 형성하는 화학물질(化學物質),예를들면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PG)의 작용을 억제하는 공효가 있다. 그러므로 생강은 관절염(關節炎) 발작(發作)을 강저시켜 줌과 동시에 동통(疼痛)을 경감(減輕)시켜 준다. 강황(薑黃)은 커리 속의 황금색(黃金色) 성분(成分)인데 동통(疼痛)을 경감시켜 주는 효능이 있다. 또 강황은 동통(疼痛)을 완해(緩解)시켜 줌과 동시에 신체(身體)를 보양(保養)해 주는 효과도 있다. 일본(日本)의 과학자들은 강황(薑黃) 속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물질(抗酸化物質)은 종류(腫瘤)의 생장(生長)을 억제(抑制)시켜 준다고 발표했다. 또 질도좌상(跌倒挫傷)으로 인하여 조성(造成)되는 지체동통(肢體疼痛)에 강황을 사용할 경우 지통(止痛) 효과와 화어(化瘀)의 공효(功效)가 있다. 자료래원(資料來源):《廚房裡的中醫師》

2017년 10월 3일 화요일

폐염(肺炎)을 치료해 주는 식물(食物) :

폐염(肺炎)을 치료해 주는 식물(食物) : 폐염(肺炎)이란? 폐부(肺部)의 염증(炎症)을 일컫는다. 폐염(肺炎)은 각종 호흡도(呼吸道) 질병(疾病)을 유발하며 일상생활에 각종각양(各種各樣)의 불량(不良)한 영향(影響)을 미친다. 폐염(肺炎)은 기도(氣道)의 종말(終末) 부위와 폐포(肺泡)와 폐간질(肺間質) 사이에 발생하는 염증반응(炎症反應)이다. 폐염(肺炎)은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되며 각종(各種) 합병증의 유발을 방지해야 한다. 1、폐염(肺炎) 환자(患者)들의 체내(體內)의 수분(水分)과 전해질(電解質)과 산검평형(酸鹼平衡)의 실조(失調)가 출현한다. 그러므로 철(鐵)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식물(食物),예를들면 동물(動物)의 간장(肝臟)과 달걀 등을 섭취해 주어야 하고; 동(銅 : 구리)가 풍부한 식물(食物), 예를들면 소간(牛肝)과 참기름과 저육(豬肉) 등을 섭취해 주어야 한다. 또 하피(蝦皮)와 우유제품 등 칼슘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식물을 섭취해 주어야 한다. 또 폐염(肺炎) 환자(患者)들은 우질단백질(優質蛋白質) 식물(食物), 예를들면,수육(瘦肉)과 방게(螃蟹)와 해어(海魚)와 유제품과 두제품(豆製品)과 달걀 등을 섭취해 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면역력을 증강시켜 주므로써 외래병원(外來病原)의 침습(侵襲)을 방지해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2、폐염환자(肺炎患者)들은 비타민 A 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식물(食物),예륻들면 동물(動物)의 간장(肝臟)과 달걀 등을 섭취해 주어야 한다. 3、폐염환자(肺炎患者)들은 한량성질(寒涼性質)의 과일은 소량 섭취해야 하는데 비위(脾胃)의 양기(陽氣)를 손상시키기 때문이다. 4、폐염환자(肺炎患者)들은 신랄유니(辛辣油膩)한 식물(食物)을 피해야 한다, 왜냐하면 폐염(肺炎)은 급성열병(急性熱病)에 속하며 인체(人體)의 정기(正氣)를 소모(消耗)하고,장부공능(臟腑功能)에 영향을 미치며 소화공능(消化功能)을 강저시키기 때문이다. 폐염환자(肺炎患者)들의 과일 : 폐염환자(肺炎患者)들에게 망고와 파인애플이 유익하다. 비타민 C 와 비타민 E 는 항산화영양소임과 동시에 자유기(自由基)를 청제시켜 주고,자유기(自由基)의 조직손상(組織損傷)을 감소시켜 준다. 각 계절마다 생산되는 과일은 신체(身體)에 필요불가결한 영양성분을 보충시켜 주고 폐염(肺炎)의 발작율(發作率)을 강저(降低)시켜 준다. 다음은 폐염환자들에게 유익한 식품들이다. : 폐염환자들은 비타민과 플라보노이드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다음과 같은 과일을 섭취해 주어야 한다. 1.배(梨) : 배는 윤폐(潤肺) 작용과 청열(清熱) 작용과 소담강화(消痰降火)의 공효(功效)가 있다. 그외 배는 청위사열(清胃瀉熱) 작용과 자신보허(滋腎補虛) 작용과 통변(通便) 작용(作用)이 있으므로 폐부(肺部)의 질병(疾病)과 합병증의 치료에 효과(效果)가 있다. 2.여지(荔枝) : 여지(荔枝)는 생진지갈(生津止渴) 작용과 윤폐화담(潤肺化痰) 작용과 건비화위(健脾和胃) 작용과 소간이기(疏肝理氣) 작용과 자보신음(滋補腎陰) 작용(作用)이 있다. 3.사탕수수(甘蔗) : 사탕수수는 윤폐익위(潤肺益胃) 작용과 보신생진(補腎生津) 작용(作用)이 있다. 폐염(肺炎)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건해(乾咳)、도한(盜汗)、조열(潮熱) 등 증상(症狀)에 일정(一定)한 완해작용(緩解作用)이 있다. 4.핵도(核桃 ; 호두) : 핵도(核桃)는 익폐평천(益肺平喘) 작용과 양위조납(養胃助納) 작용과 윤장통변(潤腸通便) 작용과 조간화혈(調肝和血) 작용과 보신건뇌(補腎健腦)의 공효가 있다. 5. 사과 : 사과는 폐(肺)에 유익한 과일이다. 매주 5 개(個)의 사과를 복용할 경우 호흡계통(呼吸系統)과 폐공능(肺功能)을 개선(改善)시켜 준다. 매일 한 개의 사과를 복용할 경우 대부분의 질병을 예방해 준다. 사과 속에 대량(大量)의 퀘르시트린(Quercitrin)이라고 칭하는 플라보노이드 류(類) 항산화물질(抗酸化物質)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항산화물질은 오염물질이나 흡연의 해(害)들로 부터 폐부(肺部)를 를 보호(保護)해 주는 역할을 한다. 양파와 차(茶)와 홍포도주(紅葡萄酒) 속에 퀘르시트린(Quercitrin)이 함유(含有)되어 있다. 케르시트린(Quercitrin)은 일종의 글리코시드(glycoside) 인데 flavonoid quercetin 과 deoxy sugar rhamnose 로 조성되어 있으며 케르세틴(Quercetin)은 식물폴리페놀(plant polyphenol)이다. 폐염(肺炎)을 치료해 주는 민간소편방(民間小偏方)들 : [方一] 배(雪梨) 2개(個),천패모(川貝母) 4g,빙당(冰糖) 30g,습두분(濕豆粉) 10g. 이상의 약재를 헝겁주머니 속에 집어넣어 찜통속에 넣고 2 시간 동안 쪄서 복용한다. 본방(本方)은 풍열폐염(風熱肺炎)의 치료에 적합하다. [方二] 비파엽(枇杷葉) 15g, 멥쌀(粳米) 50g 으로 죽(粥)을 끌여 공복(空腹)에 식용(食用)한다. 본방(本方)은 폐염(肺炎)의 치료에 적합하다. [方三] 방풍(防風) 10—15g,총백(蔥白) 2 줄기(莖),멥쌀(粳米) 50—100g. 먼저 방풍(防風)과 총백(蔥白)끓여 약즙 만 취한다. 멥쌀로 죽을 끓인 후 죽(粥)이 식은 후 약즙(藥汁)을 가미하여 묽은 죽을 만들어 복용한다. 본방(本方)은 풍한(風寒) 폐염환자(肺炎患者)에게 적합하다. [方四] 담두시(淡豆豉) 15g,총수(蔥須) 30g, 황주(黃酒) 20g. 한 대접의 물속에 담두시를 집어넣고 10 분(分) 동안 끓여 총수(蔥須)를 넣고 5 분(分) 동안 끓인 후 황주(黃酒)를 가미하여 따뜻할 때 복용한다. 풍한폐염(風寒肺炎)의 치료에 적합하다. [方五] 우유 250g,설탕 적당. 우유를 끓인 후 설탕을 가미하여 음용한다. 본방(本方)은 폐염(肺炎) 회복기(恢復期)에 적합하다. [方六] 총백(蔥白) 3 뿌리,멥쌀(大米) 30g,생강(生薑) 2편(片)으로 죽을 끓여 따뜻할 때 복용한다. 본방(本方)은 풍한폐염(風寒肺炎)에 적합하다. [方七] 행인(杏仁) 10g,멥쌀(大米) 30g 으로 죽을 끓여 복용한다. 본방(本方)은 풍한폐염(風寒肺炎)에 적합하다. 폐염환자(肺炎患者)들의 차(茶) : 동계(冬季)는 폐염(肺炎)을 비롯한 호흡도질병(呼吸道疾病)이 고발(高發)하는 계절이다. 호흡계통질병(呼吸系統疾病)의 병정(病情) 잠복기(潛伏期)는 일반적으로 4 일 좌우(左右)인데 해수(咳嗽)와 발열(發熱) 증상(症狀)이 나타나면 휴식(休息)을 취하는 것이 가장좋다. 1. 백조차(柏棗茶) : 공효(功效):폐부(肺部) 보호(保護),기관(氣管) 조양(調養). 재료(材料):대추(紅棗) 5g,측백엽(側柏葉) 10g. 제법(製法) : 컵속에 측백엽(側柏葉)을 넣고 대추를 끓인 물 350cc 를 부어 5 분 동안 충포(沖泡)해 둔 후 음용(飲用)한다. 2. 길경차(桔梗茶) : 공효(功效):만성기관지염(慢性氣管支炎)의 치료. 재료(材料):길경(桔梗 : 도라지) 5g,감초(甘草) 5g. 제법(製法) : 재료를 함께 컵속에 집어넣고 끓는 물을 부어 10분(分) 동안 충포(沖泡)해 둔 후 차(茶) 대신 음용(飲用)한다. 3. 감초식초차(甘草食醋茶) : 공효(功效):기관(氣管) 보양(保養),자양폐부(滋養肺部). 재료(材料):감초(甘草) 6g,꿀(蜂蜜) 2 숟갈,식초(食醋) 1 숟갈. 제법(製法) : 감초(甘草)와 식초(食醋)를 컵속에 넣고 入茶杯,끓는 물을 부어 충포用滾水(沖泡)해 둔후 稍涼後加入 꿀(蜂蜜)을 가미하여 음용(飲用)한다. TIPS:꿀(蜂蜜)은 양폐(養肺)의 공효(功效)가 있고 감초(甘草)는 평온(平溫)한 특성(特性)이 있으며 소염(消炎) 작용과 해한(解寒)의 공효가 있다. 4. 금령차(金檸茶) : 공효(功效):인후동통(咽喉疼痛)과 성음사아(聲音嘶啞)를 치료해 준다. 재료(材料):금귤(金橘:Citrus japonica)6 개(個),레몬 2편(片),꿀(蜂蜜) 1 숟갈. 제법(製法) : 금귤과 레몬을 썰어 500cc 의 열수(熱水)속에 충포(沖泡) 해둔 후 ,꿀(蜂蜜)을 가미하여 차대신 음용(飲用)한다. TIPS:금귤(金橘)은 화어지통(化瘀止痛) 작용과 생진지갈(生津止渴) 작용과 자윤인후(滋潤咽喉)의 공효(功效)가 있으므로 인후부(咽喉部)의 부적(不適) 증상의 치료에 탁월한 공효가 있다. 5. 대청엽차(大青葉茶) : 공효(功效):유행성감기(流行性感氣)를 예방해 준다. 재료(材料):대청엽(大青葉) 15g. 제법(製法) : 대청엽(大青葉)을 끓는 물속에 3 분(分) 동안 충포(沖泡)해 둔후, 차(茶) 대신 음용(飲用)한다. 소아폐염(小兒肺炎) 식료방(食療方) : 1、패모죽(貝母粥) : 멥살(粳米) 100g 과 적량(適量)의 설탕을 혼합하여 죽(粥)을 끓여 천패모분(川貝母粉末) 5~10g 을 혼합하여 다시 끓여 아침과 저녁、 두 차례 나누어 따뜻할 때 복용한다. 2、 3、소자죽(蘇子粥) : 재료 : 소자(蘇子: 들깨) 15~20g 속에 물을 넣고 갈아서 농즙(濃汁)을 만든 후 멥쌀(粳米) 50~100g 과,적당량의 빙당을 가미하여 죽(粥)을 끓여,아침과 저녁 두 차례 나누어 따뜻할 때 복용한다. 해수기천자(咳嗽氣喘者)에게 적합하다. 4、마늘죽(大蒜粥) : 자피(紫皮) 마늘 30g 을 끓는 물속에 10분 동안 침포해 둔 후 멥쌀(粳米) 100g 으로 죽을 끓여 함께 혼합하여 다시 한 번 더 끓여 아침과 저녁으로 두 차fP 나누어 따뜻할 때 복용한다. 폐염세균감염자(肺炎黴菌感染者)에게 적합하다. 5、백합당수(百合糖水) : 백합(百合) 60~100g,적당량의 설탕을 수전복(水煎服)한다. 6、산약죽(山藥粥) : 건산약(乾山藥) 45~60g(신선한 산약(山藥) 100~120g)과 멥쌀(粳米) 100~150g 으로 죽을 끓여 조만(早晚) 온열(溫熱) 복식(服食)한다. 기허담탁자(氣虛痰濁者)에게 적합하다. 7、행인상피죽(杏仁桑皮粥) : 원료(原料):행인(杏仁) 6g,상백피(桑白皮) 15g,생강(生薑) 6g,대추(大棗) 5개,멥쌀(粳米) 150g,우유 30g. 제법(製法):모든 약재를 함께 수전(水煎)한 후 약즙 만 취하여 쌀을 넣고 죽을 끓인다. 하루에 여러차례 나누어 복용한다. 공효(功效) : 선폐지해(宣肺止咳) 작용과 강기평천(降氣平喘) 작용이 있으므로 소아폐염(小兒肺炎)을 치료해 준다. 8、상국행인차(桑菊杏仁茶) : 원료(原料):상엽(桑葉) 9g,국화(菊花) 9g,행인(杏仁) 6g,꿀(蜂蜜) 15g. 제법(製法): 상엽(桑葉)과 국화(菊花)와 행인(杏仁)을 함께 끓여 즙(汁)만 취한다. 마지막으로 꿀(蜂蜜)을 가미하여 물 대신 음용(飲用)한다. 공효(功效) : 상엽(桑葉)과 국화(菊花)는 청열산사(清熱散邪) 작용이 있는 신량청열(辛涼清熱) 약(藥)이다; 행인(杏仁)은 선폐강역(宣肺降逆) 작용이 있고 ; 꿀(蜂蜜)은 지해(止咳)작용이 있으므로 소아폐염(小兒肺炎)을 치료해 준다. 9、당삼백합죽(黨參百合粥) : 원료(原料):당삼(黨參) 10~30g,백합(百合) 20g,멥쌀(粳米) 100g,적당량의 빙당(冰糖). 제법(製法): 먼저 당삼(黨參)을 끓여 즙만 취하여 백합(百合)과 쌀과 혼합하여 죽(粥)을 끓인 후,빙당(冰糖)을 가 미하여 매일 두 차례 나누어 온열복용(溫熱服用)한다. 공효(功效) : 보비익기(補脾益氣) 작용과 윤폐지해(潤肺止咳) 작용이 있으므로 신체허약자(身體虛弱者)와 저열형(低熱型) 소아폐염(小兒肺炎)을 치료해 준다.

아침과 저녁으로 5 차례 입을 크게 벌리고 있을 경우 사래걸림과 흡인성폐렴(吸引性肺炎)을 해결(解決)해 준다.

• 아침과 저녁으로 5 차례 입을 크게 벌리고 있을 경우 사래걸림과 흡인성폐렴(吸引性肺炎)을 해결(解決)해 준다. 사래걸림과 흡인성폐렴(吸引性肺炎)의 예방은 적시(適時)에 인후를 단련(鍛鍊)시켜 주므로써 인후(咽喉)의 근력쇠퇴(筋力衰退)를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인후근육 단련은 사래가 들리는 확률을 강저시켜 줄 뿐만 아니라 흡인성폐렴(吸引性肺炎)을 방지해 준다. 인후근력의 퇴화(退化)는 식물(食物)이 용이하게 기관(氣管) 속으로 진입하게 한다. 일본(日本) 동경대학교(東京大學校) 치과대학(齒科大學) 호원현(戶原玄) 부교수(副教授)는 기관(氣管)의 상방(上方)에 있는 후두개(喉頭蓋 : epiglottis)는 식물(食物)이 기관(氣管) 속으로 진입함을 방지해 준다. 그러나 연령(年齡)이 증장(增長)함에 따라 후두개의 근력(筋力)이 쇠퇴(衰退)되므로 인하여 후두개의 기능이 미약(微弱)해 지고 지완되므로 식물(食物)이 용이하게 기관(氣管) 속으로 진입(進入)되며 기관(氣管) 속으로 진입된 식물(食物)을 배출(排出)시키는 방어반응(防禦反應)으로 해수(咳嗽)와 사래 증상(症狀)이 출현된다. 노년인(老年人)들은 음식을 섭취할 때 용이하게 사래에 걸린다. 그 결과 염식(厭食)이 유발되므로 인하여 영양섭취(營養攝取)가 부족하여 체력(體力)은 진일보(進一步) 하강된다. 식물(食物)이나 타액(唾液)이 기관(氣管) 속으로 진입할 경우 폐(肺) 속의 잡균(雜菌)들이 증가(增加)되므로 인하여 흡인성폐렴(吸引性肺炎)이 유발된다. 일본호흡기학회(日本呼吸器學會)는 70% 이상의 노년인(老年人)들이 폐염(肺炎)에 걸리는 원인은 흡인성폐렴(吸引性肺炎) 때문이다고 발표했다. 반복발작(反覆發作) 감염(感染)은 약물(藥物)의 항약성(抗藥性)이 조성되므로 치료(治療)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고령환자(高齡患者)들의 사망원인(死亡原因)이 된다. 《인후근력(咽喉筋肌力) 검사방법(檢查方法)》: 식지(食指)를 인후결절상(咽喉結節上)에 대고 타액(唾液)을 삼킨다. 30 초(秒) 내(內)에 3 차(次) 이상(以上) 탄연하는 사람들은 인후근력이 정상이며, 2 차례 이하(以下)일 경우 탄연능력(吞嚥能力)은 약(弱)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인후근력(咽喉筋力) 단련:하품할 때 처럼 입을 크게 벌리는 훈련(訓練)인데 10 초(秒) 동안 입을 크게 벌리고 있는 동작을 5 차례 반복해 준다. 매일 아침과 저녁에 각각 일차(一次) 실행할 경우 탁월한 효과(效果)가 있다.

2017년 10월 2일 월요일

부정교합(不正咬合)의 위해(危害)​와 교정법(矯正法) :

부정교합(不正咬合)의 위해(危害)​와 교정법(矯正法) : 부정교합(不正咬合)을 개선(改善)시켜 줄 경우 전신와사(全身歪斜)와 훈현(暈眩)과 이명(耳鳴)이 치료된다. 두통(頭痛)과 견경강경(肩頸僵硬)과 수각산마(手腳痠麻)와 훈현(暈眩)과 이명(耳鳴)과 청력하강(聽力下降)과 불면증이 있으므로 이비인후과(到耳鼻喉科) 검사(檢查)를 받은 결과 아무 이상(異常)이 없을 경우 교합(咬合)과 관계가 있다. 교합이란? 윗 이빨과 아랫 이빨의 맞물림인데 정상교합(正常咬合)과 부정교합(不正咬合)으로 구분한다. 1. 성년(成年) 후(後) 저작습관(咀嚼習慣)은 교합(咬合)에 영향을 미치는데 인구(人口)의 60% 는 교합문제를 지니고 있다. 선천적(先天的) 교합부정(咬合不正) 외(外)에 성년(成年) 후(後)의 저작습관(咀嚼習慣)은 교합(咬合)에 영향을 미친다. 일본(日本) 치과대학(齒科大學) 야마시타아츠시(山下敦 : やました あつし) 교수(教授)는 현대인(現代人)의 음식(飲食)은 비교적 유연(柔軟)하므로 저작(咀嚼) 차수(次數)가 대폭(大幅) 감소(減少)되어 있으며 혹자는 저작시(咀嚼時) 일측(一側) 치아(齒牙) 만 사용하여 저작하는데 장시간이 경과한 후 치아(齒牙)와 골격(骨骼)의 불평형(不平衡)을 초래하므로 교합부정(咬合不正)이 용이하게 형성된다. 2. 저작시(咀嚼時) 한쪽 이빨만 사용할 경우 이명(耳鳴)과 훈현(暈眩)이 용이하게 발생된다. 《難聴・耳鳴り・めまいは「噛みグセ」を正せばよくなる》(번역: 이명(耳鳴)과 중청(重聽)과 훈현(暈眩)은 저작습관(咀嚼習慣)의 교정(矯正)으로 치료할 수 있다.) 의 저자 일본치과(日本齒科) 나가사카오사무(長坂齊長坂 : ながさか おさむ) 원장(院長)은 그의 저서에 "귀에 발생되는 각종 이상증상은 저작시(咀嚼時) 괴습관(壞習慣)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있다." 고 기재해 놓았다. 좌변(左邊) 후면(後面)의 치아(齒牙)만 사용하여 저작(咀嚼)할 경우,좌변(左邊)의 아랫턱이 발달(發達)하여 아래턱을 위로 올려주는 힘이 증가(增加)된다. 그 결과 귀(耳)에 부담(負擔)이 증가한다. 귀(耳)는 섬세(纖細)하고 민감(敏感)한 기관(器官)이므로 강렬(強烈)한 자극의 내수도(耐受度)가 강저된다. 이와같은 불량(不良)한 저작습관(咀嚼習慣)은 왼쪽 귀(耳)에 영향(影響)을 미쳐 좌우청력(左右聽力)의 불균형과 평형감각(平衡感覺)의 문란을 초래함과 동시에 훈현(暈眩)과 이명(耳鳴)이 조성된다. 3. 불량한 저작습관(咀嚼習慣)은 전신와사(全身歪斜)와 불면과 생리불순(生理不順)과 요산배통(腰痠背痛)을 유발한다. 교합(咬合)의 문제(問題)는 신체(身體)에 각양각식(各樣各式)의 문제(問題)를 야기시킨다. 일본악교학회(日本顎咬學會) 기간(期刊)에 보면 어느 28 세(歲)의 여성(女性)은 충치와 교합부정(咬合不正) 등 구강문제(口腔問題)가 있는데 반듯하게 서 있지 못하고 두부(頭部)와 견방(肩膀 ; 어깨)이 우측으로 치우쳐 있다. 그 결과 견경산통(肩頸痠痛)과 요배통(腰背痛)과 생리불순(生理不順)과 불면증 등 문제(問題)가 있다. 불량(不良)한 저작습관(咀嚼習慣)은 치아의 고저(高低)에 차이를 발생시킨다. 그 결과 두부(頭部)가 전후(前後) 또는 좌우(左右)로 기울어지게 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체(身體)에 와사(歪斜)가 발생되며 두부(頭部)를 지탱하고 있는 견경근육(肩頸肌肉)이 항상 긴장상태(緊張狀態)에 있고 목의 만곡과 척추만곡(脊椎彎曲)이 발생하여 상반신(上半身) 와사(歪斜)와 골반(骨盤)의 위치(位置)가 현저하게 편이(偏移)되므로 인하여 신체자세(身體姿勢)의 불균형을 초래하므로 요부(腰部)와 슬개(膝蓋)의 부담(負擔)이 조성(造成)된다. 교합부정(咬合不正)이 치료될 경우 신체와사(身體歪斜)의 상황(狀況)이 호전(好轉)됨은 물론 요산배통(腰酸背痛)과 불면증과 부인과(婦人科) 문제(問題) 등이 개선(改善)된다. 4. 《교교면지(咬咬面紙) 교정법(矯正法)》: 페이퍼 타올(面紙) 방망이 제작법(製作法) : 페이퍼 타올을 가늘게 둘둘 말아서 기다란 방망이를 만든다. STEP 1.: 왼쪽의 제 일 깊은 곳에 있는 3 개의 어금니(1)、왼쪽에 있는 2 개의 송곳니(2)、왼쪽의 앞에있는 3 개의 앞니(3) 를 순서대로 10 차례 씩 페이퍼 타올 방망이를 질근 질근 깨물어 준다. STEP 2.: 오른쪽 전방(前方)에 있는 3 개의 앞니(4)、오른쪽에 있는 2 개의 송곳니(5)、오른쪽의 제 일 깊은 곳에 있는 3 개의 어금니 (6)를 순서대로 10 차례 씩 페이퍼 타올 방망이를 질근 질근 씹어준다. 교합(咬合)은 위아래 치아의 맞물림 또는 위아래턱뼈의 위치적인 상호관계이다. 매일 기상과 동시에 즉시 진행(進行)한다. 또 아침 식사 후와 점심 식사 후와 저녁 식사 후에 각각 1 차(一次) 실행해 준다. 하루에 4 차례 실시해 준다.

2017년 9월 30일 토요일

수면부족과 기진맥진함과 극도의 피로와 창기(脹氣)는 모두 간병(肝病)의 발생 경보(警報)이다.

수면부족과 기진맥진함과 극도의 피로와 창기(脹氣)는 모두 간병(肝病)의 발생 경보(警報)이다. 창기(脹氣)란? 배가 더부룩하게 불러와 팽팽해 지는 증상을 의미한다. 장기(長期) 과로(過勞)와 흡연과 음주와 과량의 기름과 소금(鹽)과 당(糖)을 섭취할 경우 간공능(肝功能)이 상해를 입는다. 그결과 간병(肝病)의 발생 확률을 증가시켜 준다. 인체(人體) 내의 기관들 중 간장(肝臟)이 가장 바쁜 기관(器官)이다. 간장은 소화(消化)와 해독(解毒)과 배설(排泄)과 양분의 저장과 산화(酸化)와 환원(還原) 등 공능(功能)과 비타민과 당류(醣類)와 광물질(礦物質)의 저장과 콜레스테롤의 조절과 지방(脂肪)의 분해(分解) 등 책임을 지니고 있는 중요한 장기이다. 고인들의 속설(俗說)에「肝臟不好,百病叢生, 人生是黑白的」란 말이 있는데 진정한 속언(俗言)임에 틀림없다. 다시 말하면 “간장이 좋지못할 경우 모든 질병이 발생하며 간장은 건강의 바로미터이다.” 는 뜻이다. 현대인(現代人)들은 일반적으로 고유(高油), 고염(高鹽), 고당(高糖) 음식(飲食)을 다량 섭취하고 오야(熬夜)를 일삼기 때문에 항상 수면부족 상태에 있다. 더우기 흡연하거나 음주습관(飮酒習慣)이 있을 경우 간장(肝臟)의 책임은 가중된다. 다음에 열거한 5 항(項)의 증상(症狀)은 급구신호(急救訊號)이다. 1. 피부(皮膚)의 납황(蠟黃 : 안색이 누른빛) : 간장과로(肝臟過勞)의 일개(一個) 경보신호(警報信號)는 피부(皮膚)에 광택(光澤)이 없고,피부소양(皮膚搔癢)과 황담(黃膽 : 皮膚變黃)과 피부(皮膚) 안색(顏色)이 변흑(變黑)하며 지갑(指甲 : 손톱)이 누런 색깔로 변한다. 이러한 증상들은 간장(肝臟)의 배독공능(排毒功能)이 강저(降低)되기 때문이다, 특별히 빌리루빈(bilirubin)이 피하조직(皮下組織)에 누적(累積)되기 때문이다. 2. 소화불량(消化不良) : 담즙(膽汁)이 섭취한 식물(食物)을 순리적(順利的)으로 분해(分解)하지 못하므로 인하여 창자가 윤활(潤滑)하지 못하기 때문에 식물이 창자를 순리적으로 통과하지 못하여 창기(脹氣)와 변비便祕)와 소화불량(消化不良) 등이 조성된다. 3. 신체산통(身體痠痛) : 조혈(造血)은 간장(肝臟)의 공능的(功能) 중 하나이다. 또 간장(肝臟)의 공능(功能)이 하강(下降)될 경우 근건(筋腱)과 근육(筋肉)과 기타조직(其他組織)에 영향을 미쳐 근육강화(筋肉僵化)를 조성하고 상배통(上背痛)과 안정건삽(眼睛乾澀) 등 증상(症狀)이 출현된다. 또 권태감각(倦怠感覺)이 오랫동안 지속(持續)되어 만성피로(慢性疲勞)를 조성한다. 4. 만성피로(慢性疲勞) : 오랫동안 휴식을 취하지 않을 경우 만성피로(慢性疲勞) 증상(症狀)이 유발된다. 5. 심정(心情)의 불호(不好)와 호(好) : 실망하거나 낙담하거나 이로(易怒)하거나 번조(煩躁) 또는 화를 크게 낼 경우 시력모호(視力模糊)와 이롱(耳鳴)과 훈현(暈眩)과 불면증과 경전종합증(經前綜合症 : PMS)과 과민(過敏) 증상과 대장출혈(大腸出血) 등 증상이 출현된다. B형(型) 간염(肝炎)과 C형(型) 간염(肝炎)은 간암(肝癌)의 90% 주인(主因)이다. 그러나 전문의사의 치료를 받을 경우 간암(肝癌) 발생률(發生率)은 30% 내지 60% 로 강저된다. 간장(肝臟)을 보양(保養)해 주는 식품 : 1. 강황(薑黃)과 쿠민(Cuminum)등 천연신향료(天然辛香料) : 숙취(宿醉)등 간장(肝臟)의 부담이 클 경우 강황(薑黃)과 커리 등을 섭취할 경우 간기능(肝機能)을 촉진(促進)시켜 주는 효과(效果)가 있다. 2. 장어(章魚),와 가리비와 굴(牡蠣) : 가리비는 껍데기가 부채처럼 생긴 패류(貝類)인데 일명 선패(扇貝)라고도 칭하며 아연과 타우린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간장(肝臟)의 기능을 돕는다. 일본(日本) 북해도( 北海道)에서 대량산출된다. . 3. 당근과 호박과 고구마와 망고(芒果)와 허니두는 카로틴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간장(肝臟)의 기능(機能)을 돕는다. 4. 두류제품(豆類製品)과 야채 : 간장(肝臟)의 부담(負擔)을 강저시켜 주는 음식(飲食)은 고단백질(高蛋白質)과 저(低) 칼로리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식물(食物)이다. 예를들면 두부(豆腐)와 대두제품(大豆製品)과 야채 등은 간장(肝臟)의 부담을 덜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