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25일 금요일

매일 점각(踮脚) 30 차(次), 전신기관을 활성화해 주며 특별히 간()肝과 신장(腎臟)을 건강하게 유지해 준다.!

매일 점각(踮脚) 30 차(次), 전신기관을 활성화해 주며 특별히 간()肝과 신장(腎臟)을 건강하게 유지해 준다.! ​ 중년(中年) 이후(以後))에 일상생중(日常生活) 중 작식규률(作息規律)을 준수하고、음식양생(飲食養生)에 주의(注意)를 기울여도 체력(體力)은 여전(如前)하지 않으며, 조금만 오야(熬夜)를 해도 피로(疲勞)가 몇일 동안 지속됨을 감지할 수 있다. 그외 기름진 음식을 섭취하면 신체(身體)가 불서복(不舒服)하고 또 신사물(新事物) 학습 (學習) 속도가 느리며 기억력도 감약된다? 현재 의학계(醫學界)에서 주목(注目)하는 신물질(新物質)은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 인데 오스테오칼신은 전신장기(全身臟器)를 활성화해 주고 인지기능(認知機能)을 개선시켜 주며 동맥경화(動脈硬化)를 예방해 주고 당뇨병(糖尿病)을 개선시켜 주는 공효(功效)가 있다. 매일 간단(簡單)한 운동(運動)을 할 경우 오스테오칼신의 석방(釋放)을 도와준다.! 1. 골두(骨頭)를 적당히 자극시켜 줄 경우 오스테오칼신을 비롯하여 기타 호르몬을 석방해 준다. 골두(骨頭)의 중간(中間)에 혈관(血管)과 수액(髓液)이 통과(通過)하고 있으며 골두(骨頭) 내에서 각종 호르몬이 분비(分泌)된다. 그러므로 현대의학계에서 오스테오칼신에 관하여 주목하고 있다.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은 1970년대 중반에 Hauschka 와 Price (Hauschka et al., 1975; Price et al., 1976)에 의하여 발견되었다. 그후 2007년에 미국 콜럼비아대학교(Columbia University)의 유전 학자(geneticist) Gérard Karsenty 연구팀은 골두에 적당히 자극을 줄 경우 골두에서 대량의 오스테오칼신이 석방된 후 전신으로 수송되어 각기관의 작용을 활성화해 준다고 발표했다. ​ 2. 《오스테오칼신이 각기관(各器官)에 미치는 작용(作用)》 : 01. 대뇌(大腦):오스테오칼신은 신경세포(神經細胞)의 결합(結合)을 유지해 주므로 기억(記憶)과 인지기능(認知機能)을 개선시켜 준다. 02. 간장(肝臟):간세포(肝細胞)의 대사(代謝)를 증가시켜 줌과 동시에 간기능(肝機能)을 양호하게 유지해 준다. 03. 심장(心臟):동맥경화(動脈硬化)를 예방해 준다. 04. 장도(腸道):소장(小腸)에 유익하며당분(糖分)을 비롯한 각종 영양분(營養分)의 흡수(吸收)를 촉진(促進)시켜 준다. 05. 고환(睾丸):남성(男性) 호르몬을 증가(增加)시켜 주므로 생식능력(生殖能力)을 높혀준다. 06. 피부(皮膚):오스테오칼신은 조골세포(造骨細胞)와 피부(皮膚)조직(組織)의 교원단백(膠原蛋白)을 제성(製成)해) 준다. 부족시 피부의 줄음쌀의 수량(數量)을 증가시켜 준다. 07. 신장(腎臟):신장(腎臟)의 기능(機能)을 증진시켜 준다. 08. 이장(胰臟):혈당치(血糖值)를 강저시켜 주므로 당뇨병(糖尿病)을 예방해 준다. 혈액중(血液中) 오스테오칼신의 함량(含量)이 비교적(比較的) 적은 사람들의 혈당치(血糖值)는 비교적 높은 경향(傾向)이 있다. 혈액중(血液中) 함당량(含糖量)이 지속적으로 높을 경우 단백질(蛋白質)은 정상적인 작용(作用)을 발휘할 수 없음과 동시에 오스테오칼신의 활동(活動)도 지둔(遲鈍)해 진다. 그런데 일본국제의료복지대학산왕의료센터(日本國際醫療福祉大學山王醫療中心)의 여성의료부(女性醫療部) 책임인(責任人) 오오다히로아키(太田博明 : おおだひろあき) 교수(教授)는 “ 점각첨(踮腳尖) 동작은 전신(全身)의 골두(骨頭)에 효률적(效率的)인 자극을 준다.” 고 설명했다. 3. 《오스테오칼신의 활성화》 : 단정(端正)히 똑바로 서있는 자세(姿勢)에서 각첨(腳尖: 발가락의 끝 부분)을 사용하여 참립(站立) 자세를 취함과 동시에 크게 숨을 들이쉰 후,각근(腳跟: 발뒤꿈치)을 지면(地面)에 댄다. POINT:점각첨동작을 실행할 때 각근(腳跟)과 두부(頭部)는 일직선(一直線)을 유지해야 하며 하루에 30 차(次) 점각첨동작을 실행해야 한다. 각근(腳跟:발뒤꿈치)을 지면에 떨어뜨릴 때 체중(體重)의 3 배(倍)가 신체에 가(加)해 지므로 골두세포(骨頭細胞)에 충분한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혈당치가 높은 사람들과 골다공증 환자들에게 적합한 운동이다. 당화 헤모글로빈(glycated hemoglobin, HbA1c) 은 당뇨병의 일대지표(一大指標)이다. 6 명의 당화 헤모글로빈(glycated hemoglobin, HbA1c) 농도가 높은 사람들을 상대로1 주 동안 점각첨운동(踮腳尖運動)을 실험하였다. 그결과 6 명 중 5 명의 오스테오칼신의 수치가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6 명 모두 당화 헤모글로빈(glycated hemoglobin, HbA1c)의 수치가 하강되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